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내년말 디지털 전환을 앞두고 지상파 방송사들이 추진중인 무료 다채널 서비스, '코리아뷰'에 대한 찬성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리아뷰 도입 문제에 대한 첫 여론 조사 결과를 유승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디지털 기술 발달로 무료로 20개 지상파 채널을 볼 수 있는 다채널 방송 서비스, '코리아뷰'에 대한 첫 여론조사에서 국민 10명중 9명이 찬성 의견을 밝혔습니다.
여론조사 기관인 동서 리서치가 일반 국민 천명을 면접 조사한 결과, 코리아뷰 도입에 찬성 또는 적극 찬성한다는 응답은 90.5%에 달했습니다.
도입시기에 대해서는 디지털로 전환되는 내년말까지 본방송이 이뤄져야한다는 응답이 31.9%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 연내에 정책이 결정된 뒤 빨리 방송이 시작돼야한다는 응답이 28.6%로 나타나 대체로 조기 도입을 원했습니다.
언론 관련 교수 1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문가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의 60.4%가 도입에 찬성했고 반대는 7.9%에 그쳤습니다.
특히 도입 찬성의 가장 큰 이유로는 62.3%가 채널 증가에 따른 보편적 시청권 보장을 꼽았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계기로 영국과 프랑스, 호주 등 선진국 대부분은 이미 코리아뷰와 유사한 서비스를 시행중이고, 우리 정부 역시 현재 도입 여부를 검토중입니다.
지난 4월 29일부터 한달 가까이 실시된 이번 여론 조사의 표본오차는, 일반인 대상은 95% 신뢰 수준에 ±3.1%p, 전문가 대상은 95% 신뢰수준에 ±7.5%p입니다.
KBS 뉴스 유승영입니다.
내년말 디지털 전환을 앞두고 지상파 방송사들이 추진중인 무료 다채널 서비스, '코리아뷰'에 대한 찬성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리아뷰 도입 문제에 대한 첫 여론 조사 결과를 유승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디지털 기술 발달로 무료로 20개 지상파 채널을 볼 수 있는 다채널 방송 서비스, '코리아뷰'에 대한 첫 여론조사에서 국민 10명중 9명이 찬성 의견을 밝혔습니다.
여론조사 기관인 동서 리서치가 일반 국민 천명을 면접 조사한 결과, 코리아뷰 도입에 찬성 또는 적극 찬성한다는 응답은 90.5%에 달했습니다.
도입시기에 대해서는 디지털로 전환되는 내년말까지 본방송이 이뤄져야한다는 응답이 31.9%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 연내에 정책이 결정된 뒤 빨리 방송이 시작돼야한다는 응답이 28.6%로 나타나 대체로 조기 도입을 원했습니다.
언론 관련 교수 1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문가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의 60.4%가 도입에 찬성했고 반대는 7.9%에 그쳤습니다.
특히 도입 찬성의 가장 큰 이유로는 62.3%가 채널 증가에 따른 보편적 시청권 보장을 꼽았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계기로 영국과 프랑스, 호주 등 선진국 대부분은 이미 코리아뷰와 유사한 서비스를 시행중이고, 우리 정부 역시 현재 도입 여부를 검토중입니다.
지난 4월 29일부터 한달 가까이 실시된 이번 여론 조사의 표본오차는, 일반인 대상은 95% 신뢰 수준에 ±3.1%p, 전문가 대상은 95% 신뢰수준에 ±7.5%p입니다.
KBS 뉴스 유승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민 90%, 무료 다채널 ‘코리아뷰’ 도입 찬성”
-
- 입력 2011-06-15 13:06:24

<앵커 멘트>
내년말 디지털 전환을 앞두고 지상파 방송사들이 추진중인 무료 다채널 서비스, '코리아뷰'에 대한 찬성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리아뷰 도입 문제에 대한 첫 여론 조사 결과를 유승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디지털 기술 발달로 무료로 20개 지상파 채널을 볼 수 있는 다채널 방송 서비스, '코리아뷰'에 대한 첫 여론조사에서 국민 10명중 9명이 찬성 의견을 밝혔습니다.
여론조사 기관인 동서 리서치가 일반 국민 천명을 면접 조사한 결과, 코리아뷰 도입에 찬성 또는 적극 찬성한다는 응답은 90.5%에 달했습니다.
도입시기에 대해서는 디지털로 전환되는 내년말까지 본방송이 이뤄져야한다는 응답이 31.9%로 가장 많았습니다.
또 연내에 정책이 결정된 뒤 빨리 방송이 시작돼야한다는 응답이 28.6%로 나타나 대체로 조기 도입을 원했습니다.
언론 관련 교수 1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문가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의 60.4%가 도입에 찬성했고 반대는 7.9%에 그쳤습니다.
특히 도입 찬성의 가장 큰 이유로는 62.3%가 채널 증가에 따른 보편적 시청권 보장을 꼽았습니다.
디지털 전환을 계기로 영국과 프랑스, 호주 등 선진국 대부분은 이미 코리아뷰와 유사한 서비스를 시행중이고, 우리 정부 역시 현재 도입 여부를 검토중입니다.
지난 4월 29일부터 한달 가까이 실시된 이번 여론 조사의 표본오차는, 일반인 대상은 95% 신뢰 수준에 ±3.1%p, 전문가 대상은 95% 신뢰수준에 ±7.5%p입니다.
KBS 뉴스 유승영입니다.
-
-
유승영 기자 ryoo1109@kbs.co.kr
유승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