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주 여성들에 ‘한글 이름’ 선물
입력 2012.06.28 (08:07)
수정 2012.06.28 (08: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동남아 등에서 온 결혼 이주 여성들은 발음하기 힘든 이름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종종 생활의 불편으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이런 결혼 이주 여성들에게 한글 이름을 지어 선물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공웅조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1월 한국으로 시집온 필리핀인 알보레로 미셀 베나비제즈씨.
남편조차 기억하기 힘들 정도로 이름이 길고 어려워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베나비제즈씨는 11자의 긴 이름 대신 아름답고 고운 마음을 가졌다는 뜻의 '이미선'이라는 한글 이름을 얻었습니다.
<인터뷰> 정덕강(후원자) : "이제 한국에 왔으니 남편과 잘 지내고 가정이 화목하게 한국예절을 배워서 잘 살아줬으면 고맙겠어요."
이 사업을 시작한 부산진구청은 한글이름을 받은 이주여성들이 원할 경우 개명을 위한 법적 절차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주 여성들에게 한글 이름은,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무엇보다 값진 선물입니다.
KBS 뉴스 공웅조입니다.
동남아 등에서 온 결혼 이주 여성들은 발음하기 힘든 이름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종종 생활의 불편으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이런 결혼 이주 여성들에게 한글 이름을 지어 선물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공웅조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1월 한국으로 시집온 필리핀인 알보레로 미셀 베나비제즈씨.
남편조차 기억하기 힘들 정도로 이름이 길고 어려워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베나비제즈씨는 11자의 긴 이름 대신 아름답고 고운 마음을 가졌다는 뜻의 '이미선'이라는 한글 이름을 얻었습니다.
<인터뷰> 정덕강(후원자) : "이제 한국에 왔으니 남편과 잘 지내고 가정이 화목하게 한국예절을 배워서 잘 살아줬으면 고맙겠어요."
이 사업을 시작한 부산진구청은 한글이름을 받은 이주여성들이 원할 경우 개명을 위한 법적 절차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주 여성들에게 한글 이름은,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무엇보다 값진 선물입니다.
KBS 뉴스 공웅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결혼이주 여성들에 ‘한글 이름’ 선물
-
- 입력 2012-06-28 08:07:40
- 수정2012-06-28 08:45:49

<앵커 멘트>
동남아 등에서 온 결혼 이주 여성들은 발음하기 힘든 이름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종종 생활의 불편으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이런 결혼 이주 여성들에게 한글 이름을 지어 선물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공웅조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1월 한국으로 시집온 필리핀인 알보레로 미셀 베나비제즈씨.
남편조차 기억하기 힘들 정도로 이름이 길고 어려워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베나비제즈씨는 11자의 긴 이름 대신 아름답고 고운 마음을 가졌다는 뜻의 '이미선'이라는 한글 이름을 얻었습니다.
<인터뷰> 정덕강(후원자) : "이제 한국에 왔으니 남편과 잘 지내고 가정이 화목하게 한국예절을 배워서 잘 살아줬으면 고맙겠어요."
이 사업을 시작한 부산진구청은 한글이름을 받은 이주여성들이 원할 경우 개명을 위한 법적 절차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주 여성들에게 한글 이름은,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무엇보다 값진 선물입니다.
KBS 뉴스 공웅조입니다.
-
-
공웅조 기자 salt@kbs.co.kr
공웅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