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와 동거’ 30~40대 자녀 10년 만에 91% 증가
입력 2012.06.01 (21:57)
수정 2012.06.02 (07: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부모를 부양하는 자식들보다 자식들을 말 그대로 모시고 사는 부모들이 더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부모와 동거하는 3-40대 자녀의 수는 10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성창경 기자가 자세히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올해 33살인 김모씨, 미혼이라 부모 집에서 사는 것이 좋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모씨(33세/미혼) : " 우선 편하죠. 밥해 주시고, 빨래해 주시고, 청소해 주시니까"
특히 결혼한 딸은 친정에서 사는 것이 편하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정용림(33세/친정에 동거) : "친정엄마다 보니까 집안일 할 것 없이 편안히 누워서 얻어먹을 수있고.."
그러나 친정 어머니들은 불편한 것이 많습니다.
< 인터뷰> 김경희(57세/서울시 상도동) : "사위가 있어서 맘대로 옷이라든지 저도 그렇지만 나 역시 집안에서 옷 벗고 돌아다닐 수도 없고..."
직장 다니는 며느리와 함께 사는 어머니는 꼼짝 못한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이순영(75세/서울시 상도동) : "일 많이 해야 돼요, 아들과 살면, 머슴살이 해야 돼요"
서울시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모와 동거하는 30살에서 49살 사이의 자녀는 지난 2천년 25만 3천여 명에서 지난 2010년에는 48만 4천여 명으로 10년 새 91.4%나 늘어났습니다.
부모가 자녀와 함께 사는 이유는 자녀의 경제적 문제가 29%, 손자녀 양육 등이 10.5%로, 39.5%가 부모가 자녀를 부양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모의 건강과 경제적 이유 때문에 자녀가 부모를 모시고 산다는 32,3%보다 더 많습니다.
자녀와 함께 살고 싶다는 60세 이상 부모는 지난 2005년 49.3%에서 지난해에는 29.2%로 6년 새 20.1%포인트나 줄었습니다.
이같은 현상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결혼을 늦게 하고 또 각 세대별로 경제적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세태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KBS 뉴스 성창경입니다.
부모를 부양하는 자식들보다 자식들을 말 그대로 모시고 사는 부모들이 더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부모와 동거하는 3-40대 자녀의 수는 10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성창경 기자가 자세히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올해 33살인 김모씨, 미혼이라 부모 집에서 사는 것이 좋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모씨(33세/미혼) : " 우선 편하죠. 밥해 주시고, 빨래해 주시고, 청소해 주시니까"
특히 결혼한 딸은 친정에서 사는 것이 편하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정용림(33세/친정에 동거) : "친정엄마다 보니까 집안일 할 것 없이 편안히 누워서 얻어먹을 수있고.."
그러나 친정 어머니들은 불편한 것이 많습니다.
< 인터뷰> 김경희(57세/서울시 상도동) : "사위가 있어서 맘대로 옷이라든지 저도 그렇지만 나 역시 집안에서 옷 벗고 돌아다닐 수도 없고..."
직장 다니는 며느리와 함께 사는 어머니는 꼼짝 못한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이순영(75세/서울시 상도동) : "일 많이 해야 돼요, 아들과 살면, 머슴살이 해야 돼요"
서울시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모와 동거하는 30살에서 49살 사이의 자녀는 지난 2천년 25만 3천여 명에서 지난 2010년에는 48만 4천여 명으로 10년 새 91.4%나 늘어났습니다.
부모가 자녀와 함께 사는 이유는 자녀의 경제적 문제가 29%, 손자녀 양육 등이 10.5%로, 39.5%가 부모가 자녀를 부양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모의 건강과 경제적 이유 때문에 자녀가 부모를 모시고 산다는 32,3%보다 더 많습니다.
자녀와 함께 살고 싶다는 60세 이상 부모는 지난 2005년 49.3%에서 지난해에는 29.2%로 6년 새 20.1%포인트나 줄었습니다.
이같은 현상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결혼을 늦게 하고 또 각 세대별로 경제적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세태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KBS 뉴스 성창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모와 동거’ 30~40대 자녀 10년 만에 91% 증가
-
- 입력 2012-06-01 21:57:38
- 수정2012-06-02 07:34:12

<앵커 멘트>
부모를 부양하는 자식들보다 자식들을 말 그대로 모시고 사는 부모들이 더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부모와 동거하는 3-40대 자녀의 수는 10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성창경 기자가 자세히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올해 33살인 김모씨, 미혼이라 부모 집에서 사는 것이 좋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모씨(33세/미혼) : " 우선 편하죠. 밥해 주시고, 빨래해 주시고, 청소해 주시니까"
특히 결혼한 딸은 친정에서 사는 것이 편하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정용림(33세/친정에 동거) : "친정엄마다 보니까 집안일 할 것 없이 편안히 누워서 얻어먹을 수있고.."
그러나 친정 어머니들은 불편한 것이 많습니다.
< 인터뷰> 김경희(57세/서울시 상도동) : "사위가 있어서 맘대로 옷이라든지 저도 그렇지만 나 역시 집안에서 옷 벗고 돌아다닐 수도 없고..."
직장 다니는 며느리와 함께 사는 어머니는 꼼짝 못한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이순영(75세/서울시 상도동) : "일 많이 해야 돼요, 아들과 살면, 머슴살이 해야 돼요"
서울시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모와 동거하는 30살에서 49살 사이의 자녀는 지난 2천년 25만 3천여 명에서 지난 2010년에는 48만 4천여 명으로 10년 새 91.4%나 늘어났습니다.
부모가 자녀와 함께 사는 이유는 자녀의 경제적 문제가 29%, 손자녀 양육 등이 10.5%로, 39.5%가 부모가 자녀를 부양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모의 건강과 경제적 이유 때문에 자녀가 부모를 모시고 산다는 32,3%보다 더 많습니다.
자녀와 함께 살고 싶다는 60세 이상 부모는 지난 2005년 49.3%에서 지난해에는 29.2%로 6년 새 20.1%포인트나 줄었습니다.
이같은 현상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결혼을 늦게 하고 또 각 세대별로 경제적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세태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KBS 뉴스 성창경입니다.
-
-
성창경 기자 swindow@kbs.co.kr
성창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