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최근 군에서 훈련병이 뇌수막염으로 사망하면서 군 의료 체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치권에서는 전문 군의관을 안정적으로 양성하고 확보하기 위한 국방의학원 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홍성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됐다 구출되는 과정에서 총상을 입은 석해균 선장.
그러나 현장엔 전문의와 의료시설이 턱없이 부족했고, 석 선장은 사선의 고비를 여러차례 넘어야 했습니다.
국내 군 병원에선 여전히 군의관이 부족합니다.
때론 몇 시간씩 줄을 서 기다리는 것은 예사고, 그나마 치료시간도 촉박합니다.
<녹취>군병원 환자: "작업하다 보면 뼈를 다치고 하니까 정형외과는 사람들이 많아 오래 걸리는 것 같고..."
국회에선 의대와 의료계 반발로 좌초된 적이 있는 국방의학원 설립이 다시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군의관들중 상당수를 총상 등 외상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의료 인력으로 키우고, 테러 등 만일의 사태가 발생할 경우 민간인들도 군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일부 의원들은 관련 법안의 6월 국회 처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청와대도 법안 처리를 지지한다는 입장입니다.
<녹취>원유철(국회 국방위원장): "군 병원을 믿고 군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군의 의료체계 시스템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군도 민간업체와 협력해 야전 현장응급처치 물자와 이동 의무시설, 그리고 항공후송 응급처치 물자등을 개발해 일선에 보급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홍성철입니다.
최근 군에서 훈련병이 뇌수막염으로 사망하면서 군 의료 체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치권에서는 전문 군의관을 안정적으로 양성하고 확보하기 위한 국방의학원 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홍성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됐다 구출되는 과정에서 총상을 입은 석해균 선장.
그러나 현장엔 전문의와 의료시설이 턱없이 부족했고, 석 선장은 사선의 고비를 여러차례 넘어야 했습니다.
국내 군 병원에선 여전히 군의관이 부족합니다.
때론 몇 시간씩 줄을 서 기다리는 것은 예사고, 그나마 치료시간도 촉박합니다.
<녹취>군병원 환자: "작업하다 보면 뼈를 다치고 하니까 정형외과는 사람들이 많아 오래 걸리는 것 같고..."
국회에선 의대와 의료계 반발로 좌초된 적이 있는 국방의학원 설립이 다시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군의관들중 상당수를 총상 등 외상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의료 인력으로 키우고, 테러 등 만일의 사태가 발생할 경우 민간인들도 군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일부 의원들은 관련 법안의 6월 국회 처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청와대도 법안 처리를 지지한다는 입장입니다.
<녹취>원유철(국회 국방위원장): "군 병원을 믿고 군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군의 의료체계 시스템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군도 민간업체와 협력해 야전 현장응급처치 물자와 이동 의무시설, 그리고 항공후송 응급처치 물자등을 개발해 일선에 보급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홍성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방의학원 설립 재거론…軍 의무장비 확대
-
- 입력 2011-06-15 13:06:20

<앵커 멘트>
최근 군에서 훈련병이 뇌수막염으로 사망하면서 군 의료 체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치권에서는 전문 군의관을 안정적으로 양성하고 확보하기 위한 국방의학원 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홍성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됐다 구출되는 과정에서 총상을 입은 석해균 선장.
그러나 현장엔 전문의와 의료시설이 턱없이 부족했고, 석 선장은 사선의 고비를 여러차례 넘어야 했습니다.
국내 군 병원에선 여전히 군의관이 부족합니다.
때론 몇 시간씩 줄을 서 기다리는 것은 예사고, 그나마 치료시간도 촉박합니다.
<녹취>군병원 환자: "작업하다 보면 뼈를 다치고 하니까 정형외과는 사람들이 많아 오래 걸리는 것 같고..."
국회에선 의대와 의료계 반발로 좌초된 적이 있는 국방의학원 설립이 다시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군의관들중 상당수를 총상 등 외상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의료 인력으로 키우고, 테러 등 만일의 사태가 발생할 경우 민간인들도 군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일부 의원들은 관련 법안의 6월 국회 처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청와대도 법안 처리를 지지한다는 입장입니다.
<녹취>원유철(국회 국방위원장): "군 병원을 믿고 군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군의 의료체계 시스템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군도 민간업체와 협력해 야전 현장응급처치 물자와 이동 의무시설, 그리고 항공후송 응급처치 물자등을 개발해 일선에 보급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홍성철입니다.
-
-
홍성철 기자 hsc@kbs.co.kr
홍성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