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면초가’ 카다피은 행방은?…망명? 반격?
입력 2011.08.22 (22:05)
수정 2011.08.23 (10: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카다피는 지금 어디에 있는 걸까요? 이미 해외로 망명했다는 설과 함께 리비아 국내에서 최후의 항전을 준비하고 있다는 관측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박장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42년 철권통치의 마지막 기반인 트리폴리마저 무너지기 시작한 순간,,,
독재자 카다피의 절박한 목소리가 전파를 탔습니다.
<녹취> 카다피(리비아 국가원수)
이 방송을 분석한 전문가들은 평소 카다피가 녹음하던 곳이 아닌 제 3의 장소에서 녹음됐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카다피가 해외 망명을 위해 국경으로 이동 중이거나 이미 탈출했다는 설이 나오는 배경입니다.
시민군의 대표기구인 국가위원회 샴만 대변인도 카다피가 알제리로 망명했을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그가 리비아 내에 있더라도 안전을 보장할 거란 메시지를 밝혔습니다.
그러나, 카다피가 트리폴리의 비밀 은신처,,
혹은 사막 기지 등에서 반격을 준비 중이란 분석도 있습니다.
그의 고향인 트리폴리 남동쪽 시르테가 유력한 은거지로 꼽히고 있습니다.
국제형사재판소의 체포영장이 발부된 그를 찾기위한 연합군과 시민군의 작전은 시작됐습니다.
42년 철권통치를 휘둘렀던 독재자 카다피는 이제 국민으로부터 버림받고 숨어있습니다.
결사항전을 외치고 사라진 카다피의 행방은 앞으로 리비아 정국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박장범입니다.
카다피는 지금 어디에 있는 걸까요? 이미 해외로 망명했다는 설과 함께 리비아 국내에서 최후의 항전을 준비하고 있다는 관측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박장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42년 철권통치의 마지막 기반인 트리폴리마저 무너지기 시작한 순간,,,
독재자 카다피의 절박한 목소리가 전파를 탔습니다.
<녹취> 카다피(리비아 국가원수)
이 방송을 분석한 전문가들은 평소 카다피가 녹음하던 곳이 아닌 제 3의 장소에서 녹음됐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카다피가 해외 망명을 위해 국경으로 이동 중이거나 이미 탈출했다는 설이 나오는 배경입니다.
시민군의 대표기구인 국가위원회 샴만 대변인도 카다피가 알제리로 망명했을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그가 리비아 내에 있더라도 안전을 보장할 거란 메시지를 밝혔습니다.
그러나, 카다피가 트리폴리의 비밀 은신처,,
혹은 사막 기지 등에서 반격을 준비 중이란 분석도 있습니다.
그의 고향인 트리폴리 남동쪽 시르테가 유력한 은거지로 꼽히고 있습니다.
국제형사재판소의 체포영장이 발부된 그를 찾기위한 연합군과 시민군의 작전은 시작됐습니다.
42년 철권통치를 휘둘렀던 독재자 카다피는 이제 국민으로부터 버림받고 숨어있습니다.
결사항전을 외치고 사라진 카다피의 행방은 앞으로 리비아 정국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박장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면초가’ 카다피은 행방은?…망명? 반격?
-
- 입력 2011-08-22 22:05:25
- 수정2011-08-23 10:47:28
![](/data/news/2011/08/22/2344361_30.jpg)
<앵커 멘트>
카다피는 지금 어디에 있는 걸까요? 이미 해외로 망명했다는 설과 함께 리비아 국내에서 최후의 항전을 준비하고 있다는 관측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박장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42년 철권통치의 마지막 기반인 트리폴리마저 무너지기 시작한 순간,,,
독재자 카다피의 절박한 목소리가 전파를 탔습니다.
<녹취> 카다피(리비아 국가원수)
이 방송을 분석한 전문가들은 평소 카다피가 녹음하던 곳이 아닌 제 3의 장소에서 녹음됐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카다피가 해외 망명을 위해 국경으로 이동 중이거나 이미 탈출했다는 설이 나오는 배경입니다.
시민군의 대표기구인 국가위원회 샴만 대변인도 카다피가 알제리로 망명했을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그가 리비아 내에 있더라도 안전을 보장할 거란 메시지를 밝혔습니다.
그러나, 카다피가 트리폴리의 비밀 은신처,,
혹은 사막 기지 등에서 반격을 준비 중이란 분석도 있습니다.
그의 고향인 트리폴리 남동쪽 시르테가 유력한 은거지로 꼽히고 있습니다.
국제형사재판소의 체포영장이 발부된 그를 찾기위한 연합군과 시민군의 작전은 시작됐습니다.
42년 철권통치를 휘둘렀던 독재자 카다피는 이제 국민으로부터 버림받고 숨어있습니다.
결사항전을 외치고 사라진 카다피의 행방은 앞으로 리비아 정국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런던에서 KBS 뉴스 박장범입니다.
-
-
박장범 기자 newsguy@kbs.co.kr
박장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중동 민주화 시위 물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