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비어천가서 컴퓨터 글까지…한눈에 보는 ‘한글’

입력 2012.06.21 (08:00) 수정 2012.06.21 (08: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훈민정음 창제 뒤 지금까지 한글의 모양은 얼마나 어떻게 변해왔을까요?

시대의 흐름에 따른 한글 활자의 변천 모습을 한눈에 살펴보시죠.

최정근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과인은 새로 28글자를..."

훈민정음 창제 직후 인쇄된 '용비어천가'.

직선으로 이뤄진 글자 하나하나가 정사각형을 꽉 채운 모습입니다.

조선 후기, 한글은 서예의 영향으로 한결 부드럽고 안정됐습니다.

300여 년의 시간이 지나며 글씨체는 확연히 달라졌습니다.

<인터뷰> 이용제 (계원예술대 교수) : "시작 부분이나 꺾어지는 부분이나 맺어지는 부분이나, 또는 획과 획이 이어지는 부분이나 그런 데서 부드러운 모습들(이 나타납니다)"

붓글씨와 인쇄의 느낌이 뒤섞인 개화기 활자를 지나 6.25 전쟁 직후에는 현재의 명조체와 더욱 비슷하게 다듬어졌습니다.

<인터뷰> 박경주 (경기도 파주시) : "우리나라의 활자가 예전부터 많이 역사적으로 발달해 있다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되게 좋았습니다."

기하학적인 초기 형태에서 컴퓨터 서체, 그리고 손 글씨 느낌을 더한 오늘날의 개성 넘치는 모습까지.

시대에 따라 변화돼온 활자를 통해 한글에 내재해있는 과학성과 예술성을 다시금 확인하게 됩니다.

KBS 뉴스 최정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용비어천가서 컴퓨터 글까지…한눈에 보는 ‘한글’
    • 입력 2012-06-21 08:00:40
    • 수정2012-06-21 08:14:34
    뉴스광장
<앵커 멘트> 훈민정음 창제 뒤 지금까지 한글의 모양은 얼마나 어떻게 변해왔을까요? 시대의 흐름에 따른 한글 활자의 변천 모습을 한눈에 살펴보시죠. 최정근 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과인은 새로 28글자를..." 훈민정음 창제 직후 인쇄된 '용비어천가'. 직선으로 이뤄진 글자 하나하나가 정사각형을 꽉 채운 모습입니다. 조선 후기, 한글은 서예의 영향으로 한결 부드럽고 안정됐습니다. 300여 년의 시간이 지나며 글씨체는 확연히 달라졌습니다. <인터뷰> 이용제 (계원예술대 교수) : "시작 부분이나 꺾어지는 부분이나 맺어지는 부분이나, 또는 획과 획이 이어지는 부분이나 그런 데서 부드러운 모습들(이 나타납니다)" 붓글씨와 인쇄의 느낌이 뒤섞인 개화기 활자를 지나 6.25 전쟁 직후에는 현재의 명조체와 더욱 비슷하게 다듬어졌습니다. <인터뷰> 박경주 (경기도 파주시) : "우리나라의 활자가 예전부터 많이 역사적으로 발달해 있다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되게 좋았습니다." 기하학적인 초기 형태에서 컴퓨터 서체, 그리고 손 글씨 느낌을 더한 오늘날의 개성 넘치는 모습까지. 시대에 따라 변화돼온 활자를 통해 한글에 내재해있는 과학성과 예술성을 다시금 확인하게 됩니다. KBS 뉴스 최정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