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자녀 등하원 시간 달라 보육비 부담 늘어
입력 2012.02.26 (10:09)
수정 2012.02.26 (15: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당수 맞벌이 가정이 부모의 출퇴근 시간과 자녀의 보육시설 이용 시간대가 달라 정부 보육지원의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보건사회연구원이 초등학생 3학년 이하의 자녀가 있는 취업여성 천 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오전 8시 이전에 출근하는 여성의 44%가 보모를 고용하거나 자녀를 학원에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오전 10시 이후에 출근하는 여성의 보모나 학원 이용률은 27%에 그쳤습니다.
또 오후 5시 이전에 퇴근하는 여성은 보모나 학원을 이용하는 비율이 32%였지만, 오후 7시에서 8시에 퇴근하는 여성의 경우에는 43%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부모의 출퇴근 시간과 보육시설 운영시간의 차이 때문에 보육시설 대신 보모나 학원을 이용하는 비율이 늘고 있다며, 종일제 유치원 제도의 운영 등이 늘어나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 보건사회연구원이 초등학생 3학년 이하의 자녀가 있는 취업여성 천 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오전 8시 이전에 출근하는 여성의 44%가 보모를 고용하거나 자녀를 학원에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오전 10시 이후에 출근하는 여성의 보모나 학원 이용률은 27%에 그쳤습니다.
또 오후 5시 이전에 퇴근하는 여성은 보모나 학원을 이용하는 비율이 32%였지만, 오후 7시에서 8시에 퇴근하는 여성의 경우에는 43%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부모의 출퇴근 시간과 보육시설 운영시간의 차이 때문에 보육시설 대신 보모나 학원을 이용하는 비율이 늘고 있다며, 종일제 유치원 제도의 운영 등이 늘어나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출·퇴근-자녀 등하원 시간 달라 보육비 부담 늘어
-
- 입력 2012-02-26 10:09:14
- 수정2012-02-26 15:19:51
상당수 맞벌이 가정이 부모의 출퇴근 시간과 자녀의 보육시설 이용 시간대가 달라 정부 보육지원의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보건사회연구원이 초등학생 3학년 이하의 자녀가 있는 취업여성 천 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오전 8시 이전에 출근하는 여성의 44%가 보모를 고용하거나 자녀를 학원에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오전 10시 이후에 출근하는 여성의 보모나 학원 이용률은 27%에 그쳤습니다.
또 오후 5시 이전에 퇴근하는 여성은 보모나 학원을 이용하는 비율이 32%였지만, 오후 7시에서 8시에 퇴근하는 여성의 경우에는 43%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부모의 출퇴근 시간과 보육시설 운영시간의 차이 때문에 보육시설 대신 보모나 학원을 이용하는 비율이 늘고 있다며, 종일제 유치원 제도의 운영 등이 늘어나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