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한 음식점에서 종업원과 임신부 사이에 벌어진 실랑이가 한때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 적이 있는데요.
식당에서 국물을 쏟으면서 어린 아이가 화상을 입은 사고를 놓고 정확한 사실관계가 확인되지도 않은채 국물을 들고 있었던 한 여성이 여론의 뭇매를 맞았습니다.
과연 이 여성의 잘못이 그렇게 컸던 것인지 최준혁 기자의 보도를 보시죠.
<리포트>
한 여성이 된장국을 떠 돌아서는 순간, 뛰어오던 아이와 부딪힙니다.
손을 덴 여성이 찬물로 손을 씻는 사이, 아이도 얼굴과 어깨를 씻어내기 위해 화장실로 갑니다.
누구 잘못인지 명확하지 않은 상황.
그러나 아이 어머니는 피해를 주장하며 인터넷에 글을 올렸고, 네티즌은 이 씨를 이른바 '된장 국물녀'라고 부르며 비난했습니다.
<녹취> 이00(음성변조) : "누가, 왜 그야말로 진실을 본 것처럼 일방적으로 매도하고..."
얼마 전에는 한 임신부가 음식점 종업원으로부터 배를 걷어차였다는 글을 인터넷에 올려 네티즌의 공분을 샀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두 사건 모두 일방적인 주장이 그대로 사실로 받아들여졌고, 가해자로 몰린 사람에 대한 마녀 사냥으로 이어졌습니다.
<인터뷰> 김원섭(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 "인터넷에 올라오는 정보는 가려지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일방의 주장으로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전문가들은 제2, 제3의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는 정보들에 대해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최준혁입니다.
한 음식점에서 종업원과 임신부 사이에 벌어진 실랑이가 한때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 적이 있는데요.
식당에서 국물을 쏟으면서 어린 아이가 화상을 입은 사고를 놓고 정확한 사실관계가 확인되지도 않은채 국물을 들고 있었던 한 여성이 여론의 뭇매를 맞았습니다.
과연 이 여성의 잘못이 그렇게 컸던 것인지 최준혁 기자의 보도를 보시죠.
<리포트>
한 여성이 된장국을 떠 돌아서는 순간, 뛰어오던 아이와 부딪힙니다.
손을 덴 여성이 찬물로 손을 씻는 사이, 아이도 얼굴과 어깨를 씻어내기 위해 화장실로 갑니다.
누구 잘못인지 명확하지 않은 상황.
그러나 아이 어머니는 피해를 주장하며 인터넷에 글을 올렸고, 네티즌은 이 씨를 이른바 '된장 국물녀'라고 부르며 비난했습니다.
<녹취> 이00(음성변조) : "누가, 왜 그야말로 진실을 본 것처럼 일방적으로 매도하고..."
얼마 전에는 한 임신부가 음식점 종업원으로부터 배를 걷어차였다는 글을 인터넷에 올려 네티즌의 공분을 샀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두 사건 모두 일방적인 주장이 그대로 사실로 받아들여졌고, 가해자로 몰린 사람에 대한 마녀 사냥으로 이어졌습니다.
<인터뷰> 김원섭(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 "인터넷에 올라오는 정보는 가려지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일방의 주장으로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전문가들은 제2, 제3의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는 정보들에 대해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최준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채선당에 국물녀까지…‘마녀 사냥’ 논란
-
- 입력 2012-02-29 13:02:53

<앵커 멘트>
한 음식점에서 종업원과 임신부 사이에 벌어진 실랑이가 한때 인터넷을 뜨겁게 달군 적이 있는데요.
식당에서 국물을 쏟으면서 어린 아이가 화상을 입은 사고를 놓고 정확한 사실관계가 확인되지도 않은채 국물을 들고 있었던 한 여성이 여론의 뭇매를 맞았습니다.
과연 이 여성의 잘못이 그렇게 컸던 것인지 최준혁 기자의 보도를 보시죠.
<리포트>
한 여성이 된장국을 떠 돌아서는 순간, 뛰어오던 아이와 부딪힙니다.
손을 덴 여성이 찬물로 손을 씻는 사이, 아이도 얼굴과 어깨를 씻어내기 위해 화장실로 갑니다.
누구 잘못인지 명확하지 않은 상황.
그러나 아이 어머니는 피해를 주장하며 인터넷에 글을 올렸고, 네티즌은 이 씨를 이른바 '된장 국물녀'라고 부르며 비난했습니다.
<녹취> 이00(음성변조) : "누가, 왜 그야말로 진실을 본 것처럼 일방적으로 매도하고..."
얼마 전에는 한 임신부가 음식점 종업원으로부터 배를 걷어차였다는 글을 인터넷에 올려 네티즌의 공분을 샀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두 사건 모두 일방적인 주장이 그대로 사실로 받아들여졌고, 가해자로 몰린 사람에 대한 마녀 사냥으로 이어졌습니다.
<인터뷰> 김원섭(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 "인터넷에 올라오는 정보는 가려지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일방의 주장으로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전문가들은 제2, 제3의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는 정보들에 대해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최준혁입니다.
-
-
최준혁 기자 chunn@kbs.co.kr
최준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