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비에 천일염 생산량 급감…가격 ‘껑충’
입력 2011.08.22 (22:05)
수정 2011.08.23 (10: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올여름 잦은 비에 천일염 생산 어민들이 애를 태우고 있습니다.
생산량은 크게 줄고 가격은 껑충 뛰었습니다.
이성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국 천일염의 65%를 생산하는 전남 신안군의 한 염전입니다.
하지만, 바닷물은 없고 맨바닥을 드러냈습니다.
계속된 비로 소금 생산을 포기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최경식(천일염 생산자) : "여름에 비도 많이 오고 태풍도 오고 (이런 것이) 겹쳐서 생산을 하지도 못하고, 애타죠. 고생만 많이 하고.."
충남 태안의 이 염전은 바닷물은 채워졌지만, 소금 결정이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호남과 충청 등 전국 천일염 산지마다 생산량이 줄면서 갓 수확한 소금으로 가득해야 할 창고는 텅 빈 곳이 많습니다.
일조량이 가장 많은 7~8월에 천일염의 50%가 생산되지만, 신안지역의 경우 지난 50여 일 동안 30일 넘게 비가 내렸습니다.
맑은 날이 나흘가량 이어져야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수확한 날은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이 때문에 올해 생산량은 22만 톤으로, 평년의 28만 톤보다 크게 줄었습니다.
가격도 30kg 산지 기준 만 3천 원 선으로, 지난해보다 4천 원 이상 급등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제갈 정섭(대한 염업조합 이사장) : "소비지역에서 가격이 상승하다 보니까 판매도 좀 부진하고요.."
가을에도 일조량이 부족하면 김장철 소금값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천일염 생산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올여름 잦은 비에 천일염 생산 어민들이 애를 태우고 있습니다.
생산량은 크게 줄고 가격은 껑충 뛰었습니다.
이성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국 천일염의 65%를 생산하는 전남 신안군의 한 염전입니다.
하지만, 바닷물은 없고 맨바닥을 드러냈습니다.
계속된 비로 소금 생산을 포기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최경식(천일염 생산자) : "여름에 비도 많이 오고 태풍도 오고 (이런 것이) 겹쳐서 생산을 하지도 못하고, 애타죠. 고생만 많이 하고.."
충남 태안의 이 염전은 바닷물은 채워졌지만, 소금 결정이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호남과 충청 등 전국 천일염 산지마다 생산량이 줄면서 갓 수확한 소금으로 가득해야 할 창고는 텅 빈 곳이 많습니다.
일조량이 가장 많은 7~8월에 천일염의 50%가 생산되지만, 신안지역의 경우 지난 50여 일 동안 30일 넘게 비가 내렸습니다.
맑은 날이 나흘가량 이어져야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수확한 날은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이 때문에 올해 생산량은 22만 톤으로, 평년의 28만 톤보다 크게 줄었습니다.
가격도 30kg 산지 기준 만 3천 원 선으로, 지난해보다 4천 원 이상 급등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제갈 정섭(대한 염업조합 이사장) : "소비지역에서 가격이 상승하다 보니까 판매도 좀 부진하고요.."
가을에도 일조량이 부족하면 김장철 소금값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천일염 생산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잦은 비에 천일염 생산량 급감…가격 ‘껑충’
-
- 입력 2011-08-22 22:05:35
- 수정2011-08-23 10:47:38
![](/data/news/2011/08/22/2344377_190.jpg)
<앵커 멘트>
올여름 잦은 비에 천일염 생산 어민들이 애를 태우고 있습니다.
생산량은 크게 줄고 가격은 껑충 뛰었습니다.
이성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국 천일염의 65%를 생산하는 전남 신안군의 한 염전입니다.
하지만, 바닷물은 없고 맨바닥을 드러냈습니다.
계속된 비로 소금 생산을 포기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최경식(천일염 생산자) : "여름에 비도 많이 오고 태풍도 오고 (이런 것이) 겹쳐서 생산을 하지도 못하고, 애타죠. 고생만 많이 하고.."
충남 태안의 이 염전은 바닷물은 채워졌지만, 소금 결정이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호남과 충청 등 전국 천일염 산지마다 생산량이 줄면서 갓 수확한 소금으로 가득해야 할 창고는 텅 빈 곳이 많습니다.
일조량이 가장 많은 7~8월에 천일염의 50%가 생산되지만, 신안지역의 경우 지난 50여 일 동안 30일 넘게 비가 내렸습니다.
맑은 날이 나흘가량 이어져야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수확한 날은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이 때문에 올해 생산량은 22만 톤으로, 평년의 28만 톤보다 크게 줄었습니다.
가격도 30kg 산지 기준 만 3천 원 선으로, 지난해보다 4천 원 이상 급등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제갈 정섭(대한 염업조합 이사장) : "소비지역에서 가격이 상승하다 보니까 판매도 좀 부진하고요.."
가을에도 일조량이 부족하면 김장철 소금값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천일염 생산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KBS 뉴스 이성각입니다.
-
-
이성각 기자 drill@kbs.co.kr
이성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