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이 좋아하는 한식의 맛은?
입력 2012.02.09 (09:05)
수정 2012.02.09 (16: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케이푸드'라고 불릴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는 한식.
하지만 나라마다, 문화마다 입맛은 다르기 마련이죠.
외국인들이 좋아하는 한식의 맛은 무엇일까요?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빨간 양념을 버무리며 김장체험에 나선 일본인들.
다양한 한식을 맛보는 일은 한국 여행에서 빠뜨릴 수 없는 재미입니다.
<인터뷰> "김밥, 삼겹살, 부침개가 맛있어요."
그렇다고 모든 한식이 입에 잘 맞는 것은 아닙니다.
<인터뷰> "맵지 않고 조금 단맛이 있는 김치를 좋아하세요."
외국인들이 가장 좋아한다고 알려진 불고기도 좋아하는 맛은 따로 있었습니다.
미국인들은 한국인보다 설탕과 간장을 30% 정도 더 넣은 달콤 짭짜름한 맛을 가장 좋아했습니다.
<인터뷰> "단맛과 짠맛, 마늘맛도 적당했어요."
부침개의 경우 미국과 일본인들은 밀가루 반죽의 바삭한 질감을, 중국인은 감자 전분을 섞은 부드러운 맛을 좋아했습니다.
눈으로 느끼는 맛도 달랐습니다.
진간장과 국간장으로 색을 달리한 쇠고기무국을 먹자.
<인터뷰> 일본인 : "(국간장이)색이 맑고 국물맛이 깔끔해."
<인터뷰> 미국인 : "조금 더 짙은 색의 소고기국이 좋아요."
나라별 입맛과 기호에 맞는 '맞춤형 한식' 개발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인터뷰> "해외시장을 타켓으로 해서 진출하는 사람들에게 정확하게 핵심 포인트를 짚어줄 수 있다는 점이."
농촌진흥청이 주도한 이번 조사는 미국,중국,일본,프랑스 4개국에서 100명씩 대상으로 한 만큼 일정한 한계가 있습니다.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더욱 광범위한 입맛 조사를 바탕으로 한 지역별 표준조리법 개발이 필수입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케이푸드'라고 불릴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는 한식.
하지만 나라마다, 문화마다 입맛은 다르기 마련이죠.
외국인들이 좋아하는 한식의 맛은 무엇일까요?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빨간 양념을 버무리며 김장체험에 나선 일본인들.
다양한 한식을 맛보는 일은 한국 여행에서 빠뜨릴 수 없는 재미입니다.
<인터뷰> "김밥, 삼겹살, 부침개가 맛있어요."
그렇다고 모든 한식이 입에 잘 맞는 것은 아닙니다.
<인터뷰> "맵지 않고 조금 단맛이 있는 김치를 좋아하세요."
외국인들이 가장 좋아한다고 알려진 불고기도 좋아하는 맛은 따로 있었습니다.
미국인들은 한국인보다 설탕과 간장을 30% 정도 더 넣은 달콤 짭짜름한 맛을 가장 좋아했습니다.
<인터뷰> "단맛과 짠맛, 마늘맛도 적당했어요."
부침개의 경우 미국과 일본인들은 밀가루 반죽의 바삭한 질감을, 중국인은 감자 전분을 섞은 부드러운 맛을 좋아했습니다.
눈으로 느끼는 맛도 달랐습니다.
진간장과 국간장으로 색을 달리한 쇠고기무국을 먹자.
<인터뷰> 일본인 : "(국간장이)색이 맑고 국물맛이 깔끔해."
<인터뷰> 미국인 : "조금 더 짙은 색의 소고기국이 좋아요."
나라별 입맛과 기호에 맞는 '맞춤형 한식' 개발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인터뷰> "해외시장을 타켓으로 해서 진출하는 사람들에게 정확하게 핵심 포인트를 짚어줄 수 있다는 점이."
농촌진흥청이 주도한 이번 조사는 미국,중국,일본,프랑스 4개국에서 100명씩 대상으로 한 만큼 일정한 한계가 있습니다.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더욱 광범위한 입맛 조사를 바탕으로 한 지역별 표준조리법 개발이 필수입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외국인이 좋아하는 한식의 맛은?
-
- 입력 2012-02-09 09:05:25
- 수정2012-02-09 16:10:42

<앵커 멘트>
'케이푸드'라고 불릴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는 한식.
하지만 나라마다, 문화마다 입맛은 다르기 마련이죠.
외국인들이 좋아하는 한식의 맛은 무엇일까요?
허솔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빨간 양념을 버무리며 김장체험에 나선 일본인들.
다양한 한식을 맛보는 일은 한국 여행에서 빠뜨릴 수 없는 재미입니다.
<인터뷰> "김밥, 삼겹살, 부침개가 맛있어요."
그렇다고 모든 한식이 입에 잘 맞는 것은 아닙니다.
<인터뷰> "맵지 않고 조금 단맛이 있는 김치를 좋아하세요."
외국인들이 가장 좋아한다고 알려진 불고기도 좋아하는 맛은 따로 있었습니다.
미국인들은 한국인보다 설탕과 간장을 30% 정도 더 넣은 달콤 짭짜름한 맛을 가장 좋아했습니다.
<인터뷰> "단맛과 짠맛, 마늘맛도 적당했어요."
부침개의 경우 미국과 일본인들은 밀가루 반죽의 바삭한 질감을, 중국인은 감자 전분을 섞은 부드러운 맛을 좋아했습니다.
눈으로 느끼는 맛도 달랐습니다.
진간장과 국간장으로 색을 달리한 쇠고기무국을 먹자.
<인터뷰> 일본인 : "(국간장이)색이 맑고 국물맛이 깔끔해."
<인터뷰> 미국인 : "조금 더 짙은 색의 소고기국이 좋아요."
나라별 입맛과 기호에 맞는 '맞춤형 한식' 개발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인터뷰> "해외시장을 타켓으로 해서 진출하는 사람들에게 정확하게 핵심 포인트를 짚어줄 수 있다는 점이."
농촌진흥청이 주도한 이번 조사는 미국,중국,일본,프랑스 4개국에서 100명씩 대상으로 한 만큼 일정한 한계가 있습니다.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더욱 광범위한 입맛 조사를 바탕으로 한 지역별 표준조리법 개발이 필수입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
-
허솔지 기자 solji26@kbs.co.kr
허솔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