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호서 ‘여름바다 불청객’ 해파리 박멸 작전
입력 2012.04.17 (21:57)
수정 2012.04.18 (17: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해마다 여름이면 해파리떼가 어민들의 골칫거리인데요.
국내 최대의 해파리 서식지인 시화호에서 해파리 알 박멸작전이 시작됐습니다.
정창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여름바다의 불청객 해파리...
걷어올린 그물에는 물고기보다 해파리떼가 더 많습니다.
대부분 보름달 물해파리입니다.
해파리떼로 인한 어구 손상 등 어업 피해만도 한 해 2천억 원이 넘습니다.
이 같은 피해를 막기 위해 국내 최대 해파리 서식지 시화호에서 해파리 박멸작전이 시작됐습니다.
고속분사기가 고압의 물을 뿜습니다.
해저 송전탑 기둥에 붙어있는 하얀색 해파리 '폴립' 즉 알들이 떨어져 나갑니다.
시화호의 해파리 알은 34억 개체, 국내 70%를 차지합니다.
<인터뷰> 김광일(잠수사) : "바닥에 들어가면 채광이 안드는 곳에 박쥐처럼 좁쌀만한 것들이 전부 다 매달려 있어요."
성체가 되기 전에 제거하면 전국 연안에 해파리가 대량증식하는 것을 상당 부분 막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윤원득(국립수산과학원 해파리대책반) : "폴립 한 마리가 5천 마리의 성체를, 보름달 물해파리 성체를 만듭니다. 그런 번식 특성 때문에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모든 어업에 해파리 피해가 발생하게 되는 겁니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시화호 해파리 알의 40%를 제거하고, 내년부터는 또 다른 서식지인 마산만과 새만금 방조제까지 알 제거 작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창준입니다.
해마다 여름이면 해파리떼가 어민들의 골칫거리인데요.
국내 최대의 해파리 서식지인 시화호에서 해파리 알 박멸작전이 시작됐습니다.
정창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여름바다의 불청객 해파리...
걷어올린 그물에는 물고기보다 해파리떼가 더 많습니다.
대부분 보름달 물해파리입니다.
해파리떼로 인한 어구 손상 등 어업 피해만도 한 해 2천억 원이 넘습니다.
이 같은 피해를 막기 위해 국내 최대 해파리 서식지 시화호에서 해파리 박멸작전이 시작됐습니다.
고속분사기가 고압의 물을 뿜습니다.
해저 송전탑 기둥에 붙어있는 하얀색 해파리 '폴립' 즉 알들이 떨어져 나갑니다.
시화호의 해파리 알은 34억 개체, 국내 70%를 차지합니다.
<인터뷰> 김광일(잠수사) : "바닥에 들어가면 채광이 안드는 곳에 박쥐처럼 좁쌀만한 것들이 전부 다 매달려 있어요."
성체가 되기 전에 제거하면 전국 연안에 해파리가 대량증식하는 것을 상당 부분 막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윤원득(국립수산과학원 해파리대책반) : "폴립 한 마리가 5천 마리의 성체를, 보름달 물해파리 성체를 만듭니다. 그런 번식 특성 때문에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모든 어업에 해파리 피해가 발생하게 되는 겁니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시화호 해파리 알의 40%를 제거하고, 내년부터는 또 다른 서식지인 마산만과 새만금 방조제까지 알 제거 작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창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화호서 ‘여름바다 불청객’ 해파리 박멸 작전
-
- 입력 2012-04-17 21:57:45
- 수정2012-04-18 17:30:21

<앵커 멘트>
해마다 여름이면 해파리떼가 어민들의 골칫거리인데요.
국내 최대의 해파리 서식지인 시화호에서 해파리 알 박멸작전이 시작됐습니다.
정창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여름바다의 불청객 해파리...
걷어올린 그물에는 물고기보다 해파리떼가 더 많습니다.
대부분 보름달 물해파리입니다.
해파리떼로 인한 어구 손상 등 어업 피해만도 한 해 2천억 원이 넘습니다.
이 같은 피해를 막기 위해 국내 최대 해파리 서식지 시화호에서 해파리 박멸작전이 시작됐습니다.
고속분사기가 고압의 물을 뿜습니다.
해저 송전탑 기둥에 붙어있는 하얀색 해파리 '폴립' 즉 알들이 떨어져 나갑니다.
시화호의 해파리 알은 34억 개체, 국내 70%를 차지합니다.
<인터뷰> 김광일(잠수사) : "바닥에 들어가면 채광이 안드는 곳에 박쥐처럼 좁쌀만한 것들이 전부 다 매달려 있어요."
성체가 되기 전에 제거하면 전국 연안에 해파리가 대량증식하는 것을 상당 부분 막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윤원득(국립수산과학원 해파리대책반) : "폴립 한 마리가 5천 마리의 성체를, 보름달 물해파리 성체를 만듭니다. 그런 번식 특성 때문에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모든 어업에 해파리 피해가 발생하게 되는 겁니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시화호 해파리 알의 40%를 제거하고, 내년부터는 또 다른 서식지인 마산만과 새만금 방조제까지 알 제거 작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창준입니다.
-
-
정창준 기자 jchjun@kbs.co.kr
정창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