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돈 봉투 파문'으로 정치권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한나라당은 잇따른 폭로 속에 지난 2007년 대선 경선으로 파문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민주통합당은 자체 진상 조사 결과가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의혹 감싸기라는 비난에 직면해 지도부가 곤혹스러워하고 있습니다.
정치외교부 김경수 기자 나와 있습니다.
<질문>
홍준표 전 대표는 대선 경선에서도 조직과 돈이 동원된다는 의혹을 이어갔죠?
<답변>
네, 홍준표 전 대표는 올해 대선 후보 경선도 기존 방식대로 하면 또다시 '돈 판'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특히 대선 경선 돈 선거 의혹을 처음 제기한 원희룡 의원을 두고도 쓴소리를 했는데요.
당시 원 의원이 대학생 응원단을 조직해 버스를 태워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본인 스스로 수억 원이 들었다고 말했다는 겁니다.
원 의원은 악의적인 폭로라며 책임을 묻겠다고 맞받아쳤습니다.
선거 캠프 운영비로 2억 원 정도를 썼고 당 선관위에 신고도 했다면서 대표에서 물러나더니 화풀이 하냐고 말했습니다.
원 의원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녹취> 원희룡(한나라당 의원) : "자신이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까지 박탈됐던 사람이 정말 뭐하는 건지 모르겠고요."
난타전이 빚어지는 가운데 정두언 의원은 만인 대 만인의 투쟁, 막장까지 온 현실에 지친다고 냉소를 쏟아냈습니다
지난 2007년 대선 경선 후보였던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별로 할 얘기가 없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친박계 의원들은 근거없는 풍문을 흘리고 다니는 것은 당의 쇄신작업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며 자제를 촉구하는 등 계파간 갈등 양상까지 빚어졌습니다.
<질문>
민주통합당도 돈봉투에선 자유롭지 않죠? 증거가 나오면 검찰 수사 의뢰하겠다는 입장인데, 증거가 나왔습니까?
<답변>
사흘째 자체 조사를 벌이고 있는데, 아직까지 이렇다 할 증거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진상조사단이 부산과 경남에서 지역위원장 50명을 상대로 조사했는데, 물증이나 진술 모두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그렇다고 소문 수준의 의혹만 갖고 검찰 수사를 의뢰할 수도 없다는 게 현재 민주통합당 지도부 생각입니다. 원혜영 공동대표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녹취> 원혜영(민주통합당 공동대표) : "조사 과정에서 구체적 증거와 실명이 확인되면 검찰 수사를 의뢰할 것입니다."
오늘 민주통합당 지도부 경선 후보자들의 합동연설회가 있었는데, 어제 비리 후보 자격 박탈까지 요구하던 일부 후보들이 오늘은 확전을 자제하는 분위기였습니다.
당내 분란을 일으켰다는 비난 역풍을 우려한 것입니다.
그러나 한나라당의 의혹에 대해선 맹비난하던 민주통합당이 자체 비리조사는 소극적이라는 외부의 비난도 일고 있습니다.
문정림 자유선진당 대변인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녹취> 문정림(자유선진당 대변인) : "수사 의뢰를 계속 미룬다면 민주통합당은 자체진상조사를 핑계로 검찰수사의 칼날을 피하거나 칼날을 무디게 할, 그런 의도적인 목적이 있다는 오해를 받기에 충분합니다.
<질문>
상황이 이렇게 된 게 일단 전당대회는 감시가 허술하기 때문이란 지적도 있었는데, 앞으로 선관위에 전당대회 관리를 위탁하는 방안이 추진된다는데 어떤 내용입니까?
<답변>
당내 경선을 선관위에 위탁하는 방안을 여야가 검토해 왔는데, 여야가 완전 선거공영제에 사실상 합의하고, 선관위에 조사권도 주기로 했습니다.
국회 정치개혁 특위 여야 간사 의원 등 6명이 오늘 국회에서 비공개로 만나 합의한 내용입니다.
이렇게 되면 지금까지 정당이 부담해 오던 당 대표 경선 비용을 국고에서 지원받기로 해서 무엇보다 투명성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여야는 또 선관위가 금품 살포같은 불법 선거운동을 적발하면 검찰 고발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조사권도 부여하기로 했습니다.
정당 내부 행사인 대표 경선 비용을 국가가 부담하는 데 대한 부정적인 의견도 있어서 최종 입법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은데요.
선관위가 조사권 신설을 여러 차례 요구했는데도 계속 무산되다가, 이번 돈봉투 파문으로 인해 전당대회의 고질적 문제점을 고쳐야 한다는 데 여야가 의견을 같이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겠습니다.
