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중국 정부가 50년 전 북한과 맺은 우호협력 조약이 앞으로 10년은 더 유효하다고, 처음 공식 입장을 밝혔습니다.
노림수가 무엇인지 상하이 손관수 특파원이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북중 우호협력 조약 50주년인 오늘 두나라간 축하 행사는 예상외로 간소하게 치러졌습니다.
축하 사절이 교환됐지만 떠들썩한 모습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오늘 매우 중요한 사항이 발표됐습니다.
중국은 오늘 '자동 군사개입 조항'이 핵심인 두나라간 조약의 유효기간이 20년이며 지금까지 두번 자동 연장됐고 2001년 연장된 조약의 유효기간은 2021년이라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녹취> cctv 보도 : "조약은 (1961년) 9월10일 효력이 발생했고 1981년, 2001년 자동연장됐다. 현재 조약은 2021년까지 유효하다."
조약의 유효기간이 20년이라는 것도 처음 밝혀진 것입니다.
중국이 조약의 유효기간을 밝힌 것은 '북중 우호조약이 이미 사문화' 된 것 아니냐는 중국 국내외의 비판과 주장을 우회적으로 반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다시 말해 최근 일고 있는 북한 위기론과 계속되는 북한 압박에 대해 중국은 북한을 지원할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으로도 해석됩니다.
또한 북한에 대해서도 중국식의 개방 요구를 받지 않으며 시한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는 양수 겸장의 효과를 노린 것이란 분석도 제기됩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손관수입니다.
중국 정부가 50년 전 북한과 맺은 우호협력 조약이 앞으로 10년은 더 유효하다고, 처음 공식 입장을 밝혔습니다.
노림수가 무엇인지 상하이 손관수 특파원이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북중 우호협력 조약 50주년인 오늘 두나라간 축하 행사는 예상외로 간소하게 치러졌습니다.
축하 사절이 교환됐지만 떠들썩한 모습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오늘 매우 중요한 사항이 발표됐습니다.
중국은 오늘 '자동 군사개입 조항'이 핵심인 두나라간 조약의 유효기간이 20년이며 지금까지 두번 자동 연장됐고 2001년 연장된 조약의 유효기간은 2021년이라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녹취> cctv 보도 : "조약은 (1961년) 9월10일 효력이 발생했고 1981년, 2001년 자동연장됐다. 현재 조약은 2021년까지 유효하다."
조약의 유효기간이 20년이라는 것도 처음 밝혀진 것입니다.
중국이 조약의 유효기간을 밝힌 것은 '북중 우호조약이 이미 사문화' 된 것 아니냐는 중국 국내외의 비판과 주장을 우회적으로 반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다시 말해 최근 일고 있는 북한 위기론과 계속되는 북한 압박에 대해 중국은 북한을 지원할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으로도 해석됩니다.
또한 북한에 대해서도 중국식의 개방 요구를 받지 않으며 시한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는 양수 겸장의 효과를 노린 것이란 분석도 제기됩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손관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북·중 우호협력조약 2021년까지 유효”
-
- 입력 2011-07-11 22:07:59
<앵커 멘트>
중국 정부가 50년 전 북한과 맺은 우호협력 조약이 앞으로 10년은 더 유효하다고, 처음 공식 입장을 밝혔습니다.
노림수가 무엇인지 상하이 손관수 특파원이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북중 우호협력 조약 50주년인 오늘 두나라간 축하 행사는 예상외로 간소하게 치러졌습니다.
축하 사절이 교환됐지만 떠들썩한 모습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오늘 매우 중요한 사항이 발표됐습니다.
중국은 오늘 '자동 군사개입 조항'이 핵심인 두나라간 조약의 유효기간이 20년이며 지금까지 두번 자동 연장됐고 2001년 연장된 조약의 유효기간은 2021년이라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녹취> cctv 보도 : "조약은 (1961년) 9월10일 효력이 발생했고 1981년, 2001년 자동연장됐다. 현재 조약은 2021년까지 유효하다."
조약의 유효기간이 20년이라는 것도 처음 밝혀진 것입니다.
중국이 조약의 유효기간을 밝힌 것은 '북중 우호조약이 이미 사문화' 된 것 아니냐는 중국 국내외의 비판과 주장을 우회적으로 반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다시 말해 최근 일고 있는 북한 위기론과 계속되는 북한 압박에 대해 중국은 북한을 지원할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으로도 해석됩니다.
또한 북한에 대해서도 중국식의 개방 요구를 받지 않으며 시한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는 양수 겸장의 효과를 노린 것이란 분석도 제기됩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손관수입니다.
-
-
손관수 기자 sks-36@kbs.co.kr
손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