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새누리당에선 비박근혜계 대선주자들이 경선 방식을 완전국민경선제로 바꾸자는 주장을 공론화하고 나섰습니다.
장덕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비박근혜계' 심재철 최고위원이 주최한 대선 경선방식 토론회.
비박근혜계 대선 주자들도 참석해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하자고 거듭 촉구했습니다.
<녹취> 이재오(새누리당 의원) : "경선과정에서 후보들의 장단점을 국민들앞에 한번 걸러야 한다. 말하자면 면역주사 한번 맞아야한다."
<녹취> 김문수(경기도지사) : "사당화 또는 당심과 민심의 격리 이런 부분을 이겨낼 수 있는 그 방법이 바로 이 오픈 프라이머리..."
일반 국민과 당원의 뜻이 각각 반반씩 반영되는 현행 경선제도를 모두에게 개방하자는 게 비박계 입장, 당 지도부는 역선택 우려 등을 들어 여전히 신중한 입장입니다.
<녹취> 황우여(새누리당 대표) : "(완전국민경선제는) 어찌 보면 판도라 상자같이 한번 열면 참 많은 문제가 뛰쳐나올 수가 있는..."
당 사무처는 경선까지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을 당 지도부에 전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민주통합당은 19대 국회 정치개혁 첫 법안으로 완전국민경선제를 제안하며 여당 내 틈새를 파고들었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새누리당에선 비박근혜계 대선주자들이 경선 방식을 완전국민경선제로 바꾸자는 주장을 공론화하고 나섰습니다.
장덕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비박근혜계' 심재철 최고위원이 주최한 대선 경선방식 토론회.
비박근혜계 대선 주자들도 참석해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하자고 거듭 촉구했습니다.
<녹취> 이재오(새누리당 의원) : "경선과정에서 후보들의 장단점을 국민들앞에 한번 걸러야 한다. 말하자면 면역주사 한번 맞아야한다."
<녹취> 김문수(경기도지사) : "사당화 또는 당심과 민심의 격리 이런 부분을 이겨낼 수 있는 그 방법이 바로 이 오픈 프라이머리..."
일반 국민과 당원의 뜻이 각각 반반씩 반영되는 현행 경선제도를 모두에게 개방하자는 게 비박계 입장, 당 지도부는 역선택 우려 등을 들어 여전히 신중한 입장입니다.
<녹취> 황우여(새누리당 대표) : "(완전국민경선제는) 어찌 보면 판도라 상자같이 한번 열면 참 많은 문제가 뛰쳐나올 수가 있는..."
당 사무처는 경선까지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을 당 지도부에 전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민주통합당은 19대 국회 정치개혁 첫 법안으로 완전국민경선제를 제안하며 여당 내 틈새를 파고들었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누리, 비박근혜계 ‘완전국민경선’ 공론화
-
- 입력 2012-05-22 21:59:38

<앵커 멘트>
새누리당에선 비박근혜계 대선주자들이 경선 방식을 완전국민경선제로 바꾸자는 주장을 공론화하고 나섰습니다.
장덕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비박근혜계' 심재철 최고위원이 주최한 대선 경선방식 토론회.
비박근혜계 대선 주자들도 참석해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하자고 거듭 촉구했습니다.
<녹취> 이재오(새누리당 의원) : "경선과정에서 후보들의 장단점을 국민들앞에 한번 걸러야 한다. 말하자면 면역주사 한번 맞아야한다."
<녹취> 김문수(경기도지사) : "사당화 또는 당심과 민심의 격리 이런 부분을 이겨낼 수 있는 그 방법이 바로 이 오픈 프라이머리..."
일반 국민과 당원의 뜻이 각각 반반씩 반영되는 현행 경선제도를 모두에게 개방하자는 게 비박계 입장, 당 지도부는 역선택 우려 등을 들어 여전히 신중한 입장입니다.
<녹취> 황우여(새누리당 대표) : "(완전국민경선제는) 어찌 보면 판도라 상자같이 한번 열면 참 많은 문제가 뛰쳐나올 수가 있는..."
당 사무처는 경선까지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을 당 지도부에 전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민주통합당은 19대 국회 정치개혁 첫 법안으로 완전국민경선제를 제안하며 여당 내 틈새를 파고들었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
-
장덕수 기자 joannes@kbs.co.kr
장덕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