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통신회사들이 최근 들어 휴대전화 판매점에 지나칠 정도로 많은 보조금을 주면서 가입자 뺏어오기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휴대전화 요금을 내리라고 할 때는 여력이 없어서 못 내리겠다고 하던 통신회사들의 이중적 행태를 우한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60만 원이 넘는 단말기가 공짜.
가입비, 위약금도 대신 내줍니다.
<녹취> 휴대전화 판매점 직원 : "3만 5천원짜리 요금제만 쓰셔도 공짜로 가져가실 수 있고요.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도 하나도 없이 가져가실 수 있어요."
이런 할인은 통신회사가 판매점에 지원하는 보조금 때문에 가능합니다.
이달 초 한 통신회사가 판매점에 제시한 단가표입니다.
일부 스마트폰의 경우, 가입자 한 명당 보조금 73만 원에다 추가 지급액 7만 5천 원까지, 모두 80만 원이 넘는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돼 있습니다.
<녹취> 휴대전화 판매점 관계자 : "(보조금을) 이렇게 많이 준 적은 없었어요. 기본요금 인하 방침도 얼마 전에 통과됐다고 알고 있고 그런 이슈들 때문에 조금 더 아무래도 가입자 유치가 훨씬 더 치열하지 않을까."
통신회사가 판매점에 주는 보조금은 회계 장부에 마케팅비 명목으로 잡힙니다.
결국, 요금에 전가된다는 얘기입니다.
<인터뷰>황희남(참여연대 사회경제팀 간사) : "이러한 과당 경쟁을 제한하고 규제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요금인하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본료 천원 인하에도 벌벌 떠는 통신사들, 가입자를 뺏어오는 보조금에는 돈을 펑펑 쏟아붓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통신회사들이 최근 들어 휴대전화 판매점에 지나칠 정도로 많은 보조금을 주면서 가입자 뺏어오기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휴대전화 요금을 내리라고 할 때는 여력이 없어서 못 내리겠다고 하던 통신회사들의 이중적 행태를 우한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60만 원이 넘는 단말기가 공짜.
가입비, 위약금도 대신 내줍니다.
<녹취> 휴대전화 판매점 직원 : "3만 5천원짜리 요금제만 쓰셔도 공짜로 가져가실 수 있고요.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도 하나도 없이 가져가실 수 있어요."
이런 할인은 통신회사가 판매점에 지원하는 보조금 때문에 가능합니다.
이달 초 한 통신회사가 판매점에 제시한 단가표입니다.
일부 스마트폰의 경우, 가입자 한 명당 보조금 73만 원에다 추가 지급액 7만 5천 원까지, 모두 80만 원이 넘는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돼 있습니다.
<녹취> 휴대전화 판매점 관계자 : "(보조금을) 이렇게 많이 준 적은 없었어요. 기본요금 인하 방침도 얼마 전에 통과됐다고 알고 있고 그런 이슈들 때문에 조금 더 아무래도 가입자 유치가 훨씬 더 치열하지 않을까."
통신회사가 판매점에 주는 보조금은 회계 장부에 마케팅비 명목으로 잡힙니다.
결국, 요금에 전가된다는 얘기입니다.
<인터뷰>황희남(참여연대 사회경제팀 간사) : "이러한 과당 경쟁을 제한하고 규제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요금인하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본료 천원 인하에도 벌벌 떠는 통신사들, 가입자를 뺏어오는 보조금에는 돈을 펑펑 쏟아붓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요금 인하 어렵다더니…’ 보조금 전쟁
-
- 입력 2011-06-21 07:04:36
<앵커 멘트>
통신회사들이 최근 들어 휴대전화 판매점에 지나칠 정도로 많은 보조금을 주면서 가입자 뺏어오기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휴대전화 요금을 내리라고 할 때는 여력이 없어서 못 내리겠다고 하던 통신회사들의 이중적 행태를 우한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60만 원이 넘는 단말기가 공짜.
가입비, 위약금도 대신 내줍니다.
<녹취> 휴대전화 판매점 직원 : "3만 5천원짜리 요금제만 쓰셔도 공짜로 가져가실 수 있고요.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도 하나도 없이 가져가실 수 있어요."
이런 할인은 통신회사가 판매점에 지원하는 보조금 때문에 가능합니다.
이달 초 한 통신회사가 판매점에 제시한 단가표입니다.
일부 스마트폰의 경우, 가입자 한 명당 보조금 73만 원에다 추가 지급액 7만 5천 원까지, 모두 80만 원이 넘는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돼 있습니다.
<녹취> 휴대전화 판매점 관계자 : "(보조금을) 이렇게 많이 준 적은 없었어요. 기본요금 인하 방침도 얼마 전에 통과됐다고 알고 있고 그런 이슈들 때문에 조금 더 아무래도 가입자 유치가 훨씬 더 치열하지 않을까."
통신회사가 판매점에 주는 보조금은 회계 장부에 마케팅비 명목으로 잡힙니다.
결국, 요금에 전가된다는 얘기입니다.
<인터뷰>황희남(참여연대 사회경제팀 간사) : "이러한 과당 경쟁을 제한하고 규제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요금인하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본료 천원 인하에도 벌벌 떠는 통신사들, 가입자를 뺏어오는 보조금에는 돈을 펑펑 쏟아붓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
우한울 기자 whw@kbs.co.kr
우한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