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오늘 말복이었는데 보신탕 찾으신 분 많으시죠.
그런데 보신탕 찬반 여론의 눈치를 보느라 당국이 손을 놓으면서 개 사육과 도축은 점점 더 은밀해지고 있습니다.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기도 성남시의 한 야산.
<녹취> "계세요?"
가건물 안쪽에서 한 남자가 무언가를 열심히 태우고 있습니다.
<녹취> "경찰단속반인데요, 지금 개잡으시는 거예요?"
<녹취> "예"
7~8년째 개를 밀도축하고 있는 현장입니다.
죽은 개를 씻은 지하수 물은 아무렇게나 흘러내리고, 먼지를 뒤집어 쓴 갖가지 도구들은 위생과는 거리가 멀어보입니다.
이곳에서 개를 도축한 뒤 뒤처리를 위해 사용한 물은 아무런 시설을 거치지 않은 채 하천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녹취> "어휴, 개가 상당히 많네.."
바로 옆에는 개 백 오십여 마리를 기르는 대형 축사까지 있습니다.
털과 분뇨는 쌓일대로 쌓였고,사료인지 분뇨인지 구분이 가질 않습니다.
<인터뷰> 개 도축업자(음성변조) : "이거 못키우겠다고 갖다주고 그래서 있는건데 올해만하고 그만둘거예요"
개고기 반대 여론이 거세지면서 기존의 개고기 도축 판매소가 줄어드는 대신 몰래 도축하는 행위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비위생적인 방법으로 몰래 도축하더라도 적법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는 규정 자체가 없다는 겁니다.
때문에 겨우 오폐수관리법으로만 단속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인터뷰> 임헌벽(경기도 특사경) : "개를 사육하면서 발생되는 가축 분뇨는 오수법에 의해서 단속이 가능하나 도축행위 등에 대해서는 관계법령이 미비해 어려움이 있습니다"
사정이 이런데도 개고기 찬반 여론을 의식한 당국은 뒷짐만 지고 있습니다.
<녹취>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음성변조) : "정부 입법으로 추진하기에는 너무 반발이 거세잖아요. 정부 내에서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이젠, 은밀한 개 사육과 도축이 아니라 이를 법망으로 끌어들여 공론화 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오늘 말복이었는데 보신탕 찾으신 분 많으시죠.
그런데 보신탕 찬반 여론의 눈치를 보느라 당국이 손을 놓으면서 개 사육과 도축은 점점 더 은밀해지고 있습니다.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기도 성남시의 한 야산.
<녹취> "계세요?"
가건물 안쪽에서 한 남자가 무언가를 열심히 태우고 있습니다.
<녹취> "경찰단속반인데요, 지금 개잡으시는 거예요?"
<녹취> "예"
7~8년째 개를 밀도축하고 있는 현장입니다.
죽은 개를 씻은 지하수 물은 아무렇게나 흘러내리고, 먼지를 뒤집어 쓴 갖가지 도구들은 위생과는 거리가 멀어보입니다.
이곳에서 개를 도축한 뒤 뒤처리를 위해 사용한 물은 아무런 시설을 거치지 않은 채 하천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녹취> "어휴, 개가 상당히 많네.."
바로 옆에는 개 백 오십여 마리를 기르는 대형 축사까지 있습니다.
털과 분뇨는 쌓일대로 쌓였고,사료인지 분뇨인지 구분이 가질 않습니다.
<인터뷰> 개 도축업자(음성변조) : "이거 못키우겠다고 갖다주고 그래서 있는건데 올해만하고 그만둘거예요"
개고기 반대 여론이 거세지면서 기존의 개고기 도축 판매소가 줄어드는 대신 몰래 도축하는 행위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비위생적인 방법으로 몰래 도축하더라도 적법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는 규정 자체가 없다는 겁니다.
때문에 겨우 오폐수관리법으로만 단속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인터뷰> 임헌벽(경기도 특사경) : "개를 사육하면서 발생되는 가축 분뇨는 오수법에 의해서 단속이 가능하나 도축행위 등에 대해서는 관계법령이 미비해 어려움이 있습니다"
사정이 이런데도 개고기 찬반 여론을 의식한 당국은 뒷짐만 지고 있습니다.
<녹취>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음성변조) : "정부 입법으로 추진하기에는 너무 반발이 거세잖아요. 정부 내에서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이젠, 은밀한 개 사육과 도축이 아니라 이를 법망으로 끌어들여 공론화 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은밀해지는 개 도축 해법은?
-
- 입력 2012-08-07 21:59:40

<앵커 멘트>
오늘 말복이었는데 보신탕 찾으신 분 많으시죠.
그런데 보신탕 찬반 여론의 눈치를 보느라 당국이 손을 놓으면서 개 사육과 도축은 점점 더 은밀해지고 있습니다.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기도 성남시의 한 야산.
<녹취> "계세요?"
가건물 안쪽에서 한 남자가 무언가를 열심히 태우고 있습니다.
<녹취> "경찰단속반인데요, 지금 개잡으시는 거예요?"
<녹취> "예"
7~8년째 개를 밀도축하고 있는 현장입니다.
죽은 개를 씻은 지하수 물은 아무렇게나 흘러내리고, 먼지를 뒤집어 쓴 갖가지 도구들은 위생과는 거리가 멀어보입니다.
이곳에서 개를 도축한 뒤 뒤처리를 위해 사용한 물은 아무런 시설을 거치지 않은 채 하천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녹취> "어휴, 개가 상당히 많네.."
바로 옆에는 개 백 오십여 마리를 기르는 대형 축사까지 있습니다.
털과 분뇨는 쌓일대로 쌓였고,사료인지 분뇨인지 구분이 가질 않습니다.
<인터뷰> 개 도축업자(음성변조) : "이거 못키우겠다고 갖다주고 그래서 있는건데 올해만하고 그만둘거예요"
개고기 반대 여론이 거세지면서 기존의 개고기 도축 판매소가 줄어드는 대신 몰래 도축하는 행위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비위생적인 방법으로 몰래 도축하더라도 적법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는 규정 자체가 없다는 겁니다.
때문에 겨우 오폐수관리법으로만 단속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인터뷰> 임헌벽(경기도 특사경) : "개를 사육하면서 발생되는 가축 분뇨는 오수법에 의해서 단속이 가능하나 도축행위 등에 대해서는 관계법령이 미비해 어려움이 있습니다"
사정이 이런데도 개고기 찬반 여론을 의식한 당국은 뒷짐만 지고 있습니다.
<녹취>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음성변조) : "정부 입법으로 추진하기에는 너무 반발이 거세잖아요. 정부 내에서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이젠, 은밀한 개 사육과 도축이 아니라 이를 법망으로 끌어들여 공론화 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
-
송명희 기자 thimble@kbs.co.kr
송명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