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일부 공기업 직원들이 노래방이나 유흥주점에서 많게는 억대의 비용을 법인카드로 지불한 사실이 국민권익위 조사로 드러났습니다.
유흥주점 등 특정 업소에서 결재가 안되도록 한 클린카드의 사용 제한까지 풀어가며 흥청망청 돈을 썼습니다.
송영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공사 직원들은 지난 2009년, 골프장과 노래방 접대비 1억 2천만 원을 법인카드로 냈습니다.
유흥업소 등에서 결제가 안되는 클린카드였지만, 카드사에 부탁해 사용제한을 풀었습니다.
회식 때마다 유흥주점을 찾아, 법인카드로 2천만원을 결제한 공기업 직원들도 있습니다.
<녹취>유흥주점 사장 (음성변조):"업소로 끊지말고 다른 가맹점으로 끊어달라고 얘기를 하지. 공무원들 와서 법인카드 쓰는 거 보면 그렇게 써요."
공공기관 6곳이 이런 식으로 처리한 비용이 지난 2년 동안 10억 원에 달한 것으로 국민권익위 조사 결과 드러났습니다.
공무원행동강령을 위반한 엄연한 불법 행위인데도, 부당 처리된 10억 원 가운데 환수액은 7천만 원에 불과합니다.
<인터뷰>부패방지국장:"클린카드가 도입되고 나서도 행태나 인식이 굉장히 낮습니다."
권익위는 그러나 해당기관들의 권익 보호차원에서 기관들의 실명은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법인카드 운용을 투명하게 하겠다며,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춘 공공기관은 전체 670여 곳 가운데 40여 곳에 불과합니다.
2007년부터 정부가 모든 공공기관에 클린카드 사용을 의무화했지만 무늬만 클린카드였던 셈입니다.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일부 공기업 직원들이 노래방이나 유흥주점에서 많게는 억대의 비용을 법인카드로 지불한 사실이 국민권익위 조사로 드러났습니다.
유흥주점 등 특정 업소에서 결재가 안되도록 한 클린카드의 사용 제한까지 풀어가며 흥청망청 돈을 썼습니다.
송영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공사 직원들은 지난 2009년, 골프장과 노래방 접대비 1억 2천만 원을 법인카드로 냈습니다.
유흥업소 등에서 결제가 안되는 클린카드였지만, 카드사에 부탁해 사용제한을 풀었습니다.
회식 때마다 유흥주점을 찾아, 법인카드로 2천만원을 결제한 공기업 직원들도 있습니다.
<녹취>유흥주점 사장 (음성변조):"업소로 끊지말고 다른 가맹점으로 끊어달라고 얘기를 하지. 공무원들 와서 법인카드 쓰는 거 보면 그렇게 써요."
공공기관 6곳이 이런 식으로 처리한 비용이 지난 2년 동안 10억 원에 달한 것으로 국민권익위 조사 결과 드러났습니다.
공무원행동강령을 위반한 엄연한 불법 행위인데도, 부당 처리된 10억 원 가운데 환수액은 7천만 원에 불과합니다.
<인터뷰>부패방지국장:"클린카드가 도입되고 나서도 행태나 인식이 굉장히 낮습니다."
권익위는 그러나 해당기관들의 권익 보호차원에서 기관들의 실명은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법인카드 운용을 투명하게 하겠다며,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춘 공공기관은 전체 670여 곳 가운데 40여 곳에 불과합니다.
2007년부터 정부가 모든 공공기관에 클린카드 사용을 의무화했지만 무늬만 클린카드였던 셈입니다.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부 공기업 직원 클린카드로 유흥비 ‘펑펑’
-
- 입력 2011-06-21 23:48:56
<앵커 멘트>
일부 공기업 직원들이 노래방이나 유흥주점에서 많게는 억대의 비용을 법인카드로 지불한 사실이 국민권익위 조사로 드러났습니다.
유흥주점 등 특정 업소에서 결재가 안되도록 한 클린카드의 사용 제한까지 풀어가며 흥청망청 돈을 썼습니다.
송영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공사 직원들은 지난 2009년, 골프장과 노래방 접대비 1억 2천만 원을 법인카드로 냈습니다.
유흥업소 등에서 결제가 안되는 클린카드였지만, 카드사에 부탁해 사용제한을 풀었습니다.
회식 때마다 유흥주점을 찾아, 법인카드로 2천만원을 결제한 공기업 직원들도 있습니다.
<녹취>유흥주점 사장 (음성변조):"업소로 끊지말고 다른 가맹점으로 끊어달라고 얘기를 하지. 공무원들 와서 법인카드 쓰는 거 보면 그렇게 써요."
공공기관 6곳이 이런 식으로 처리한 비용이 지난 2년 동안 10억 원에 달한 것으로 국민권익위 조사 결과 드러났습니다.
공무원행동강령을 위반한 엄연한 불법 행위인데도, 부당 처리된 10억 원 가운데 환수액은 7천만 원에 불과합니다.
<인터뷰>부패방지국장:"클린카드가 도입되고 나서도 행태나 인식이 굉장히 낮습니다."
권익위는 그러나 해당기관들의 권익 보호차원에서 기관들의 실명은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법인카드 운용을 투명하게 하겠다며,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춘 공공기관은 전체 670여 곳 가운데 40여 곳에 불과합니다.
2007년부터 정부가 모든 공공기관에 클린카드 사용을 의무화했지만 무늬만 클린카드였던 셈입니다.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
-
송영석 기자 sys@kbs.co.kr
송영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