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지난 2007년 기름 유출사고를 겪었던 충남 태안 지역에서 조개가 집단 폐사하고 있습니다.
아직도 악몽이 안 끝난 것일까, 주민들은 불안합니다.
황정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07년 기름 유출사고의 직격탄을 맞았던 충남 태안 신두리 해변이 온통 조개껍질로 뒤덮였습니다.
죽은 조개가 벌써 1주일째 계속 떠밀려 오고 있습니다.
수 km에 걸쳐 조개무덤까지 만들어졌습니다.
주민들은 불안하기만 합니다.
<인터뷰> 박희관(태안군 원북면 어촌계장) : "겨울이면 이런 게 많이 쌓이고 밀려왔는데, 이렇게 쌓인 건 처음이죠."
집단 폐사한 조개는, '밀 조개'로도 불리는 개량조개입니다.
역학조사에 나선 전문가들은, 일단 자연 폐사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광재(박사/국립 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너무 지나친 밀도로 있다 보니까, 그쪽에서 이제 서식지 경쟁에서 밀려난 개체들이 먼저 죽게 되는 거죠."
그러나 4년 전 기름 유출사고 때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이었던 만큼 기름 성분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정밀검사를 거쳐 정확한 폐사 원인이 나오는 데는 한 달 정도가 걸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역학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이 지역에서 나오는 개량조개를 먹지 말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지난 2007년 기름 유출사고를 겪었던 충남 태안 지역에서 조개가 집단 폐사하고 있습니다.
아직도 악몽이 안 끝난 것일까, 주민들은 불안합니다.
황정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07년 기름 유출사고의 직격탄을 맞았던 충남 태안 신두리 해변이 온통 조개껍질로 뒤덮였습니다.
죽은 조개가 벌써 1주일째 계속 떠밀려 오고 있습니다.
수 km에 걸쳐 조개무덤까지 만들어졌습니다.
주민들은 불안하기만 합니다.
<인터뷰> 박희관(태안군 원북면 어촌계장) : "겨울이면 이런 게 많이 쌓이고 밀려왔는데, 이렇게 쌓인 건 처음이죠."
집단 폐사한 조개는, '밀 조개'로도 불리는 개량조개입니다.
역학조사에 나선 전문가들은, 일단 자연 폐사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광재(박사/국립 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너무 지나친 밀도로 있다 보니까, 그쪽에서 이제 서식지 경쟁에서 밀려난 개체들이 먼저 죽게 되는 거죠."
그러나 4년 전 기름 유출사고 때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이었던 만큼 기름 성분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정밀검사를 거쳐 정확한 폐사 원인이 나오는 데는 한 달 정도가 걸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역학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이 지역에서 나오는 개량조개를 먹지 말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름 오염 태안서 조개 집단 폐사…주민 불안
-
- 입력 2012-01-16 22:00:46
<앵커 멘트>
지난 2007년 기름 유출사고를 겪었던 충남 태안 지역에서 조개가 집단 폐사하고 있습니다.
아직도 악몽이 안 끝난 것일까, 주민들은 불안합니다.
황정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07년 기름 유출사고의 직격탄을 맞았던 충남 태안 신두리 해변이 온통 조개껍질로 뒤덮였습니다.
죽은 조개가 벌써 1주일째 계속 떠밀려 오고 있습니다.
수 km에 걸쳐 조개무덤까지 만들어졌습니다.
주민들은 불안하기만 합니다.
<인터뷰> 박희관(태안군 원북면 어촌계장) : "겨울이면 이런 게 많이 쌓이고 밀려왔는데, 이렇게 쌓인 건 처음이죠."
집단 폐사한 조개는, '밀 조개'로도 불리는 개량조개입니다.
역학조사에 나선 전문가들은, 일단 자연 폐사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광재(박사/국립 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너무 지나친 밀도로 있다 보니까, 그쪽에서 이제 서식지 경쟁에서 밀려난 개체들이 먼저 죽게 되는 거죠."
그러나 4년 전 기름 유출사고 때 큰 피해를 입은 지역이었던 만큼 기름 성분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정밀검사를 거쳐 정확한 폐사 원인이 나오는 데는 한 달 정도가 걸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역학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이 지역에서 나오는 개량조개를 먹지 말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
-
황정환 기자 baram@kbs.co.kr
황정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