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그럼, 미국 메이저 영화사의 국내 진출은 한국 영화 산업에 과연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기대와 우려의 반응이 동시에 나오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이민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20세기 폭스사가 20%가량 투자했던 영화 '황해',
그 덕분에 지난해 12월 폭스사의 배급망을 타고 북미 지역에 진출할 수 있었습니다.
미국 영화사의 국내 영화시장 진입은 우리 영화의 해외진출을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CJ와 롯데 등 일부 대기업에 의존하는 국내 영화계의 자금난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원동연(영화제작가협회 부회장) : "미국 스튜디오 자본이 들어온다는 것은 위축된 한국 영화 제작 환경에서 새로운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려도 만만치 않습니다.
영화 제작에 깊숙이 개입하는 미국식 영화 제작 시스템의 도입으로 창작의 자율성이 저해될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강유정(영화평론가) : "대규모 자본력과 기획력을 가지고 한국 시장에 진출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획력에 있어 한국 영화가 많이 영향을 받고 위축받을 수 있을 거라."
장기적으로는 국내 영화 콘텐츠도 미국 영화사로 넘어가면서 우리 영화계의 자생력이 약화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민우입니다.
그럼, 미국 메이저 영화사의 국내 진출은 한국 영화 산업에 과연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기대와 우려의 반응이 동시에 나오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이민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20세기 폭스사가 20%가량 투자했던 영화 '황해',
그 덕분에 지난해 12월 폭스사의 배급망을 타고 북미 지역에 진출할 수 있었습니다.
미국 영화사의 국내 영화시장 진입은 우리 영화의 해외진출을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CJ와 롯데 등 일부 대기업에 의존하는 국내 영화계의 자금난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원동연(영화제작가협회 부회장) : "미국 스튜디오 자본이 들어온다는 것은 위축된 한국 영화 제작 환경에서 새로운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려도 만만치 않습니다.
영화 제작에 깊숙이 개입하는 미국식 영화 제작 시스템의 도입으로 창작의 자율성이 저해될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강유정(영화평론가) : "대규모 자본력과 기획력을 가지고 한국 시장에 진출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획력에 있어 한국 영화가 많이 영향을 받고 위축받을 수 있을 거라."
장기적으로는 국내 영화 콘텐츠도 미국 영화사로 넘어가면서 우리 영화계의 자생력이 약화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민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내 영화계 ‘기대 반 우려 반’
-
- 입력 2012-02-27 21:53:30
![](/data/news/2012/02/27/2442391_50.jpg)
<앵커 멘트>
그럼, 미국 메이저 영화사의 국내 진출은 한국 영화 산업에 과연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기대와 우려의 반응이 동시에 나오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이민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20세기 폭스사가 20%가량 투자했던 영화 '황해',
그 덕분에 지난해 12월 폭스사의 배급망을 타고 북미 지역에 진출할 수 있었습니다.
미국 영화사의 국내 영화시장 진입은 우리 영화의 해외진출을 가속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CJ와 롯데 등 일부 대기업에 의존하는 국내 영화계의 자금난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원동연(영화제작가협회 부회장) : "미국 스튜디오 자본이 들어온다는 것은 위축된 한국 영화 제작 환경에서 새로운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려도 만만치 않습니다.
영화 제작에 깊숙이 개입하는 미국식 영화 제작 시스템의 도입으로 창작의 자율성이 저해될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강유정(영화평론가) : "대규모 자본력과 기획력을 가지고 한국 시장에 진출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획력에 있어 한국 영화가 많이 영향을 받고 위축받을 수 있을 거라."
장기적으로는 국내 영화 콘텐츠도 미국 영화사로 넘어가면서 우리 영화계의 자생력이 약화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민우입니다.
-
-
이민우 기자 kbsminoo@gmail.com
이민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