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조인들 감격 눈물 “금빛 한 풀었다”

입력 2012.08.07 (02:35) 수정 2012.08.07 (02: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런던올림픽 체조 남자 도마에 출전한 양학선(20·한체대)이 압도적인 실력을 뽐내며 염원인 금메달을 마침내 따내자 현지에서 경기를 관전한 체조인들은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얼싸안고 기뻐했다.



특히 이틀 전 런던에 도착한 정동화 대한체조협회장(포스코건설 부회장)은 올림픽 체조 경기장을 처음 찾은 이날 짜릿한 승부 끝에 양학선이 금메달을 확정 짓자 큰 박수를 보내며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김동민 협회 부회장, 김대원 전무, 한충식 협회 강화위원장, 이호식 협회 기술위원장 등 협회 임원 십여 명은 경기 시작 전부터 대형 태극기를 앞세우고 경기장 한쪽을 차지한 채 도마 결선 경기만을 기다렸다.



마침내 양학선이 선수들과 함께 입장하자 ‘대~한민국’을 외치며 힘을 불어 넣었다.



양학선의 경쟁자들이 예상보다 깔끔한 착지로 높은 점수를 받을 때마다 체조인들은 일희일비했다.



‘착지’라는 변수가 메달 색깔을 결정하는 데다 이미 두 차례나 올림픽 도마에서 금메달 일보 직전까지 갔다가 패퇴한 터여서 체조인들은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치지 않았다.



마침내 양학선이 ‘양학선’ 기술로 1차 시기를 마치자 체조인들은 승리를 확신한 듯 팔을 번쩍 들고 양학선의 이름을 외쳤다.



착지 때 두 걸음을 움직여 완벽하다고 볼 수는 없었으나, 워낙 기술 난도가 높아 이를 상쇄하고도 남는다는 것을 체조인들은 너무 잘 알고 있었다.



실제 양학선이 참가 8명의 선수 중 승부의 열쇠를 쥔 1차 시기에서 가장 높은 점수인 16.466점을 받자 체조인들은 우승을 확신했다.



점수를 확인한 임원들은 누구랄 것 없이 눈가에 이슬이 맺히기 시작했다.



이어 2차 시기에서 그토록 바라던 완벽한 착지가 이뤄지자 ‘와~’하는 함성과 함께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금메달을 자축했다.



협회의 한 관계자는 "이 자리에 오신 많은 체조 원로들은 실무임원으로 재직할 시절 첫 금메달을 따보려고 동분서주했던 분들"이라며 "이번에도 금메달의 꿈이 이뤄지지 않을까 노심초사했지만 원하던 금메달이 보이자 그간 맺힌 한이 생각났는지 다들 눈물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간 금메달을 얻지 못해 대한체육회 인사들을 볼 면목이 없었지만 이제 큰 소리 좀 치게 됐다"며 체조인들의 체면도 덩달아 살아났다고 덧붙였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체조인들 감격 눈물 “금빛 한 풀었다”
    • 입력 2012-08-07 02:35:33
    • 수정2012-08-07 02:48:55
    연합뉴스
 런던올림픽 체조 남자 도마에 출전한 양학선(20·한체대)이 압도적인 실력을 뽐내며 염원인 금메달을 마침내 따내자 현지에서 경기를 관전한 체조인들은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얼싸안고 기뻐했다.

특히 이틀 전 런던에 도착한 정동화 대한체조협회장(포스코건설 부회장)은 올림픽 체조 경기장을 처음 찾은 이날 짜릿한 승부 끝에 양학선이 금메달을 확정 짓자 큰 박수를 보내며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김동민 협회 부회장, 김대원 전무, 한충식 협회 강화위원장, 이호식 협회 기술위원장 등 협회 임원 십여 명은 경기 시작 전부터 대형 태극기를 앞세우고 경기장 한쪽을 차지한 채 도마 결선 경기만을 기다렸다.

마침내 양학선이 선수들과 함께 입장하자 ‘대~한민국’을 외치며 힘을 불어 넣었다.

양학선의 경쟁자들이 예상보다 깔끔한 착지로 높은 점수를 받을 때마다 체조인들은 일희일비했다.

‘착지’라는 변수가 메달 색깔을 결정하는 데다 이미 두 차례나 올림픽 도마에서 금메달 일보 직전까지 갔다가 패퇴한 터여서 체조인들은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치지 않았다.

마침내 양학선이 ‘양학선’ 기술로 1차 시기를 마치자 체조인들은 승리를 확신한 듯 팔을 번쩍 들고 양학선의 이름을 외쳤다.

착지 때 두 걸음을 움직여 완벽하다고 볼 수는 없었으나, 워낙 기술 난도가 높아 이를 상쇄하고도 남는다는 것을 체조인들은 너무 잘 알고 있었다.

실제 양학선이 참가 8명의 선수 중 승부의 열쇠를 쥔 1차 시기에서 가장 높은 점수인 16.466점을 받자 체조인들은 우승을 확신했다.

점수를 확인한 임원들은 누구랄 것 없이 눈가에 이슬이 맺히기 시작했다.

이어 2차 시기에서 그토록 바라던 완벽한 착지가 이뤄지자 ‘와~’하는 함성과 함께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금메달을 자축했다.

협회의 한 관계자는 "이 자리에 오신 많은 체조 원로들은 실무임원으로 재직할 시절 첫 금메달을 따보려고 동분서주했던 분들"이라며 "이번에도 금메달의 꿈이 이뤄지지 않을까 노심초사했지만 원하던 금메달이 보이자 그간 맺힌 한이 생각났는지 다들 눈물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간 금메달을 얻지 못해 대한체육회 인사들을 볼 면목이 없었지만 이제 큰 소리 좀 치게 됐다"며 체조인들의 체면도 덩달아 살아났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