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자골프 왜 강한가?

입력 2001.09.10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알라 박희정의 우승은 여성의 강인함을 또 한 번 과시한 쾌거였습니다.
우리 스포츠계에는 언제부터인가 여성이 낫다는 말이 유행어가 됐습니다.
여자골프가 세계무대에서 이처럼 힘을 발휘하고 있는 비결은 무엇인지 심병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88년 구옥희에서 오늘 박희정에 이르기까지, 한국 여자 골퍼들은 지금까지 모두 6명이 LPGA 무대에서 20번이나 우승의 감격을 누렸습니다.
미국, 호주, 스웨덴 등 골프강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한국 여자골프는 세계적 수준으로 성장한 것입니다.
골프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데는 무엇보다 남다른 조기교육과 강한 근성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현재 LPGA 무대에서 활약중인 박세리와 김미현 등 대부분의 선수들은 10대 초반에 골프에 입문해 체계적인 교육을 받으며 기량을 키웠습니다.
⊙임영선(대한골프협회 부회장): 선수들이 외국에 비해서 어릴 때부터 기초훈련이나 강한 훈련을 한 것이 첫째 원인이고...
⊙기자: 여기에 전통적으로 강인함을 보여온 우리 여성의 정신력과 헌신적인 부모의 뒷바라지도 외국 선수들과는 다른 배경이 됐습니다.
98년 해성처럼 나타난 박세리의 등장은 김미현과 박지은 등 다른 선수들까지 자극해 서로 경쟁하듯 한국 여자 골프의 LPGA 전성기를 열었습니다.
박세리는 당시 골프 불모지나 다름 없던 국내에 선풍적인 골프 바람을 일으켰고 다른 선수들의 LPGA 진출도 유도했습니다.
시설과 지도자 부족 등 골프 인프라 측면에서 선진국보다 낫다고 볼 수 없는 한국 여자골프.
그러나 한국 여자골프는 조기 교육과 타고난 근성, 여기에 선의의 경쟁까지 가세하며 세계 최정상에 우뚝 서게 됐습니다.
KBS뉴스 심병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여자골프 왜 강한가?
    • 입력 2001-09-10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코알라 박희정의 우승은 여성의 강인함을 또 한 번 과시한 쾌거였습니다. 우리 스포츠계에는 언제부터인가 여성이 낫다는 말이 유행어가 됐습니다. 여자골프가 세계무대에서 이처럼 힘을 발휘하고 있는 비결은 무엇인지 심병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88년 구옥희에서 오늘 박희정에 이르기까지, 한국 여자 골퍼들은 지금까지 모두 6명이 LPGA 무대에서 20번이나 우승의 감격을 누렸습니다. 미국, 호주, 스웨덴 등 골프강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한국 여자골프는 세계적 수준으로 성장한 것입니다. 골프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데는 무엇보다 남다른 조기교육과 강한 근성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현재 LPGA 무대에서 활약중인 박세리와 김미현 등 대부분의 선수들은 10대 초반에 골프에 입문해 체계적인 교육을 받으며 기량을 키웠습니다. ⊙임영선(대한골프협회 부회장): 선수들이 외국에 비해서 어릴 때부터 기초훈련이나 강한 훈련을 한 것이 첫째 원인이고... ⊙기자: 여기에 전통적으로 강인함을 보여온 우리 여성의 정신력과 헌신적인 부모의 뒷바라지도 외국 선수들과는 다른 배경이 됐습니다. 98년 해성처럼 나타난 박세리의 등장은 김미현과 박지은 등 다른 선수들까지 자극해 서로 경쟁하듯 한국 여자 골프의 LPGA 전성기를 열었습니다. 박세리는 당시 골프 불모지나 다름 없던 국내에 선풍적인 골프 바람을 일으켰고 다른 선수들의 LPGA 진출도 유도했습니다. 시설과 지도자 부족 등 골프 인프라 측면에서 선진국보다 낫다고 볼 수 없는 한국 여자골프. 그러나 한국 여자골프는 조기 교육과 타고난 근성, 여기에 선의의 경쟁까지 가세하며 세계 최정상에 우뚝 서게 됐습니다. KBS뉴스 심병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