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서울 전역에 짧은 시간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서울 강남역과 사당역 등 상습 침수지역에 또 물에 잠겼습니다.
지난 2000년이후 다섯번째입니다.
피해가 되풀이되는 이유가 뭘까요?
곽선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오늘 폭우가 쏟아진 직후의 서울 강남역 부근,
이번에도 어김없이 물바다로 변했습니다.
대형 화물차마저 건너길 힘들 정도로 순식간에 물이 찼고, 승용차들은 그대로 물속에 주저앉았습니다.
<녹취> "이거 너무했어. 역류하는 거야?"
또다른 상습침수 구역인 서울 사당역, 물난리를 겪기는 강남역과 마찬가지입니다.
이 지역은 지난해에도 물난리로 한바탕 홍역을 치렀던 곳, 최근들어 비만 왔다하면 침수 피해가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지난 2000년이후 다섯번째 침수입니다.
이같이 피해가 되풀이되는 이유는 뭘까?
두 지대가 주변보다 낮은데다 고층 빌딩과 도로포장이 늘면서 빗물이 고스란히 이 곳으로 흘러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심우배(국가도시방재연구센터장) : "도로 자체가 물을 흡수하지 못하니까 바로 하류쪽으로 몰릴 수 밖에 없어요."
여기다가 배수시설의 용량마저 급작스런 폭우를 감당하지 못해 곳곳에서 역류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서울시내 곳곳에서 크고 작은 침수피해가 잇따른 것은 도심 도로와 골목길의 포장률이 높아진 것도 한 원인으로 보입니다.
실제 서울의 경우 지난 1962년에는 빗물의 40%정도가 땅속으로 스며들었지만, 50여 년이 지난 지금은 그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장기적으로 배수용량 증설과 빗물 저류공간 확충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곽선정입니다.
서울 전역에 짧은 시간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서울 강남역과 사당역 등 상습 침수지역에 또 물에 잠겼습니다.
지난 2000년이후 다섯번째입니다.
피해가 되풀이되는 이유가 뭘까요?
곽선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오늘 폭우가 쏟아진 직후의 서울 강남역 부근,
이번에도 어김없이 물바다로 변했습니다.
대형 화물차마저 건너길 힘들 정도로 순식간에 물이 찼고, 승용차들은 그대로 물속에 주저앉았습니다.
<녹취> "이거 너무했어. 역류하는 거야?"
또다른 상습침수 구역인 서울 사당역, 물난리를 겪기는 강남역과 마찬가지입니다.
이 지역은 지난해에도 물난리로 한바탕 홍역을 치렀던 곳, 최근들어 비만 왔다하면 침수 피해가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지난 2000년이후 다섯번째 침수입니다.
이같이 피해가 되풀이되는 이유는 뭘까?
두 지대가 주변보다 낮은데다 고층 빌딩과 도로포장이 늘면서 빗물이 고스란히 이 곳으로 흘러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심우배(국가도시방재연구센터장) : "도로 자체가 물을 흡수하지 못하니까 바로 하류쪽으로 몰릴 수 밖에 없어요."
여기다가 배수시설의 용량마저 급작스런 폭우를 감당하지 못해 곳곳에서 역류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서울시내 곳곳에서 크고 작은 침수피해가 잇따른 것은 도심 도로와 골목길의 포장률이 높아진 것도 한 원인으로 보입니다.
실제 서울의 경우 지난 1962년에는 빗물의 40%정도가 땅속으로 스며들었지만, 50여 년이 지난 지금은 그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장기적으로 배수용량 증설과 빗물 저류공간 확충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곽선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남·사당’ 또 침수…왜?
-
- 입력 2012-08-16 09:06:47

<앵커 멘트>
서울 전역에 짧은 시간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서울 강남역과 사당역 등 상습 침수지역에 또 물에 잠겼습니다.
지난 2000년이후 다섯번째입니다.
피해가 되풀이되는 이유가 뭘까요?
곽선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오늘 폭우가 쏟아진 직후의 서울 강남역 부근,
이번에도 어김없이 물바다로 변했습니다.
대형 화물차마저 건너길 힘들 정도로 순식간에 물이 찼고, 승용차들은 그대로 물속에 주저앉았습니다.
<녹취> "이거 너무했어. 역류하는 거야?"
또다른 상습침수 구역인 서울 사당역, 물난리를 겪기는 강남역과 마찬가지입니다.
이 지역은 지난해에도 물난리로 한바탕 홍역을 치렀던 곳, 최근들어 비만 왔다하면 침수 피해가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지난 2000년이후 다섯번째 침수입니다.
이같이 피해가 되풀이되는 이유는 뭘까?
두 지대가 주변보다 낮은데다 고층 빌딩과 도로포장이 늘면서 빗물이 고스란히 이 곳으로 흘러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심우배(국가도시방재연구센터장) : "도로 자체가 물을 흡수하지 못하니까 바로 하류쪽으로 몰릴 수 밖에 없어요."
여기다가 배수시설의 용량마저 급작스런 폭우를 감당하지 못해 곳곳에서 역류현상이 일어났습니다.
서울시내 곳곳에서 크고 작은 침수피해가 잇따른 것은 도심 도로와 골목길의 포장률이 높아진 것도 한 원인으로 보입니다.
실제 서울의 경우 지난 1962년에는 빗물의 40%정도가 땅속으로 스며들었지만, 50여 년이 지난 지금은 그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장기적으로 배수용량 증설과 빗물 저류공간 확충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곽선정입니다.
-
-
곽선정 기자 coolsun@kbs.co.kr
곽선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