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갑작스런 사망에 시민들 ‘당혹·불안’
입력 2011.12.19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런 사망 소식에 시민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진보 보수 시민사회단체들도 각각 논평을 내고 정부의 신중한 반응을 주문했습니다.
손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낮에 들려온 충격적인 소식.
시민들은 하나 둘 가던 길을 멈추고 뉴스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김문자(부산 구포동) : "놀랬지. 얼마나. 뭔일인가 싶어서 물어봤더니 아니 김정일이 사망했다하니까 좀 놀랐네요. 엄청나게."
특히 김정일 위원장이 이틀 전에 숨졌지만 이제 서야 사망 사실이 보도되는 것에 당혹스러움을 나타냈습니다.
<인터뷰> 원제천(포항 지곡동) : "과연 우리가 준비가 잘되어있을까? 그리고 어려운 점이 있겠지만 쉽지는 않겠지만 다음 페이지로 가겠구나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북에 고향을 두고 온 실향민들은 앞으로 북한의 변화가 가족 상봉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나길 기대했습니다.
<인터뷰>지정석(실향민/65세) : "고향에 가서 가족들을 만나고 가족의 생사를 알아야 하는데 과연 김정일이 죽음으로써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참여연대와 경실련 등 진보시민단체들은 남북관계의 갑작스런 경색은 막아야 한다며, 차분한 대응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반면 보수단체들은 김 위원장 사망이 북한 주민들이 자유와 인권을 찾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손은혜입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런 사망 소식에 시민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진보 보수 시민사회단체들도 각각 논평을 내고 정부의 신중한 반응을 주문했습니다.
손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낮에 들려온 충격적인 소식.
시민들은 하나 둘 가던 길을 멈추고 뉴스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김문자(부산 구포동) : "놀랬지. 얼마나. 뭔일인가 싶어서 물어봤더니 아니 김정일이 사망했다하니까 좀 놀랐네요. 엄청나게."
특히 김정일 위원장이 이틀 전에 숨졌지만 이제 서야 사망 사실이 보도되는 것에 당혹스러움을 나타냈습니다.
<인터뷰> 원제천(포항 지곡동) : "과연 우리가 준비가 잘되어있을까? 그리고 어려운 점이 있겠지만 쉽지는 않겠지만 다음 페이지로 가겠구나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북에 고향을 두고 온 실향민들은 앞으로 북한의 변화가 가족 상봉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나길 기대했습니다.
<인터뷰>지정석(실향민/65세) : "고향에 가서 가족들을 만나고 가족의 생사를 알아야 하는데 과연 김정일이 죽음으로써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참여연대와 경실련 등 진보시민단체들은 남북관계의 갑작스런 경색은 막아야 한다며, 차분한 대응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반면 보수단체들은 김 위원장 사망이 북한 주민들이 자유와 인권을 찾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손은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정일 갑작스런 사망에 시민들 ‘당혹·불안’
-
- 입력 2011-12-19 22:06:18

<앵커 멘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런 사망 소식에 시민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진보 보수 시민사회단체들도 각각 논평을 내고 정부의 신중한 반응을 주문했습니다.
손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낮에 들려온 충격적인 소식.
시민들은 하나 둘 가던 길을 멈추고 뉴스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김문자(부산 구포동) : "놀랬지. 얼마나. 뭔일인가 싶어서 물어봤더니 아니 김정일이 사망했다하니까 좀 놀랐네요. 엄청나게."
특히 김정일 위원장이 이틀 전에 숨졌지만 이제 서야 사망 사실이 보도되는 것에 당혹스러움을 나타냈습니다.
<인터뷰> 원제천(포항 지곡동) : "과연 우리가 준비가 잘되어있을까? 그리고 어려운 점이 있겠지만 쉽지는 않겠지만 다음 페이지로 가겠구나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북에 고향을 두고 온 실향민들은 앞으로 북한의 변화가 가족 상봉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나길 기대했습니다.
<인터뷰>지정석(실향민/65세) : "고향에 가서 가족들을 만나고 가족의 생사를 알아야 하는데 과연 김정일이 죽음으로써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참여연대와 경실련 등 진보시민단체들은 남북관계의 갑작스런 경색은 막아야 한다며, 차분한 대응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반면 보수단체들은 김 위원장 사망이 북한 주민들이 자유와 인권을 찾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손은혜입니다.
-
-
손은혜 기자 grace35@kbs.co.kr
손은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김정일 사망…북한 체제 어디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