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허위 확인서 작성…문제 사전 유출 가능
입력 2011.07.18 (21:05)
수정 2011.07.18 (23: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앞서 보았듯이 수험생 자녀가 있는데도 출제위원단으로 선정될 경우 사전 문제 유출 가능성이 얼마든지 제기될 수 있습니다.
출제위원으로 합숙하기에 앞서 2-3주간 준비기간을 주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유광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감사원에 적발된 11명의 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단은 대부분 대학 교수입니다.
출제요원으로 선정되면 한 달 동안 합숙에 들어가기 전에 학교 강의나 업무를 정리할 수 있도록 2~3주의 신변 정리기간을 줍니다.
입시 전문가들은 이 기간 동안 수험생 자녀에게 출제경향과 문제 유형 등을 알려 줄 수 있다고 말합니다.
<녹취> 입시 전문가(음성변조) : "자기 얘가 고3이라면 인정상 (출제요원이) 언어 담당이라면 "이 지문을 봐라"든지 무슨 얘긴들 못하겠어요?"
여기에다 참고서와 문제집 등 출제위원마다 개별 자료를 갖고 합숙에 들어가기 때문에 이들 자료에 대해서도 수험생 자녀에게 정보를 줄 수 있습니다.
평가원은 서약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데도 소홀했습니다.
출제와 검토 위원은 500명 정도로 주민등록 관련 서류만으로 사실 확인을 쉽게 할 수 있는데도 이를 하지 않은 것입니다.
<녹취> 前 수능 출제위원(음성변조) : "그건 배임이잖아요. 만약에 그런 경우가 있다면 형사책임을 져야죠."
교육과학기술부는 그러나 시험 출제와 평가의 전 과정을 평가원에 위임했기때문에 출제위원단 관리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앞서 보았듯이 수험생 자녀가 있는데도 출제위원단으로 선정될 경우 사전 문제 유출 가능성이 얼마든지 제기될 수 있습니다.
출제위원으로 합숙하기에 앞서 2-3주간 준비기간을 주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유광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감사원에 적발된 11명의 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단은 대부분 대학 교수입니다.
출제요원으로 선정되면 한 달 동안 합숙에 들어가기 전에 학교 강의나 업무를 정리할 수 있도록 2~3주의 신변 정리기간을 줍니다.
입시 전문가들은 이 기간 동안 수험생 자녀에게 출제경향과 문제 유형 등을 알려 줄 수 있다고 말합니다.
<녹취> 입시 전문가(음성변조) : "자기 얘가 고3이라면 인정상 (출제요원이) 언어 담당이라면 "이 지문을 봐라"든지 무슨 얘긴들 못하겠어요?"
여기에다 참고서와 문제집 등 출제위원마다 개별 자료를 갖고 합숙에 들어가기 때문에 이들 자료에 대해서도 수험생 자녀에게 정보를 줄 수 있습니다.
평가원은 서약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데도 소홀했습니다.
출제와 검토 위원은 500명 정도로 주민등록 관련 서류만으로 사실 확인을 쉽게 할 수 있는데도 이를 하지 않은 것입니다.
<녹취> 前 수능 출제위원(음성변조) : "그건 배임이잖아요. 만약에 그런 경우가 있다면 형사책임을 져야죠."
교육과학기술부는 그러나 시험 출제와 평가의 전 과정을 평가원에 위임했기때문에 출제위원단 관리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허위 확인서 작성…문제 사전 유출 가능
-
- 입력 2011-07-18 21:05:40
- 수정2011-07-18 23:00:10

<앵커 멘트>
앞서 보았듯이 수험생 자녀가 있는데도 출제위원단으로 선정될 경우 사전 문제 유출 가능성이 얼마든지 제기될 수 있습니다.
출제위원으로 합숙하기에 앞서 2-3주간 준비기간을 주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유광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감사원에 적발된 11명의 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단은 대부분 대학 교수입니다.
출제요원으로 선정되면 한 달 동안 합숙에 들어가기 전에 학교 강의나 업무를 정리할 수 있도록 2~3주의 신변 정리기간을 줍니다.
입시 전문가들은 이 기간 동안 수험생 자녀에게 출제경향과 문제 유형 등을 알려 줄 수 있다고 말합니다.
<녹취> 입시 전문가(음성변조) : "자기 얘가 고3이라면 인정상 (출제요원이) 언어 담당이라면 "이 지문을 봐라"든지 무슨 얘긴들 못하겠어요?"
여기에다 참고서와 문제집 등 출제위원마다 개별 자료를 갖고 합숙에 들어가기 때문에 이들 자료에 대해서도 수험생 자녀에게 정보를 줄 수 있습니다.
평가원은 서약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데도 소홀했습니다.
출제와 검토 위원은 500명 정도로 주민등록 관련 서류만으로 사실 확인을 쉽게 할 수 있는데도 이를 하지 않은 것입니다.
<녹취> 前 수능 출제위원(음성변조) : "그건 배임이잖아요. 만약에 그런 경우가 있다면 형사책임을 져야죠."
교육과학기술부는 그러나 시험 출제와 평가의 전 과정을 평가원에 위임했기때문에 출제위원단 관리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
-
유광석 기자 ksyoo@kbs.co.kr
유광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