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토, 트리폴리 맹폭…“카다피 퇴진 시간 문제”
입력 2011.06.08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가 리비아 트피폴리에 작전 개시 이후 최대 규모의 폭격을 가했습니다.
카다피는 결사항전을 외쳤지만,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카다피 퇴진은 시간 문제라고 선언했습니다.
두바이에서 이영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가 포성과 검은 연기에 휩싸였습니다.
나토는 이례적으로 대낮 시간까지 공습을 확대하며 60여 차례 폭격에 나섰습니다.
나토의 최대 규모 공습에 카다피 관저 등 목표물은 처참하게 부서졌습니다.
마침 69번째 생일을 맞은 카다피는 공습 직후 결사 항전의 뜻을 밝혔습니다.
<인터뷰> 카다피(리비아 국가 원수) : "우리 조국이 여기에 있다.우리는 조국을 떠나지도,굴복하지도 않을 것이다. 죽음도 두렵지 않다."
리비아 정부는 이번 공습으로 31명이 숨졌다며 나토를 맹비난했고, 카다피의 딸 아이샤는 나토를 전쟁 범죄 혐의로 고소했습니다.
하지만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카다피 축출은 시간 문제라며 압박 강도를 높였습니다.
<인터뷰> 버락 오바마(미국 대통령)
노동부 장관이 망명하는 등 권력 핵심부의 이탈이 계속되고, 국제 사회의 제재까지 확대되면서 카다피는 점점 궁지에 몰리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가 시민군 지도부와 잇따라 접촉하는 등 사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외교 행보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이영석입니다.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가 리비아 트피폴리에 작전 개시 이후 최대 규모의 폭격을 가했습니다.
카다피는 결사항전을 외쳤지만,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카다피 퇴진은 시간 문제라고 선언했습니다.
두바이에서 이영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가 포성과 검은 연기에 휩싸였습니다.
나토는 이례적으로 대낮 시간까지 공습을 확대하며 60여 차례 폭격에 나섰습니다.
나토의 최대 규모 공습에 카다피 관저 등 목표물은 처참하게 부서졌습니다.
마침 69번째 생일을 맞은 카다피는 공습 직후 결사 항전의 뜻을 밝혔습니다.
<인터뷰> 카다피(리비아 국가 원수) : "우리 조국이 여기에 있다.우리는 조국을 떠나지도,굴복하지도 않을 것이다. 죽음도 두렵지 않다."
리비아 정부는 이번 공습으로 31명이 숨졌다며 나토를 맹비난했고, 카다피의 딸 아이샤는 나토를 전쟁 범죄 혐의로 고소했습니다.
하지만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카다피 축출은 시간 문제라며 압박 강도를 높였습니다.
<인터뷰> 버락 오바마(미국 대통령)
노동부 장관이 망명하는 등 권력 핵심부의 이탈이 계속되고, 국제 사회의 제재까지 확대되면서 카다피는 점점 궁지에 몰리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가 시민군 지도부와 잇따라 접촉하는 등 사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외교 행보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이영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나토, 트리폴리 맹폭…“카다피 퇴진 시간 문제”
-
- 입력 2011-06-08 22:04:31

<앵커 멘트>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가 리비아 트피폴리에 작전 개시 이후 최대 규모의 폭격을 가했습니다.
카다피는 결사항전을 외쳤지만,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카다피 퇴진은 시간 문제라고 선언했습니다.
두바이에서 이영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가 포성과 검은 연기에 휩싸였습니다.
나토는 이례적으로 대낮 시간까지 공습을 확대하며 60여 차례 폭격에 나섰습니다.
나토의 최대 규모 공습에 카다피 관저 등 목표물은 처참하게 부서졌습니다.
마침 69번째 생일을 맞은 카다피는 공습 직후 결사 항전의 뜻을 밝혔습니다.
<인터뷰> 카다피(리비아 국가 원수) : "우리 조국이 여기에 있다.우리는 조국을 떠나지도,굴복하지도 않을 것이다. 죽음도 두렵지 않다."
리비아 정부는 이번 공습으로 31명이 숨졌다며 나토를 맹비난했고, 카다피의 딸 아이샤는 나토를 전쟁 범죄 혐의로 고소했습니다.
하지만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카다피 축출은 시간 문제라며 압박 강도를 높였습니다.
<인터뷰> 버락 오바마(미국 대통령)
노동부 장관이 망명하는 등 권력 핵심부의 이탈이 계속되고, 국제 사회의 제재까지 확대되면서 카다피는 점점 궁지에 몰리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과 러시아가 시민군 지도부와 잇따라 접촉하는 등 사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외교 행보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이영석입니다.
-
-
이영석 기자 zerostone@kbs.co.kr
이영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중동 민주화 시위 물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