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요즘 소방대원들은 불 끄는 것 못지않게 물 공급하는 일에도 전념하고 있는데요.
이들과 함께 다녀본 산간 마을 곳곳은 한계 상황에 이를 정도의 극심한 가뭄에 내몰리고 있었습니다.
그 현장을 김영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온종일 내리쬐는 뜨거운 햇살이 온 세상을 말려 버릴 듯합니다.
바닥을 드러낸 채 바싹 타들어가는 하천엔, 생명체가 사라진 지 오랩니다.
물줄기를 찾아 깊은 산속으로 들어가 봐도 계곡은 이미 풀숲으로 변했습니다.
이처럼 농촌마을의 상수원으로 쓰이는 계곡에는 물이 마른 지 2달이 넘었습니다.
마을주민들이 양동이와 물통을 들고 나타납니다.
마실 물도 씻거나 빨래할 물도 없어, 하루 한번 찾아오는 소방차가 마을주민들에게는 구세주나 마찬가집니다.
이마저 하루 버티기 힘듭니다.
집 안에서는 물이 금보다 귀합니다.
'물처럼 쓴다.',는 말은 이미 옛말이 돼버리진 지 오랩니다.
빨래는 밀렸고, 설거지도 맘껏 못합니다.
<인터뷰> 박채옥(주민) : "물이 떨어지면 황당하죠. 늙은이가 어디 가서 퍼올 수도 없고..."
긴 가뭄에, 농작물도 버틸 재간이 없습니다.
잎사귀가 누렇게 뜨고 바싹 말라갑니다.
웅덩이를 새로 파서 근근이 버텨왔지만 가뭄이 길어지면서 말랐습니다.
<인터뷰> 윤봉자(주민) : "웅덩이 파서 기계로 퍼 가지고 사람이 양동이로 날라서 사람이 붓고..."
두 달째 비가 내리지 않는 극심한 가뭄에 사람과 동물 그리고 농작물도 한계 상황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요즘 소방대원들은 불 끄는 것 못지않게 물 공급하는 일에도 전념하고 있는데요.
이들과 함께 다녀본 산간 마을 곳곳은 한계 상황에 이를 정도의 극심한 가뭄에 내몰리고 있었습니다.
그 현장을 김영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온종일 내리쬐는 뜨거운 햇살이 온 세상을 말려 버릴 듯합니다.
바닥을 드러낸 채 바싹 타들어가는 하천엔, 생명체가 사라진 지 오랩니다.
물줄기를 찾아 깊은 산속으로 들어가 봐도 계곡은 이미 풀숲으로 변했습니다.
이처럼 농촌마을의 상수원으로 쓰이는 계곡에는 물이 마른 지 2달이 넘었습니다.
마을주민들이 양동이와 물통을 들고 나타납니다.
마실 물도 씻거나 빨래할 물도 없어, 하루 한번 찾아오는 소방차가 마을주민들에게는 구세주나 마찬가집니다.
이마저 하루 버티기 힘듭니다.
집 안에서는 물이 금보다 귀합니다.
'물처럼 쓴다.',는 말은 이미 옛말이 돼버리진 지 오랩니다.
빨래는 밀렸고, 설거지도 맘껏 못합니다.
<인터뷰> 박채옥(주민) : "물이 떨어지면 황당하죠. 늙은이가 어디 가서 퍼올 수도 없고..."
긴 가뭄에, 농작물도 버틸 재간이 없습니다.
잎사귀가 누렇게 뜨고 바싹 말라갑니다.
웅덩이를 새로 파서 근근이 버텨왔지만 가뭄이 길어지면서 말랐습니다.
<인터뷰> 윤봉자(주민) : "웅덩이 파서 기계로 퍼 가지고 사람이 양동이로 날라서 사람이 붓고..."
두 달째 비가 내리지 않는 극심한 가뭄에 사람과 동물 그리고 농작물도 한계 상황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뭄 물 부족…산간마을 “이제는 한계다”
-
- 입력 2012-06-28 13:03:20

<앵커 멘트>
요즘 소방대원들은 불 끄는 것 못지않게 물 공급하는 일에도 전념하고 있는데요.
이들과 함께 다녀본 산간 마을 곳곳은 한계 상황에 이를 정도의 극심한 가뭄에 내몰리고 있었습니다.
그 현장을 김영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온종일 내리쬐는 뜨거운 햇살이 온 세상을 말려 버릴 듯합니다.
바닥을 드러낸 채 바싹 타들어가는 하천엔, 생명체가 사라진 지 오랩니다.
물줄기를 찾아 깊은 산속으로 들어가 봐도 계곡은 이미 풀숲으로 변했습니다.
이처럼 농촌마을의 상수원으로 쓰이는 계곡에는 물이 마른 지 2달이 넘었습니다.
마을주민들이 양동이와 물통을 들고 나타납니다.
마실 물도 씻거나 빨래할 물도 없어, 하루 한번 찾아오는 소방차가 마을주민들에게는 구세주나 마찬가집니다.
이마저 하루 버티기 힘듭니다.
집 안에서는 물이 금보다 귀합니다.
'물처럼 쓴다.',는 말은 이미 옛말이 돼버리진 지 오랩니다.
빨래는 밀렸고, 설거지도 맘껏 못합니다.
<인터뷰> 박채옥(주민) : "물이 떨어지면 황당하죠. 늙은이가 어디 가서 퍼올 수도 없고..."
긴 가뭄에, 농작물도 버틸 재간이 없습니다.
잎사귀가 누렇게 뜨고 바싹 말라갑니다.
웅덩이를 새로 파서 근근이 버텨왔지만 가뭄이 길어지면서 말랐습니다.
<인터뷰> 윤봉자(주민) : "웅덩이 파서 기계로 퍼 가지고 사람이 양동이로 날라서 사람이 붓고..."
두 달째 비가 내리지 않는 극심한 가뭄에 사람과 동물 그리고 농작물도 한계 상황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
-
김영준 기자 yjkim1@kbs.co.kr
김영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