'돈 봉투 파문'으로 정치권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한나라당은 잇따른 폭로 속에 지난 2007년 대선 경선으로 파문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민주통합당은 자체 진상 조사 결과가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의혹 감싸기라는 비난에 직면해 지도부가 곤혹스러워하고 있습니다.
정치외교부 김경수 기자 나와 있습니다.
<질문>
홍준표 전 대표는 대선 경선에서도 조직과 돈이 동원된다는 의혹을 이어갔죠?
<답변>
네, 홍준표 전 대표는 올해 대선 후보 경선도 기존 방식대로 하면 또다시 '돈 판'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특히 대선 경선 돈 선거 의혹을 처음 제기한 원희룡 의원을 두고도 쓴소리를 했는데요.
당시 원 의원이 대학생 응원단을 조직해 버스를 태워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본인 스스로 수억 원이 들었다고 말했다는 겁니다.
원 의원은 악의적인 폭로라며 책임을 묻겠다고 맞받아쳤습니다.
선거 캠프 운영비로 2억 원 정도를 썼고 당 선관위에 신고도 했다면서 대표에서 물러나더니 화풀이 하냐고 말했습니다.
원 의원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녹취> 원희룡(한나라당 의원) : "자신이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까지 박탈됐던 사람이 정말 뭐하는 건지 모르겠고요."
난타전이 빚어지는 가운데 정두언 의원은 만인 대 만인의 투쟁, 막장까지 온 현실에 지친다고 냉소를 쏟아냈습니다
지난 2007년 대선 경선 후보였던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별로 할 얘기가 없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친박계 의원들은 근거없는 풍문을 흘리고 다니는 것은 당의 쇄신작업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며 자제를 촉구하는 등 계파간 갈등 양상까지 빚어졌습니다.
<질문>
민주통합당도 돈봉투에선 자유롭지 않죠? 증거가 나오면 검찰 수사 의뢰하겠다는 입장인데, 증거가 나왔습니까?
<답변>
사흘째 자체 조사를 벌이고 있는데, 아직까지 이렇다 할 증거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진상조사단이 부산과 경남에서 지역위원장 50명을 상대로 조사했는데, 물증이나 진술 모두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그렇다고 소문 수준의 의혹만 갖고 검찰 수사를 의뢰할 수도 없다는 게 현재 민주통합당 지도부 생각입니다. 원혜영 공동대표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녹취> 원혜영(민주통합당 공동대표) : "조사 과정에서 구체적 증거와 실명이 확인되면 검찰 수사를 의뢰할 것입니다."
오늘 민주통합당 지도부 경선 후보자들의 합동연설회가 있었는데, 어제 비리 후보 자격 박탈까지 요구하던 일부 후보들이 오늘은 확전을 자제하는 분위기였습니다.
당내 분란을 일으켰다는 비난 역풍을 우려한 것입니다.
그러나 한나라당의 의혹에 대해선 맹비난하던 민주통합당이 자체 비리조사는 소극적이라는 외부의 비난도 일고 있습니다.
문정림 자유선진당 대변인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녹취> 문정림(자유선진당 대변인) : "수사 의뢰를 계속 미룬다면 민주통합당은 자체진상조사를 핑계로 검찰수사의 칼날을 피하거나 칼날을 무디게 할, 그런 의도적인 목적이 있다는 오해를 받기에 충분합니다.
<질문>
상황이 이렇게 된 게 일단 전당대회는 감시가 허술하기 때문이란 지적도 있었는데, 앞으로 선관위에 전당대회 관리를 위탁하는 방안이 추진된다는데 어떤 내용입니까?
<답변>
당내 경선을 선관위에 위탁하는 방안을 여야가 검토해 왔는데, 여야가 완전 선거공영제에 사실상 합의하고, 선관위에 조사권도 주기로 했습니다.
국회 정치개혁 특위 여야 간사 의원 등 6명이 오늘 국회에서 비공개로 만나 합의한 내용입니다.
이렇게 되면 지금까지 정당이 부담해 오던 당 대표 경선 비용을 국고에서 지원받기로 해서 무엇보다 투명성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여야는 또 선관위가 금품 살포같은 불법 선거운동을 적발하면 검찰 고발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조사권도 부여하기로 했습니다.
정당 내부 행사인 대표 경선 비용을 국가가 부담하는 데 대한 부정적인 의견도 있어서 최종 입법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은데요.
선관위가 조사권 신설을 여러 차례 요구했는데도 계속 무산되다가, 이번 돈봉투 파문으로 인해 전당대회의 고질적 문제점을 고쳐야 한다는 데 여야가 의견을 같이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현장] ‘돈 봉투’ 폭로전…선관위에 위탁 합의
-
- 입력 2012-01-11 23:32:28

<앵커 멘트>
'돈 봉투 파문'으로 정치권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한나라당은 잇따른 폭로 속에 지난 2007년 대선 경선으로 파문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민주통합당은 자체 진상 조사 결과가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의혹 감싸기라는 비난에 직면해 지도부가 곤혹스러워하고 있습니다.
