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은행, 중도상환 수수료 ‘힘겨루기’

입력 2011.08.31 (06:40) 수정 2011.08.31 (16: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은행에서 빌린 돈을 약정 기간이 되기 전에 미리 갚을 경우 0.5에서 1.5%까지 벌금 성격의 '중도상환수수료'를 물어야 합니다.

지금 금융당국과 은행업계가 이 수수료 면제 문제를 높고 논란 중인데 과연 없앨 수는 없는지, 박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억 원 가량의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신모 씨.

여윳돈이 생겨 대출을 갚으려고 했지만 중도 상환 수수료가 150만 원이나 된다는 말에 포기했습니다.

<인터뷰> 신 OO : "그렇게 안 되더라구요. 그렇게 하면 수수료를 물어야 된다고 오히려 비싸다는 거야. 안 된다고 그냥 적금을 들어서 갚아라 그러더라고."

신씨 같은 사람을 위해 금융당국이 중도상환 수수료 철폐를 추진중입니다.

수수료가 없어지면 중도상환이 늘어나 가계부채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겁니다.

반면 은행들은 인건비 등 비용이 발생하는 데다 자금운용계획마저 틀어진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유윤상(은행연합회) : "모든 대출에 대해 중도상환 수수료를 면제하거나 줄이는 것은 대출 관련 비용 회수가 어렵고 빈번한 대출 이동으로 시장 혼란 등의 유려가 있어......."

하지만 지난해 국내 은행들은 각종 수수료로 7조 천억원의 수입을 올린데 이어, 최근엔 가계 부채 축소를 명분으로 금리 인상마저 검토하고 있습니다.

예대마진 역시 4년 만에 최대치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수수료 지키기에 나선데 대해 외부 시선은 그리 곱지 않습니다.

<인터뷰> 금융소비자연맹 : "중도상환 수수료는 대출자들이 보다 유리한 대출로 전환하거나 갈아타기 어렵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도상환 수수료를 인하할 것이 아니라 없애야 합니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줄이기 차원에서 중도 상환 수수료를 반드시 손질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최소한 수수료 인하는 불가피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융당국-은행, 중도상환 수수료 ‘힘겨루기’
    • 입력 2011-08-31 06:40:25
    • 수정2011-08-31 16:18:34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은행에서 빌린 돈을 약정 기간이 되기 전에 미리 갚을 경우 0.5에서 1.5%까지 벌금 성격의 '중도상환수수료'를 물어야 합니다. 지금 금융당국과 은행업계가 이 수수료 면제 문제를 높고 논란 중인데 과연 없앨 수는 없는지, 박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억 원 가량의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신모 씨. 여윳돈이 생겨 대출을 갚으려고 했지만 중도 상환 수수료가 150만 원이나 된다는 말에 포기했습니다. <인터뷰> 신 OO : "그렇게 안 되더라구요. 그렇게 하면 수수료를 물어야 된다고 오히려 비싸다는 거야. 안 된다고 그냥 적금을 들어서 갚아라 그러더라고." 신씨 같은 사람을 위해 금융당국이 중도상환 수수료 철폐를 추진중입니다. 수수료가 없어지면 중도상환이 늘어나 가계부채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겁니다. 반면 은행들은 인건비 등 비용이 발생하는 데다 자금운용계획마저 틀어진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유윤상(은행연합회) : "모든 대출에 대해 중도상환 수수료를 면제하거나 줄이는 것은 대출 관련 비용 회수가 어렵고 빈번한 대출 이동으로 시장 혼란 등의 유려가 있어......." 하지만 지난해 국내 은행들은 각종 수수료로 7조 천억원의 수입을 올린데 이어, 최근엔 가계 부채 축소를 명분으로 금리 인상마저 검토하고 있습니다. 예대마진 역시 4년 만에 최대치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수수료 지키기에 나선데 대해 외부 시선은 그리 곱지 않습니다. <인터뷰> 금융소비자연맹 : "중도상환 수수료는 대출자들이 보다 유리한 대출로 전환하거나 갈아타기 어렵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도상환 수수료를 인하할 것이 아니라 없애야 합니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줄이기 차원에서 중도 상환 수수료를 반드시 손질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최소한 수수료 인하는 불가피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