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여기 보시는 건 청동기 시대의 유물입니다.
겉면에 그림이 있는데요.
잘 보면, 밭을 갈고, 곡식을 항아리에 넣는 사람이 그려져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이렇게 청동기 이후의 유물에서만 농사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는데, 이보다 훨씬 전인 지금으로부터 5천년 전, 신석기 시대에도 농사를 지었다는 증거가 처음으로 발견됐습니다.
심연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바닷가를 낀 강원도 고성의 언덕.
발굴 현장에 밭 모양을 한 유적지가 드러납니다.
약 천 제곱미터 넓이에 이랑과 고랑이 비교적 가지런히 배열돼 있습니다.
상당한 농경 수준에 이른 것으로 평가받아 온 3천년전 청동기 시대의 밭에 비하면 다소 거친 모습이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비슷합니다.
그런데 이 밭 주변에서는 농사를 지으며 정착한 것을 보여주는 움집 터가 나왔고, 그 아래에선 빗살무늬 토기 파편과 탄화된 조 한 알도 출토됐습니다.
<인터뷰> 홍형우(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 : "출토 유물들이 신석기 시대의 것이므로 밭도 동시대의 것으로 추정..."
신석기 시대 중기에도 밭농사 기술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유물들은 이 시대에 한반도에 원시적인 화전 농경만 있었을 것이라는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결정적인 증거입니다.
이렇게 신석기 시대의 밭이 발견된 것은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처음입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를 토대로 동해안 지역에서 적어도 5천 년 전, 신석기 시대부터 농경 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인터뷰> 조유전(경기문화재연구원 원장) : "이 시기에 아직까지 제대로 알려진게 없는데 문암리에서 나왔기 때문에 아마 학술적으로 학계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않을까.."
지금은 유적지의 일부만 발굴된 상태지만 추가 발굴이 진행되면 당시의 군락 규모와 생활상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잇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여기 보시는 건 청동기 시대의 유물입니다.
겉면에 그림이 있는데요.
잘 보면, 밭을 갈고, 곡식을 항아리에 넣는 사람이 그려져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이렇게 청동기 이후의 유물에서만 농사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는데, 이보다 훨씬 전인 지금으로부터 5천년 전, 신석기 시대에도 농사를 지었다는 증거가 처음으로 발견됐습니다.
심연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바닷가를 낀 강원도 고성의 언덕.
발굴 현장에 밭 모양을 한 유적지가 드러납니다.
약 천 제곱미터 넓이에 이랑과 고랑이 비교적 가지런히 배열돼 있습니다.
상당한 농경 수준에 이른 것으로 평가받아 온 3천년전 청동기 시대의 밭에 비하면 다소 거친 모습이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비슷합니다.
그런데 이 밭 주변에서는 농사를 지으며 정착한 것을 보여주는 움집 터가 나왔고, 그 아래에선 빗살무늬 토기 파편과 탄화된 조 한 알도 출토됐습니다.
<인터뷰> 홍형우(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 : "출토 유물들이 신석기 시대의 것이므로 밭도 동시대의 것으로 추정..."
신석기 시대 중기에도 밭농사 기술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유물들은 이 시대에 한반도에 원시적인 화전 농경만 있었을 것이라는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결정적인 증거입니다.
이렇게 신석기 시대의 밭이 발견된 것은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처음입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를 토대로 동해안 지역에서 적어도 5천 년 전, 신석기 시대부터 농경 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인터뷰> 조유전(경기문화재연구원 원장) : "이 시기에 아직까지 제대로 알려진게 없는데 문암리에서 나왔기 때문에 아마 학술적으로 학계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않을까.."
지금은 유적지의 일부만 발굴된 상태지만 추가 발굴이 진행되면 당시의 군락 규모와 생활상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잇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아시아 최초 신석기 시대 밭 유적 발견
-
- 입력 2012-06-27 08:24:47
![](/data/news/2012/06/27/2493697_260.jpg)
<앵커 멘트>
여기 보시는 건 청동기 시대의 유물입니다.
겉면에 그림이 있는데요.
잘 보면, 밭을 갈고, 곡식을 항아리에 넣는 사람이 그려져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이렇게 청동기 이후의 유물에서만 농사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는데, 이보다 훨씬 전인 지금으로부터 5천년 전, 신석기 시대에도 농사를 지었다는 증거가 처음으로 발견됐습니다.
심연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바닷가를 낀 강원도 고성의 언덕.
발굴 현장에 밭 모양을 한 유적지가 드러납니다.
약 천 제곱미터 넓이에 이랑과 고랑이 비교적 가지런히 배열돼 있습니다.
상당한 농경 수준에 이른 것으로 평가받아 온 3천년전 청동기 시대의 밭에 비하면 다소 거친 모습이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비슷합니다.
그런데 이 밭 주변에서는 농사를 지으며 정착한 것을 보여주는 움집 터가 나왔고, 그 아래에선 빗살무늬 토기 파편과 탄화된 조 한 알도 출토됐습니다.
<인터뷰> 홍형우(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 : "출토 유물들이 신석기 시대의 것이므로 밭도 동시대의 것으로 추정..."
신석기 시대 중기에도 밭농사 기술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유물들은 이 시대에 한반도에 원시적인 화전 농경만 있었을 것이라는 기존의 학설을 뒤집는 결정적인 증거입니다.
이렇게 신석기 시대의 밭이 발견된 것은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처음입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를 토대로 동해안 지역에서 적어도 5천 년 전, 신석기 시대부터 농경 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인터뷰> 조유전(경기문화재연구원 원장) : "이 시기에 아직까지 제대로 알려진게 없는데 문암리에서 나왔기 때문에 아마 학술적으로 학계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않을까.."
지금은 유적지의 일부만 발굴된 상태지만 추가 발굴이 진행되면 당시의 군락 규모와 생활상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잇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
-
심연희 기자 simony@kbs.co.kr
심연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