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주인 없는 무덤'이 우리 국토 곳곳을 뒤덮고 있습니다.
적게 잡아도 2백 20만 기는 되는데 후손들 찾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마구 파헤칠 수도 없고, 어떻게 해야 할까요.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묘지 10만여 기, 국내 최대인 서울시립묘지입니다.
깔끔한 묘역이 자랑입니다.
그러나 후미진 곳은 딴판입니다.
뒤엉킨 나무를 한참 헤치자, 스러져가는 무덤이 나타납니다.
잡초만 무성하고, 봉분도 절반 넘게 내려앉았습니다.
<녹취>여병상(서울시립묘지 관리인) : "비바람에 조금씩 조금씩 (봉분이) 흘러 내린거죠. 이런 건 20년 이상 안 된 거에요. 관리가 안 된 거."
허리까지 자란 수풀에 뒤덮여… 비석을 봐야 분간이 되는 무덤이 고작 10여 분만에 3기나 나왔습니다.
지자체 등에 가족을 알려달라는 스티커와 깃발을 남겨도 허사.
상당수는 연락 자체가 안 됩니다.
<녹취> "없는 국번입니다. 다시 걸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부 보고서는 전국의 묘지 천4백3십여만 기 중 최소 15%, 2백2십만여 기를 '무연고 묘지'로 추정했습니다.
<인터뷰>박복순(교수/을지대학교 장례지도학과) : "대가족 제도 하에서는 가능했지만, 핵가족화, 도시화가 심해지면서 묘지를 돌보는 일이 굉장히 어렵게 됐거든요."
그래서 정부는 매장한 지 최장 60년이 지나면 의무적으로 유골을 파내서 화장하도록 하는 제도를 지난 2001년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누가 언제 어디에 묘를 썼는지는 전체의 20%만 파악돼서 실효성이 없습니다.
정부는 무연고 묘지를 모두 처리하는 데 최소 2조 원은 들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주인 없는 무덤'이 우리 국토 곳곳을 뒤덮고 있습니다.
적게 잡아도 2백 20만 기는 되는데 후손들 찾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마구 파헤칠 수도 없고, 어떻게 해야 할까요.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묘지 10만여 기, 국내 최대인 서울시립묘지입니다.
깔끔한 묘역이 자랑입니다.
그러나 후미진 곳은 딴판입니다.
뒤엉킨 나무를 한참 헤치자, 스러져가는 무덤이 나타납니다.
잡초만 무성하고, 봉분도 절반 넘게 내려앉았습니다.
<녹취>여병상(서울시립묘지 관리인) : "비바람에 조금씩 조금씩 (봉분이) 흘러 내린거죠. 이런 건 20년 이상 안 된 거에요. 관리가 안 된 거."
허리까지 자란 수풀에 뒤덮여… 비석을 봐야 분간이 되는 무덤이 고작 10여 분만에 3기나 나왔습니다.
지자체 등에 가족을 알려달라는 스티커와 깃발을 남겨도 허사.
상당수는 연락 자체가 안 됩니다.
<녹취> "없는 국번입니다. 다시 걸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부 보고서는 전국의 묘지 천4백3십여만 기 중 최소 15%, 2백2십만여 기를 '무연고 묘지'로 추정했습니다.
<인터뷰>박복순(교수/을지대학교 장례지도학과) : "대가족 제도 하에서는 가능했지만, 핵가족화, 도시화가 심해지면서 묘지를 돌보는 일이 굉장히 어렵게 됐거든요."
그래서 정부는 매장한 지 최장 60년이 지나면 의무적으로 유골을 파내서 화장하도록 하는 제도를 지난 2001년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누가 언제 어디에 묘를 썼는지는 전체의 20%만 파악돼서 실효성이 없습니다.
정부는 무연고 묘지를 모두 처리하는 데 최소 2조 원은 들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인없는 묘지’ 2백만 기…처리 비용 2조 원
-
- 입력 2011-09-14 07:17:15
<앵커 멘트>
'주인 없는 무덤'이 우리 국토 곳곳을 뒤덮고 있습니다.
적게 잡아도 2백 20만 기는 되는데 후손들 찾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마구 파헤칠 수도 없고, 어떻게 해야 할까요.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묘지 10만여 기, 국내 최대인 서울시립묘지입니다.
깔끔한 묘역이 자랑입니다.
그러나 후미진 곳은 딴판입니다.
뒤엉킨 나무를 한참 헤치자, 스러져가는 무덤이 나타납니다.
잡초만 무성하고, 봉분도 절반 넘게 내려앉았습니다.
<녹취>여병상(서울시립묘지 관리인) : "비바람에 조금씩 조금씩 (봉분이) 흘러 내린거죠. 이런 건 20년 이상 안 된 거에요. 관리가 안 된 거."
허리까지 자란 수풀에 뒤덮여… 비석을 봐야 분간이 되는 무덤이 고작 10여 분만에 3기나 나왔습니다.
지자체 등에 가족을 알려달라는 스티커와 깃발을 남겨도 허사.
상당수는 연락 자체가 안 됩니다.
<녹취> "없는 국번입니다. 다시 걸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부 보고서는 전국의 묘지 천4백3십여만 기 중 최소 15%, 2백2십만여 기를 '무연고 묘지'로 추정했습니다.
<인터뷰>박복순(교수/을지대학교 장례지도학과) : "대가족 제도 하에서는 가능했지만, 핵가족화, 도시화가 심해지면서 묘지를 돌보는 일이 굉장히 어렵게 됐거든요."
그래서 정부는 매장한 지 최장 60년이 지나면 의무적으로 유골을 파내서 화장하도록 하는 제도를 지난 2001년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누가 언제 어디에 묘를 썼는지는 전체의 20%만 파악돼서 실효성이 없습니다.
정부는 무연고 묘지를 모두 처리하는 데 최소 2조 원은 들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
-
김준범 기자 jbkim@kbs.co.kr
김준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