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사찰 핵심 진경락 구속…윗선 수사 급물살
입력 2012.04.17 (07:55)
수정 2012.04.17 (16: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의 핵심인물 가운데 한 명으로 지목돼 온 진경락 전 총리실 과장이 결국 구속됐습니다.
사찰을 지시하고 보고받은, 이른바 윗선에 대한 검찰 수사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입니다.
김건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검찰의 체포를 피해 사실상 잠적까지 했던 진경락 전 총리실 기획총괄과장이 결국 구속됐습니다.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재판부는 불법 사찰과 총리실 특수활동비 횡령 혐의가 소명되고, 증거 인멸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습니다.
검찰의 소환 통보에 수차례 불응하고, 지명수배까지 내려졌던 그동안의 행적도 고려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검찰은 진 전 과장의 신병을 확보함에 따라 불법사찰과 증거인멸 과정에서 누구로부터 지시를 받고, 보고는 누구에게 했는지 등 이른바 윗선 규명에 본격 착수할 방침입니다.
특히 이미 구속된 이영호 전 청와대 비서관보다 윗선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청와대와 총리실을 잇는 비선라인의 실체 등이 핵심 조사 대상입니다.
검찰은 이와 관련해 진 전 과장이 지난해 2월 중앙징계위원회에 제출했던 소명서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문제의 소명서에는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비서관 2명이 증거 인멸 과정에 개입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검찰의 재수사 이후 구속자가 3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검찰은 장 주무관이 입막음용으로 받았다는 1억 천만 원의 출처 규명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특히 어제는 장 주무관에게 5천만 원 돈다발을 전달한 류충렬 전 공직복무관리관의 집과 사무실 등 5곳을 압수수색했습니다.
KBS 뉴스 김건우입니다.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의 핵심인물 가운데 한 명으로 지목돼 온 진경락 전 총리실 과장이 결국 구속됐습니다.
사찰을 지시하고 보고받은, 이른바 윗선에 대한 검찰 수사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입니다.
김건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검찰의 체포를 피해 사실상 잠적까지 했던 진경락 전 총리실 기획총괄과장이 결국 구속됐습니다.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재판부는 불법 사찰과 총리실 특수활동비 횡령 혐의가 소명되고, 증거 인멸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습니다.
검찰의 소환 통보에 수차례 불응하고, 지명수배까지 내려졌던 그동안의 행적도 고려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검찰은 진 전 과장의 신병을 확보함에 따라 불법사찰과 증거인멸 과정에서 누구로부터 지시를 받고, 보고는 누구에게 했는지 등 이른바 윗선 규명에 본격 착수할 방침입니다.
특히 이미 구속된 이영호 전 청와대 비서관보다 윗선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청와대와 총리실을 잇는 비선라인의 실체 등이 핵심 조사 대상입니다.
검찰은 이와 관련해 진 전 과장이 지난해 2월 중앙징계위원회에 제출했던 소명서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문제의 소명서에는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비서관 2명이 증거 인멸 과정에 개입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검찰의 재수사 이후 구속자가 3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검찰은 장 주무관이 입막음용으로 받았다는 1억 천만 원의 출처 규명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특히 어제는 장 주무관에게 5천만 원 돈다발을 전달한 류충렬 전 공직복무관리관의 집과 사무실 등 5곳을 압수수색했습니다.
KBS 뉴스 김건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법사찰 핵심 진경락 구속…윗선 수사 급물살
-
- 입력 2012-04-17 07:55:05
- 수정2012-04-17 16:11:12

<앵커 멘트>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의 핵심인물 가운데 한 명으로 지목돼 온 진경락 전 총리실 과장이 결국 구속됐습니다.
사찰을 지시하고 보고받은, 이른바 윗선에 대한 검찰 수사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입니다.
김건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검찰의 체포를 피해 사실상 잠적까지 했던 진경락 전 총리실 기획총괄과장이 결국 구속됐습니다.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재판부는 불법 사찰과 총리실 특수활동비 횡령 혐의가 소명되고, 증거 인멸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습니다.
검찰의 소환 통보에 수차례 불응하고, 지명수배까지 내려졌던 그동안의 행적도 고려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검찰은 진 전 과장의 신병을 확보함에 따라 불법사찰과 증거인멸 과정에서 누구로부터 지시를 받고, 보고는 누구에게 했는지 등 이른바 윗선 규명에 본격 착수할 방침입니다.
특히 이미 구속된 이영호 전 청와대 비서관보다 윗선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청와대와 총리실을 잇는 비선라인의 실체 등이 핵심 조사 대상입니다.
검찰은 이와 관련해 진 전 과장이 지난해 2월 중앙징계위원회에 제출했던 소명서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문제의 소명서에는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비서관 2명이 증거 인멸 과정에 개입했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검찰의 재수사 이후 구속자가 3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검찰은 장 주무관이 입막음용으로 받았다는 1억 천만 원의 출처 규명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특히 어제는 장 주무관에게 5천만 원 돈다발을 전달한 류충렬 전 공직복무관리관의 집과 사무실 등 5곳을 압수수색했습니다.
KBS 뉴스 김건우입니다.
-
-
김건우 기자 kunoo@kbs.co.kr
김건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