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투기 중단 파업…‘쓰레기 대란’ 현실
입력 2011.09.21 (10:05)
수정 2011.09.21 (10: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축산폐수와 하수 슬러지 해양 투기가 내년부터 금지되면서 처리업체들의 파업이 한 달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국의 아파트 단지와 축사마다 음식물 쓰레기와 분뇨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김종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아파트 단지에 음식물 쓰레기가 가득 쌓였습니다.
쓰레기 수거가 중단된 지 벌써 한 달째, 주변은 악취가 진동하고 파리떼도 극성입니다.
<녹취> 아파트 관리인 : "수거통이 모자라니까 비닐에 쌓아서 놔두는 것이에요. 나중에 가져가도록..."
돼지를 키우는 한 축삽니다.
처리하지못한 분뇨가 어른 키 만큼 쌓여있습니다.
분뇨를 톱밥과 섞어 놓은 퇴비장도 이미 포화상태입니다.
<인터뷰>이상욱(축산 농민) : "(수거를)갑자기 중단해서 안 가져가니 적체돼서 어떻게 할 지모르겠어요."
정부가 내년부터 축산폐수와 하수 슬러지 해양 배출을 금지하기로 하자, 처리업체들이 한 달째 파업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이희도 실장(해양배출 협회) : "육상 처리 시설이 안된 상태에서 해양배출을 중지하면 연안오염이 가중될수 있고 처리할 능력이 안돼서 불법배출할 우려도..."
정부는 뚜렷한 대안없이 강경한 태도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녹취>정부 관계자(음성변조) : "(저장 탱크)10톤, 60톤짜리 확보해서 계속 보관중에 있고 그나마 차버리면 사업장내에... 문제가 생기겠지요."
음식물 쓰레기와 축산분뇨가 전국의 아파트 단지와 축사마다 쌓여가면서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종수입니다.
축산폐수와 하수 슬러지 해양 투기가 내년부터 금지되면서 처리업체들의 파업이 한 달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국의 아파트 단지와 축사마다 음식물 쓰레기와 분뇨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김종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아파트 단지에 음식물 쓰레기가 가득 쌓였습니다.
쓰레기 수거가 중단된 지 벌써 한 달째, 주변은 악취가 진동하고 파리떼도 극성입니다.
<녹취> 아파트 관리인 : "수거통이 모자라니까 비닐에 쌓아서 놔두는 것이에요. 나중에 가져가도록..."
돼지를 키우는 한 축삽니다.
처리하지못한 분뇨가 어른 키 만큼 쌓여있습니다.
분뇨를 톱밥과 섞어 놓은 퇴비장도 이미 포화상태입니다.
<인터뷰>이상욱(축산 농민) : "(수거를)갑자기 중단해서 안 가져가니 적체돼서 어떻게 할 지모르겠어요."
정부가 내년부터 축산폐수와 하수 슬러지 해양 배출을 금지하기로 하자, 처리업체들이 한 달째 파업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이희도 실장(해양배출 협회) : "육상 처리 시설이 안된 상태에서 해양배출을 중지하면 연안오염이 가중될수 있고 처리할 능력이 안돼서 불법배출할 우려도..."
정부는 뚜렷한 대안없이 강경한 태도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녹취>정부 관계자(음성변조) : "(저장 탱크)10톤, 60톤짜리 확보해서 계속 보관중에 있고 그나마 차버리면 사업장내에... 문제가 생기겠지요."
음식물 쓰레기와 축산분뇨가 전국의 아파트 단지와 축사마다 쌓여가면서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종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양 투기 중단 파업…‘쓰레기 대란’ 현실
-
- 입력 2011-09-21 10:05:49
- 수정2011-09-21 10:34:30
<앵커 멘트>
축산폐수와 하수 슬러지 해양 투기가 내년부터 금지되면서 처리업체들의 파업이 한 달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국의 아파트 단지와 축사마다 음식물 쓰레기와 분뇨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김종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아파트 단지에 음식물 쓰레기가 가득 쌓였습니다.
쓰레기 수거가 중단된 지 벌써 한 달째, 주변은 악취가 진동하고 파리떼도 극성입니다.
<녹취> 아파트 관리인 : "수거통이 모자라니까 비닐에 쌓아서 놔두는 것이에요. 나중에 가져가도록..."
돼지를 키우는 한 축삽니다.
처리하지못한 분뇨가 어른 키 만큼 쌓여있습니다.
분뇨를 톱밥과 섞어 놓은 퇴비장도 이미 포화상태입니다.
<인터뷰>이상욱(축산 농민) : "(수거를)갑자기 중단해서 안 가져가니 적체돼서 어떻게 할 지모르겠어요."
정부가 내년부터 축산폐수와 하수 슬러지 해양 배출을 금지하기로 하자, 처리업체들이 한 달째 파업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이희도 실장(해양배출 협회) : "육상 처리 시설이 안된 상태에서 해양배출을 중지하면 연안오염이 가중될수 있고 처리할 능력이 안돼서 불법배출할 우려도..."
정부는 뚜렷한 대안없이 강경한 태도를 고수하고 있습니다.
<녹취>정부 관계자(음성변조) : "(저장 탱크)10톤, 60톤짜리 확보해서 계속 보관중에 있고 그나마 차버리면 사업장내에... 문제가 생기겠지요."
음식물 쓰레기와 축산분뇨가 전국의 아파트 단지와 축사마다 쌓여가면서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종수입니다.
-
-
김종수 기자 sweeper@kbs.co.kr
김종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