동네의원 감기 환자 ‘항생제 처방’ 지속 하락
입력 2011.05.27 (12:59)
수정 2011.05.27 (13: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동네의원들이 감기 환자에게 처방하는 항생제량이 계속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정부는 항생제 처방률이 높은 요양기관에 대해선 보험 급여를 깎을 방침입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해 하반기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의원들의 항생제 처방률이 52.69%로 떨어졌다고 밝혔습니다.
급성상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은 지난 2002년 73.57%를 기록한 뒤 지난 2009년 54.06%까지 내려가는 등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급성상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세균 감염이 크게 의심될 때를 제외하면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고 있습니다.
심평원은 그러나, 항생제 처방률이 80%이상인 의원도 여전히 많아, 지난 하반기 전체의 16%인 2천 3백 3곳이나 됐다고 밝혔습니다.
지역별로 항생제처방률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은 제주로 9.86%가 줄었고, 대전과 충북 순이었고, 충남과 강원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요양 기관별 항생제처방률은 상급종합병원이 31.04%, 종합병원은 45.85%, 병원 46.82%, 의원 52.69%였습니다.
총리실 산하 국가항생제내성전문위원회는 내년까지 항생제처방률을 50% 수준으로 내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올 하반기에 급성상기도감염의 항생제 처방실태조사를 실시한 뒤 처방률이 지속적으로 높은 요양기관에 대해서는 약제 급여를 깎는 방안을 검토중입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동네의원들이 감기 환자에게 처방하는 항생제량이 계속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정부는 항생제 처방률이 높은 요양기관에 대해선 보험 급여를 깎을 방침입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해 하반기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의원들의 항생제 처방률이 52.69%로 떨어졌다고 밝혔습니다.
급성상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은 지난 2002년 73.57%를 기록한 뒤 지난 2009년 54.06%까지 내려가는 등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급성상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세균 감염이 크게 의심될 때를 제외하면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고 있습니다.
심평원은 그러나, 항생제 처방률이 80%이상인 의원도 여전히 많아, 지난 하반기 전체의 16%인 2천 3백 3곳이나 됐다고 밝혔습니다.
지역별로 항생제처방률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은 제주로 9.86%가 줄었고, 대전과 충북 순이었고, 충남과 강원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요양 기관별 항생제처방률은 상급종합병원이 31.04%, 종합병원은 45.85%, 병원 46.82%, 의원 52.69%였습니다.
총리실 산하 국가항생제내성전문위원회는 내년까지 항생제처방률을 50% 수준으로 내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올 하반기에 급성상기도감염의 항생제 처방실태조사를 실시한 뒤 처방률이 지속적으로 높은 요양기관에 대해서는 약제 급여를 깎는 방안을 검토중입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네의원 감기 환자 ‘항생제 처방’ 지속 하락
-
- 입력 2011-05-27 12:59:07
- 수정2011-05-27 13:25:27

<앵커 멘트>
동네의원들이 감기 환자에게 처방하는 항생제량이 계속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정부는 항생제 처방률이 높은 요양기관에 대해선 보험 급여를 깎을 방침입니다.
김민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해 하반기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감기로 불리는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의원들의 항생제 처방률이 52.69%로 떨어졌다고 밝혔습니다.
급성상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은 지난 2002년 73.57%를 기록한 뒤 지난 2009년 54.06%까지 내려가는 등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급성상기도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세균 감염이 크게 의심될 때를 제외하면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고 있습니다.
심평원은 그러나, 항생제 처방률이 80%이상인 의원도 여전히 많아, 지난 하반기 전체의 16%인 2천 3백 3곳이나 됐다고 밝혔습니다.
지역별로 항생제처방률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은 제주로 9.86%가 줄었고, 대전과 충북 순이었고, 충남과 강원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요양 기관별 항생제처방률은 상급종합병원이 31.04%, 종합병원은 45.85%, 병원 46.82%, 의원 52.69%였습니다.
총리실 산하 국가항생제내성전문위원회는 내년까지 항생제처방률을 50% 수준으로 내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올 하반기에 급성상기도감염의 항생제 처방실태조사를 실시한 뒤 처방률이 지속적으로 높은 요양기관에 대해서는 약제 급여를 깎는 방안을 검토중입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
김민철 기자 kmc@kbs.co.kr
김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