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국토관리청이 발주한 하천 제방공사에서 불량 토사를 사용한 시공사 현장소장 3명이 검찰에 구속됐습니다.
이들은 공사비로 수억 원의 국비를 가로채 이 가운데 수천만 원을 유흥비로 썼습니다.
보도에 박장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전국토관리청이 발주한 하천 제방공사 현장입니다.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선 비탈면 붕괴와 지반 변형을 막는 게 공사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때문에 반드시 지정 연구기관에서 품질검사를 받고 양질의 흙을 사용하게 돼 있습니다.
하지만 시공사 현장소장 박 모씨는 관리감독이 허술한 것을 악용해 인근 야산에서 품질검사를 받지 않은 불량토사 4만 ㎥를 채취해 이를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근의 또다른 제방공사현장. 다른 시공사 소장인 박 모씨와 이 모씨도 불량 토사 9천 ㎥를 사용하다 검찰에 적발됐습니다.
하지만 관리감독을 하는 감리단과 대전국토관리청은 전혀 몰랐습니다.
<녹취>현장 감리 관계자(음성변조): "허가받은 토취장에서 제대로 들어오는지 한번 따라가보기도 하는데 매일 그렇게 하긴 힘듭니다."
검찰에 구속된 이들은 이런 방법으로 공사비 4억 원과 8천만 원을 각각 가로채 이 가운데 수천만 원씩을 유흥비로 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최재순(대전지검 공주지청): "불량 사토의 비율이 40% 정도 돼서 붕괴 위험이 높습니다."
검찰은 또 박씨와 이씨가 비자금 20억 원을 조성한 혐의를 포착해 사용처를 수사하고 있습니다.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뒤늦게 문제의 공사구간에 대해 정밀 재검사를 실시하고, 피해액을 회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장훈입니다.
국토관리청이 발주한 하천 제방공사에서 불량 토사를 사용한 시공사 현장소장 3명이 검찰에 구속됐습니다.
이들은 공사비로 수억 원의 국비를 가로채 이 가운데 수천만 원을 유흥비로 썼습니다.
보도에 박장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전국토관리청이 발주한 하천 제방공사 현장입니다.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선 비탈면 붕괴와 지반 변형을 막는 게 공사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때문에 반드시 지정 연구기관에서 품질검사를 받고 양질의 흙을 사용하게 돼 있습니다.
하지만 시공사 현장소장 박 모씨는 관리감독이 허술한 것을 악용해 인근 야산에서 품질검사를 받지 않은 불량토사 4만 ㎥를 채취해 이를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근의 또다른 제방공사현장. 다른 시공사 소장인 박 모씨와 이 모씨도 불량 토사 9천 ㎥를 사용하다 검찰에 적발됐습니다.
하지만 관리감독을 하는 감리단과 대전국토관리청은 전혀 몰랐습니다.
<녹취>현장 감리 관계자(음성변조): "허가받은 토취장에서 제대로 들어오는지 한번 따라가보기도 하는데 매일 그렇게 하긴 힘듭니다."
검찰에 구속된 이들은 이런 방법으로 공사비 4억 원과 8천만 원을 각각 가로채 이 가운데 수천만 원씩을 유흥비로 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최재순(대전지검 공주지청): "불량 사토의 비율이 40% 정도 돼서 붕괴 위험이 높습니다."
검찰은 또 박씨와 이씨가 비자금 20억 원을 조성한 혐의를 포착해 사용처를 수사하고 있습니다.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뒤늦게 문제의 공사구간에 대해 정밀 재검사를 실시하고, 피해액을 회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장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량토사 사용…공사비 수억 원 가로채
-
- 입력 2011-06-15 13:06:27

<앵커 멘트>
국토관리청이 발주한 하천 제방공사에서 불량 토사를 사용한 시공사 현장소장 3명이 검찰에 구속됐습니다.
이들은 공사비로 수억 원의 국비를 가로채 이 가운데 수천만 원을 유흥비로 썼습니다.
보도에 박장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전국토관리청이 발주한 하천 제방공사 현장입니다.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선 비탈면 붕괴와 지반 변형을 막는 게 공사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때문에 반드시 지정 연구기관에서 품질검사를 받고 양질의 흙을 사용하게 돼 있습니다.
하지만 시공사 현장소장 박 모씨는 관리감독이 허술한 것을 악용해 인근 야산에서 품질검사를 받지 않은 불량토사 4만 ㎥를 채취해 이를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근의 또다른 제방공사현장. 다른 시공사 소장인 박 모씨와 이 모씨도 불량 토사 9천 ㎥를 사용하다 검찰에 적발됐습니다.
하지만 관리감독을 하는 감리단과 대전국토관리청은 전혀 몰랐습니다.
<녹취>현장 감리 관계자(음성변조): "허가받은 토취장에서 제대로 들어오는지 한번 따라가보기도 하는데 매일 그렇게 하긴 힘듭니다."
검찰에 구속된 이들은 이런 방법으로 공사비 4억 원과 8천만 원을 각각 가로채 이 가운데 수천만 원씩을 유흥비로 쓴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최재순(대전지검 공주지청): "불량 사토의 비율이 40% 정도 돼서 붕괴 위험이 높습니다."
검찰은 또 박씨와 이씨가 비자금 20억 원을 조성한 혐의를 포착해 사용처를 수사하고 있습니다.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뒤늦게 문제의 공사구간에 대해 정밀 재검사를 실시하고, 피해액을 회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장훈입니다.
-
-
박장훈 기자 pjh@kbs.co.kr
박장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