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은퇴자 83% “경조사비 부담 느낀다”

입력 2012.05.04 (06:15) 수정 2012.05.04 (16: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50대 이상 직장 은퇴자 대다수는 경조사비에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는 50∼70대 은퇴자 500명을 조사한 `은퇴 이후 경조사비 인식’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이 결과를 보면 은퇴자들은 연간 경조사비로 일인당 평균 116만원을 쓰고 결혼식에는 11.2회, 장례식에는 5.1회 참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축의금으로 회당 7만원, 부의금은 회당 7만3천원을 지출했다.



경조사비 지출에 경제적 부담을 느끼는 응답자가 83%에 달했다. `크게 부담된다’가 26%, `약간 부담된다’는 57%였다. `별로 부담되지 않는다’는 응답은 16%, `전혀 부담되지 않는다’는 1%에 불과했다.



경조사비 지출이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계절적 특징 탓에 봄과 가을에 체감 경조비 부담이 훨씬 큰 것으로 파악됐다.



경조사비 액수 결정 기준은 `친분 정도’ 46%, `과거 받은 금액’ 42%였으나 `현재 생활수준’은 2%에 그쳤다. 대다수가 개인 형편에 비해 무리하게 경조사비를 지출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노후소득이 부족해도 경조사비를 줄이지 않겠다는 응답은 무려 43%에 달했다.



줄이겠다는 답변 46%와 비슷했다. 11%는 경조사에 아예 참석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우리나라 경조사 문화는 63%가 개선 필요성에 공감했다.



개선 방향과 관련해서는 `가족ㆍ친척 중심의 간소화’ 67%, `본인 경제적 수준 맞춰 축소’ 21%, `받지 않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 8%, `지속적인 경조문화 개선’ 4% 등으로 나타났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직장 은퇴자 83% “경조사비 부담 느낀다”
    • 입력 2012-05-04 06:15:07
    • 수정2012-05-04 16:59:15
    연합뉴스
50대 이상 직장 은퇴자 대다수는 경조사비에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는 50∼70대 은퇴자 500명을 조사한 `은퇴 이후 경조사비 인식’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이 결과를 보면 은퇴자들은 연간 경조사비로 일인당 평균 116만원을 쓰고 결혼식에는 11.2회, 장례식에는 5.1회 참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축의금으로 회당 7만원, 부의금은 회당 7만3천원을 지출했다.

경조사비 지출에 경제적 부담을 느끼는 응답자가 83%에 달했다. `크게 부담된다’가 26%, `약간 부담된다’는 57%였다. `별로 부담되지 않는다’는 응답은 16%, `전혀 부담되지 않는다’는 1%에 불과했다.

경조사비 지출이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계절적 특징 탓에 봄과 가을에 체감 경조비 부담이 훨씬 큰 것으로 파악됐다.

경조사비 액수 결정 기준은 `친분 정도’ 46%, `과거 받은 금액’ 42%였으나 `현재 생활수준’은 2%에 그쳤다. 대다수가 개인 형편에 비해 무리하게 경조사비를 지출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노후소득이 부족해도 경조사비를 줄이지 않겠다는 응답은 무려 43%에 달했다.

줄이겠다는 답변 46%와 비슷했다. 11%는 경조사에 아예 참석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우리나라 경조사 문화는 63%가 개선 필요성에 공감했다.

개선 방향과 관련해서는 `가족ㆍ친척 중심의 간소화’ 67%, `본인 경제적 수준 맞춰 축소’ 21%, `받지 않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 8%, `지속적인 경조문화 개선’ 4% 등으로 나타났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