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가뭄 장기화…“땅 파도 물 안 나와요”

입력 2012.06.22 (13: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가뭄이 계속되면서 농촌 들녘에선 용수원을 찾느라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하수마저 말라버린 경우가 많아 관정 개발도 쉽지 않습니다.

박재홍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바닥을 드러낸 농수로에서 굴삭기가 흙과 자갈을 걷어올리고 있습니다.

땅속으로 스며든 물을 한데 모아 모내기를 못한 논에 대려는 겁니다.

가뭄이 계속되면서 관정을 파야할 형편이지만 엄두를 내지 못합니다.

<인터뷰> 이호희(농민) : "지하수 파서는 타산이 맞지 않아요. 왜냐하면, 중형 관정 하나 파려면 1,400~1,500만원은 있어야..."

말라버린 작은 하천 바닥을 4~5미터가량 파 논을 적셔보지만 약해진 수맥 탓에, 물줄기가 금새 끊기고 맙니다.

<인터뷰> 조금석(농민) : "지금 물이 없으면 새끼도 못 치고, 아무래도 번식을 못 해요. 벼가. 그래서 옆으로 번식도 해야 하고. 가장 중요한 때라고..."

자치단체의 예산이 긴급 지원된 지역에선 공동으로 사용할 관정을 파고 있습니다.

하지만, 물길을 찾을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습니다.

<인터뷰> 최병희(관정 개발업) : ("파일을 몇 미터 깊이까지 박으셨어요?") 60미터요. (물이 좀 나올 것 같아요?) 아직은 안 나오는데 그 정도 더 파봐야 될 것 같아요."

전라북도는 이달 말까지를 고비로 보고 용수 공급을 위해 정부에 270억 원을 요청했지만 많은 비가 내리지 않는 한 물 부족사태는 계속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박재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촌지역 가뭄 장기화…“땅 파도 물 안 나와요”
    • 입력 2012-06-22 13:08:47
    뉴스 12
<앵커 멘트> 가뭄이 계속되면서 농촌 들녘에선 용수원을 찾느라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하수마저 말라버린 경우가 많아 관정 개발도 쉽지 않습니다. 박재홍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바닥을 드러낸 농수로에서 굴삭기가 흙과 자갈을 걷어올리고 있습니다. 땅속으로 스며든 물을 한데 모아 모내기를 못한 논에 대려는 겁니다. 가뭄이 계속되면서 관정을 파야할 형편이지만 엄두를 내지 못합니다. <인터뷰> 이호희(농민) : "지하수 파서는 타산이 맞지 않아요. 왜냐하면, 중형 관정 하나 파려면 1,400~1,500만원은 있어야..." 말라버린 작은 하천 바닥을 4~5미터가량 파 논을 적셔보지만 약해진 수맥 탓에, 물줄기가 금새 끊기고 맙니다. <인터뷰> 조금석(농민) : "지금 물이 없으면 새끼도 못 치고, 아무래도 번식을 못 해요. 벼가. 그래서 옆으로 번식도 해야 하고. 가장 중요한 때라고..." 자치단체의 예산이 긴급 지원된 지역에선 공동으로 사용할 관정을 파고 있습니다. 하지만, 물길을 찾을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습니다. <인터뷰> 최병희(관정 개발업) : ("파일을 몇 미터 깊이까지 박으셨어요?") 60미터요. (물이 좀 나올 것 같아요?) 아직은 안 나오는데 그 정도 더 파봐야 될 것 같아요." 전라북도는 이달 말까지를 고비로 보고 용수 공급을 위해 정부에 270억 원을 요청했지만 많은 비가 내리지 않는 한 물 부족사태는 계속 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박재홍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