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광물 가격 상승으로 북한의 주요 지하자원 잠재가치가 지난달 현재 기준으로 10조 4천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민간 연구소인 북한자원연구소는 북한의 지하자원 잠재가치는 지난 2009년보다 39.3% 증가했으며 남한은 같은 기간 44.5% 증가한 4천700억 달러로 추정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연구소는 그동안 공개된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북한의 자원별 매장량에 2009년부터 1년간의 시세변화를 적용해 잠재가치를 계산했다고 밝혔습니다.
주요 광물별로 보면 북한의 금 잠재가치는 천346억 8천700만 달러로 남한의 67배였고, 철광석은 7천946억 7천700만 달러로 남한의 133배였습니다.
연구소는 북한에서 가장 잠재가치가 높은 광물은 석탄으로 3조 4천802억 2천만 달러였고, 마그네사이트와 석회석 등의 순으로 잠재가치가 높은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또 북한 우라늄은 163억 300만 달러로 남한의 4배에 달했습니다.
다만, 희토류의 경우 북한의 잠재가치는 442억 천100만 달러로 958억 7천200만 달러로 추정되는 남한에 비해 오히려 낮았습니다.
연구소는 이번 매장량 산출에 인용된 여러 자료들은 북한의 책임있는 기관의 확인을 거치지 못했고, 누락된 광산이 다수 있기 때문에 공식적인 통계수치로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오류 가능성을 전제했습니다.
민간 연구소인 북한자원연구소는 북한의 지하자원 잠재가치는 지난 2009년보다 39.3% 증가했으며 남한은 같은 기간 44.5% 증가한 4천700억 달러로 추정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연구소는 그동안 공개된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북한의 자원별 매장량에 2009년부터 1년간의 시세변화를 적용해 잠재가치를 계산했다고 밝혔습니다.
주요 광물별로 보면 북한의 금 잠재가치는 천346억 8천700만 달러로 남한의 67배였고, 철광석은 7천946억 7천700만 달러로 남한의 133배였습니다.
연구소는 북한에서 가장 잠재가치가 높은 광물은 석탄으로 3조 4천802억 2천만 달러였고, 마그네사이트와 석회석 등의 순으로 잠재가치가 높은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또 북한 우라늄은 163억 300만 달러로 남한의 4배에 달했습니다.
다만, 희토류의 경우 북한의 잠재가치는 442억 천100만 달러로 958억 7천200만 달러로 추정되는 남한에 비해 오히려 낮았습니다.
연구소는 이번 매장량 산출에 인용된 여러 자료들은 북한의 책임있는 기관의 확인을 거치지 못했고, 누락된 광산이 다수 있기 때문에 공식적인 통계수치로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오류 가능성을 전제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주요 지하자원 잠재가치 10조 4천억 달러”
-
- 입력 2011-08-23 19:34:43
최근 광물 가격 상승으로 북한의 주요 지하자원 잠재가치가 지난달 현재 기준으로 10조 4천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민간 연구소인 북한자원연구소는 북한의 지하자원 잠재가치는 지난 2009년보다 39.3% 증가했으며 남한은 같은 기간 44.5% 증가한 4천700억 달러로 추정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연구소는 그동안 공개된 자료를 토대로 산출한 북한의 자원별 매장량에 2009년부터 1년간의 시세변화를 적용해 잠재가치를 계산했다고 밝혔습니다.
주요 광물별로 보면 북한의 금 잠재가치는 천346억 8천700만 달러로 남한의 67배였고, 철광석은 7천946억 7천700만 달러로 남한의 133배였습니다.
연구소는 북한에서 가장 잠재가치가 높은 광물은 석탄으로 3조 4천802억 2천만 달러였고, 마그네사이트와 석회석 등의 순으로 잠재가치가 높은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또 북한 우라늄은 163억 300만 달러로 남한의 4배에 달했습니다.
다만, 희토류의 경우 북한의 잠재가치는 442억 천100만 달러로 958억 7천200만 달러로 추정되는 남한에 비해 오히려 낮았습니다.
연구소는 이번 매장량 산출에 인용된 여러 자료들은 북한의 책임있는 기관의 확인을 거치지 못했고, 누락된 광산이 다수 있기 때문에 공식적인 통계수치로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오류 가능성을 전제했습니다.
-
-
조지현 기자 cho2008@kbs.co.kr
조지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