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국조 ‘지지부진’…특검으로 가나?
입력 2011.08.01 (06:34)
수정 2011.08.01 (15: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회 저축은행 국정조사 특위 활동이 종반으로 접어들었지만 피해자 구제 대책도, 청문회 증인채택 협의도 지지부진합니다.
이러다 보니 청문회가 무산되면 특검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박지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회 저축은행 국조특위는 내일부터 총리실과 감사원 대검 등으로부터 기관보고를 받습니다.
하지만 여야가 총리 등 전현직 고위공직자와 박지만 씨 부부 등을 증인으로 채택할 것인지를 놓고 팽팽히 맞서면서 청문회는 개최 여부조차 불투명합니다.
정두언 국조특위 위원장은 여야가 증인 채택에 합의하지 못해 청문회가 무산될 경우, 특검체제로 가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정두언(국회 국정조사특위 위원장) : "국민적 의혹과 공분을 풀지 못한채 특위 종료해 이 문제는 결국 특검으로 갈 수밖에 없어."
이에 대해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저축은행 문제를 특검으로 떠넘기는데 급급해하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녹취>이용섭(민주당 대변인) : "한나라당은 국정조사 특위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루빨리 증인 채택에 협조해 주길 바란다."
피해 대책 마련에는 여야 모두 적극적이지만 민주당은 저축은행 자산매각 등으로 피해액을 보전하자고 주장하고 있고 한나라당은 예금자보호법 개정과 특별법 제정까지 검토하자는 입장입니다.
이처럼 증인채택 등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는 국조특위는 전체 46일의 활동기간 가운데 12일만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은입니다.
국회 저축은행 국정조사 특위 활동이 종반으로 접어들었지만 피해자 구제 대책도, 청문회 증인채택 협의도 지지부진합니다.
이러다 보니 청문회가 무산되면 특검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박지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회 저축은행 국조특위는 내일부터 총리실과 감사원 대검 등으로부터 기관보고를 받습니다.
하지만 여야가 총리 등 전현직 고위공직자와 박지만 씨 부부 등을 증인으로 채택할 것인지를 놓고 팽팽히 맞서면서 청문회는 개최 여부조차 불투명합니다.
정두언 국조특위 위원장은 여야가 증인 채택에 합의하지 못해 청문회가 무산될 경우, 특검체제로 가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정두언(국회 국정조사특위 위원장) : "국민적 의혹과 공분을 풀지 못한채 특위 종료해 이 문제는 결국 특검으로 갈 수밖에 없어."
이에 대해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저축은행 문제를 특검으로 떠넘기는데 급급해하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녹취>이용섭(민주당 대변인) : "한나라당은 국정조사 특위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루빨리 증인 채택에 협조해 주길 바란다."
피해 대책 마련에는 여야 모두 적극적이지만 민주당은 저축은행 자산매각 등으로 피해액을 보전하자고 주장하고 있고 한나라당은 예금자보호법 개정과 특별법 제정까지 검토하자는 입장입니다.
이처럼 증인채택 등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는 국조특위는 전체 46일의 활동기간 가운데 12일만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저축은행 국조 ‘지지부진’…특검으로 가나?
-
- 입력 2011-08-01 06:34:17
- 수정2011-08-01 15:30:26

<앵커 멘트>
국회 저축은행 국정조사 특위 활동이 종반으로 접어들었지만 피해자 구제 대책도, 청문회 증인채택 협의도 지지부진합니다.
이러다 보니 청문회가 무산되면 특검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박지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회 저축은행 국조특위는 내일부터 총리실과 감사원 대검 등으로부터 기관보고를 받습니다.
하지만 여야가 총리 등 전현직 고위공직자와 박지만 씨 부부 등을 증인으로 채택할 것인지를 놓고 팽팽히 맞서면서 청문회는 개최 여부조차 불투명합니다.
정두언 국조특위 위원장은 여야가 증인 채택에 합의하지 못해 청문회가 무산될 경우, 특검체제로 가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녹취>정두언(국회 국정조사특위 위원장) : "국민적 의혹과 공분을 풀지 못한채 특위 종료해 이 문제는 결국 특검으로 갈 수밖에 없어."
이에 대해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저축은행 문제를 특검으로 떠넘기는데 급급해하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녹취>이용섭(민주당 대변인) : "한나라당은 국정조사 특위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루빨리 증인 채택에 협조해 주길 바란다."
피해 대책 마련에는 여야 모두 적극적이지만 민주당은 저축은행 자산매각 등으로 피해액을 보전하자고 주장하고 있고 한나라당은 예금자보호법 개정과 특별법 제정까지 검토하자는 입장입니다.
이처럼 증인채택 등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는 국조특위는 전체 46일의 활동기간 가운데 12일만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지은입니다.
-
-
박지은 기자 now@kbs.co.kr
박지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