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경제] ‘복권 판매 한도’ 확대 추진 논란
입력 2012.02.02 (07:05)
수정 2012.02.02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경기가 안 좋아서일까요.
복권 판매가 꾸준히 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복권은 사행산업이어서 연간 판매 총량을 정해놓고 있는데요.
이 한도를 확대하는 방안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김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영하 10도 안팎의 추위에도 복권 판매점은 연일 붐빕니다.
40대 김씨는 일주일에 서너번 꼭 복권을 삽니다.
<인터뷰>김00(복권 구입자) : "고등학교 시절에 집에 누워 있으면 위에 당구장이 보이는 것처럼 이거는 안 하면 괜히 불안하고..."
중독에 대한 우려도 나오지만 삶에 활력을 주는 건전한 레저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인터뷰>강용운(서울 신사동) : "기다림, 희망이라고 봐야죠. 한 주를 버틸 수 있는 그런 버팀목이 되는 것 같아요."
지난해 복권 판매액은 3조 800억 원, 사행산업감독위원회가 정한 한도액을 2천 7백억 원 초과했습니다.
이에 사감위는 지난해 11월 기획재정부 산하 복권위원회에 판매 중단 조치를 권고하기도 했습니다.
경기 둔화 속에 이처럼 복권 판매가 늘면서, 복권 발행한도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복권 판매액의 41%, 지난해 1조 2천억 원을 기금으로 확보한 복권위는 올 들어 한도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승규(기재부 복권위 사무처장) : "외국의 경우 복권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오락으로 여기기 때문에 우리처럼 총량으로 판매량을 제한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사행산업감독위원회는 근로의욕 저하 등 부작용을 들며 판매 확대에 부정적이어서, 복권 열풍 속에 판매 한도 논란도 뜨겁습니다.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요즘 경기가 안 좋아서일까요.
복권 판매가 꾸준히 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복권은 사행산업이어서 연간 판매 총량을 정해놓고 있는데요.
이 한도를 확대하는 방안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김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영하 10도 안팎의 추위에도 복권 판매점은 연일 붐빕니다.
40대 김씨는 일주일에 서너번 꼭 복권을 삽니다.
<인터뷰>김00(복권 구입자) : "고등학교 시절에 집에 누워 있으면 위에 당구장이 보이는 것처럼 이거는 안 하면 괜히 불안하고..."
중독에 대한 우려도 나오지만 삶에 활력을 주는 건전한 레저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인터뷰>강용운(서울 신사동) : "기다림, 희망이라고 봐야죠. 한 주를 버틸 수 있는 그런 버팀목이 되는 것 같아요."
지난해 복권 판매액은 3조 800억 원, 사행산업감독위원회가 정한 한도액을 2천 7백억 원 초과했습니다.
이에 사감위는 지난해 11월 기획재정부 산하 복권위원회에 판매 중단 조치를 권고하기도 했습니다.
경기 둔화 속에 이처럼 복권 판매가 늘면서, 복권 발행한도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복권 판매액의 41%, 지난해 1조 2천억 원을 기금으로 확보한 복권위는 올 들어 한도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승규(기재부 복권위 사무처장) : "외국의 경우 복권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오락으로 여기기 때문에 우리처럼 총량으로 판매량을 제한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사행산업감독위원회는 근로의욕 저하 등 부작용을 들며 판매 확대에 부정적이어서, 복권 열풍 속에 판매 한도 논란도 뜨겁습니다.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생경제] ‘복권 판매 한도’ 확대 추진 논란
-
- 입력 2012-02-02 07:05:35
- 수정2012-02-02 15:00:28

<앵커 멘트>
요즘 경기가 안 좋아서일까요.
복권 판매가 꾸준히 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복권은 사행산업이어서 연간 판매 총량을 정해놓고 있는데요.
이 한도를 확대하는 방안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김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영하 10도 안팎의 추위에도 복권 판매점은 연일 붐빕니다.
40대 김씨는 일주일에 서너번 꼭 복권을 삽니다.
<인터뷰>김00(복권 구입자) : "고등학교 시절에 집에 누워 있으면 위에 당구장이 보이는 것처럼 이거는 안 하면 괜히 불안하고..."
중독에 대한 우려도 나오지만 삶에 활력을 주는 건전한 레저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인터뷰>강용운(서울 신사동) : "기다림, 희망이라고 봐야죠. 한 주를 버틸 수 있는 그런 버팀목이 되는 것 같아요."
지난해 복권 판매액은 3조 800억 원, 사행산업감독위원회가 정한 한도액을 2천 7백억 원 초과했습니다.
이에 사감위는 지난해 11월 기획재정부 산하 복권위원회에 판매 중단 조치를 권고하기도 했습니다.
경기 둔화 속에 이처럼 복권 판매가 늘면서, 복권 발행한도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복권 판매액의 41%, 지난해 1조 2천억 원을 기금으로 확보한 복권위는 올 들어 한도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승규(기재부 복권위 사무처장) : "외국의 경우 복권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오락으로 여기기 때문에 우리처럼 총량으로 판매량을 제한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사행산업감독위원회는 근로의욕 저하 등 부작용을 들며 판매 확대에 부정적이어서, 복권 열풍 속에 판매 한도 논란도 뜨겁습니다.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요즘 경기가 안 좋아서일까요.
복권 판매가 꾸준히 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복권은 사행산업이어서 연간 판매 총량을 정해놓고 있는데요.
이 한도를 확대하는 방안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김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영하 10도 안팎의 추위에도 복권 판매점은 연일 붐빕니다.
40대 김씨는 일주일에 서너번 꼭 복권을 삽니다.
<인터뷰>김00(복권 구입자) : "고등학교 시절에 집에 누워 있으면 위에 당구장이 보이는 것처럼 이거는 안 하면 괜히 불안하고..."
중독에 대한 우려도 나오지만 삶에 활력을 주는 건전한 레저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인터뷰>강용운(서울 신사동) : "기다림, 희망이라고 봐야죠. 한 주를 버틸 수 있는 그런 버팀목이 되는 것 같아요."
지난해 복권 판매액은 3조 800억 원, 사행산업감독위원회가 정한 한도액을 2천 7백억 원 초과했습니다.
이에 사감위는 지난해 11월 기획재정부 산하 복권위원회에 판매 중단 조치를 권고하기도 했습니다.
경기 둔화 속에 이처럼 복권 판매가 늘면서, 복권 발행한도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복권 판매액의 41%, 지난해 1조 2천억 원을 기금으로 확보한 복권위는 올 들어 한도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승규(기재부 복권위 사무처장) : "외국의 경우 복권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오락으로 여기기 때문에 우리처럼 총량으로 판매량을 제한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사행산업감독위원회는 근로의욕 저하 등 부작용을 들며 판매 확대에 부정적이어서, 복권 열풍 속에 판매 한도 논란도 뜨겁습니다.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
-
김준호 기자 jhk88@kbs.co.kr
김준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