정치외교부 김경수 기자 나와 있습니다.
<질문>
홍준표 전 대표는 대선 경선에서도 조직과 돈이 동원된다는 의혹을 이어갔죠?
<답변>
네, 홍준표 전 대표는 올해 대선 후보 경선도 기존 방식대로 하면 또다시 '돈 판'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특히 대선 경선 돈 선거 의혹을 처음 제기한 원희룡 의원을 두고도 쓴소리를 했는데요.
당시 원 의원이 대학생 응원단을 조직해 버스를 태워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본인 스스로 수억 원이 들었다고 말했다는 겁니다.
원 의원은 악의적인 폭로라며 책임을 묻겠다고 맞받아쳤습니다.
선거 캠프 운영비로 2억 원 정도를 썼고 당 선관위에 신고도 했다면서 대표에서 물러나더니 화풀이 하냐고 말했습니다.
원 의원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녹취> 원희룡(한나라당 의원) : "자신이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까지 박탈됐던 사람이 정말 뭐하는 건지 모르겠고요."
난타전이 빚어지는 가운데 정두언 의원은 만인 대 만인의 투쟁, 막장까지 온 현실에 지친다고 냉소를 쏟아냈습니다
지난 2007년 대선 경선 후보였던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별로 할 얘기가 없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친박계 의원들은 근거없는 풍문을 흘리고 다니는 것은 당의 쇄신작업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며 자제를 촉구하는 등 계파간 갈등 양상까지 빚어졌습니다.
<질문>
민주통합당도 돈봉투에선 자유롭지 않죠? 증거가 나오면 검찰 수사 의뢰하겠다는 입장인데, 증거가 나왔습니까?
<답변>
사흘째 자체 조사를 벌이고 있는데, 아직까지 이렇다 할 증거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진상조사단이 부산과 경남에서 지역위원장 50명을 상대로 조사했는데, 물증이나 진술 모두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그렇다고 소문 수준의 의혹만 갖고 검찰 수사를 의뢰할 수도 없다는 게 현재 민주통합당 지도부 생각입니다. 원혜영 공동대표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녹취> 원혜영(민주통합당 공동대표) : "조사 과정에서 구체적 증거와 실명이 확인되면 검찰 수사를 의뢰할 것입니다."
오늘 민주통합당 지도부 경선 후보자들의 합동연설회가 있었는데, 어제 비리 후보 자격 박탈까지 요구하던 일부 후보들이 오늘은 확전을 자제하는 분위기였습니다.
당내 분란을 일으켰다는 비난 역풍을 우려한 것입니다.
그러나 한나라당의 의혹에 대해선 맹비난하던 민주통합당이 자체 비리조사는 소극적이라는 외부의 비난도 일고 있습니다.
문정림 자유선진당 대변인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녹취> 문정림(자유선진당 대변인) : "수사 의뢰를 계속 미룬다면 민주통합당은 자체진상조사를 핑계로 검찰수사의 칼날을 피하거나 칼날을 무디게 할, 그런 의도적인 목적이 있다는 오해를 받기에 충분합니다.
<질문>
상황이 이렇게 된 게 일단 전당대회는 감시가 허술하기 때문이란 지적도 있었는데, 앞으로 선관위에 전당대회 관리를 위탁하는 방안이 추진된다는데 어떤 내용입니까?
<답변>
당내 경선을 선관위에 위탁하는 방안을 여야가 검토해 왔는데, 여야가 완전 선거공영제에 사실상 합의하고, 선관위에 조사권도 주기로 했습니다.
국회 정치개혁 특위 여야 간사 의원 등 6명이 오늘 국회에서 비공개로 만나 합의한 내용입니다.
이렇게 되면 지금까지 정당이 부담해 오던 당 대표 경선 비용을 국고에서 지원받기로 해서 무엇보다 투명성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여야는 또 선관위가 금품 살포같은 불법 선거운동을 적발하면 검찰 고발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조사권도 부여하기로 했습니다.
정당 내부 행사인 대표 경선 비용을 국가가 부담하는 데 대한 부정적인 의견도 있어서 최종 입법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은데요.
선관위가 조사권 신설을 여러 차례 요구했는데도 계속 무산되다가, 이번 돈봉투 파문으로 인해 전당대회의 고질적 문제점을 고쳐야 한다는 데 여야가 의견을 같이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겠습니다.
-
-
김경수 기자 bada@kbs.co.kr
김경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