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국내 연안 열 곳 가운데 6곳에서 백사장이 쓸려 내려가고 모래 언덕이 깎이는 심각한 침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재해 위험까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해수욕장입니다.
10여 년 전부터 모래가 바닷물에 쓸려 자취를 감추고 있습니다.
<녹취> 주민:"바닥이 이정도였어요. 처음에는 조금씩 시간 되면서 점점 쓸려 내려가서..."
불과 5년 전 모습과 비교해도 모래의 양이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인터뷰> 임공철(주민):"발로 걸어다니면 여기가 빠질정도였는데, 지금은 안들어가잖아요. 하나도..."
인근의 다른 해안가.
침식 현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까지 산산조각났습니다.
이곳은 원래 모래사장이었던 곳이지만, 모래는 다 쓸려 내려가고 이렇게 무거운 자갈만 남았습니다.
서해안 곳곳에서는 모래 언덕이 해마다 수십 센티미터 씩 깍여들어가 해안 절벽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국토 해양부가 조사한 전국 157개 연안 가운데 92곳에서 침식현상이 진행되고 있고, 이 가운데 28곳은 침식 때문에 지반 붕괴 등 재해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녹취> 권선택(국토위 의원):"이상 기후하고, 무분별한 연안 개발행위 등이 원인입니다."
하지만, 정부의 연안 정비계획은 재정 문제 등을 이유로, 목표의 50%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국내 연안 열 곳 가운데 6곳에서 백사장이 쓸려 내려가고 모래 언덕이 깎이는 심각한 침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재해 위험까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해수욕장입니다.
10여 년 전부터 모래가 바닷물에 쓸려 자취를 감추고 있습니다.
<녹취> 주민:"바닥이 이정도였어요. 처음에는 조금씩 시간 되면서 점점 쓸려 내려가서..."
불과 5년 전 모습과 비교해도 모래의 양이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인터뷰> 임공철(주민):"발로 걸어다니면 여기가 빠질정도였는데, 지금은 안들어가잖아요. 하나도..."
인근의 다른 해안가.
침식 현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까지 산산조각났습니다.
이곳은 원래 모래사장이었던 곳이지만, 모래는 다 쓸려 내려가고 이렇게 무거운 자갈만 남았습니다.
서해안 곳곳에서는 모래 언덕이 해마다 수십 센티미터 씩 깍여들어가 해안 절벽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국토 해양부가 조사한 전국 157개 연안 가운데 92곳에서 침식현상이 진행되고 있고, 이 가운데 28곳은 침식 때문에 지반 붕괴 등 재해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녹취> 권선택(국토위 의원):"이상 기후하고, 무분별한 연안 개발행위 등이 원인입니다."
하지만, 정부의 연안 정비계획은 재정 문제 등을 이유로, 목표의 50%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안 60% 침식 현상…재해 우려
-
- 입력 2011-10-03 21:49:21

<앵커 멘트>
국내 연안 열 곳 가운데 6곳에서 백사장이 쓸려 내려가고 모래 언덕이 깎이는 심각한 침식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재해 위험까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해수욕장입니다.
10여 년 전부터 모래가 바닷물에 쓸려 자취를 감추고 있습니다.
<녹취> 주민:"바닥이 이정도였어요. 처음에는 조금씩 시간 되면서 점점 쓸려 내려가서..."
불과 5년 전 모습과 비교해도 모래의 양이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인터뷰> 임공철(주민):"발로 걸어다니면 여기가 빠질정도였는데, 지금은 안들어가잖아요. 하나도..."
인근의 다른 해안가.
침식 현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까지 산산조각났습니다.
이곳은 원래 모래사장이었던 곳이지만, 모래는 다 쓸려 내려가고 이렇게 무거운 자갈만 남았습니다.
서해안 곳곳에서는 모래 언덕이 해마다 수십 센티미터 씩 깍여들어가 해안 절벽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국토 해양부가 조사한 전국 157개 연안 가운데 92곳에서 침식현상이 진행되고 있고, 이 가운데 28곳은 침식 때문에 지반 붕괴 등 재해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녹취> 권선택(국토위 의원):"이상 기후하고, 무분별한 연안 개발행위 등이 원인입니다."
하지만, 정부의 연안 정비계획은 재정 문제 등을 이유로, 목표의 50%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
-
이승훈 기자 hun21@kbs.co.kr
이승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