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이곳의 갈등도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반이슬람 영화로 촉발된 이슬람권의 분노로 곳곳에서 반미시위가 벌어졌고 파키스탄에서 20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
이영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격렬한 반미 시위가 파키스탄 전역을 휩쓸었습니다.
수도 이슬라마바드와 카라치, 페샤와르 등 주요 도시 곳곳에서 시위대 수만 명이 경찰과 충돌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경찰 차량들이 불 탔고, 영화관과 은행, 미국계 패스트푸드 상점 등이 공격을 받았습니다.
<인터뷰> 줄카르나인 하이데르(시위 참가자)
시위가 격화하면서 시위대와 경찰관 등 적어도 20명이 숨졌고 200명 가까이 다쳤습니다.
이라크와 레바논 등 중동 각지를 비롯해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 아시아 이슬람권 나라에서도 항의 시위가 이어졌습니다.
미국과 프랑스 등은 외교 공관을 임시 폐쇄하거나 주재국 정부와의 협력을 통한 경비 강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녹취> 힐러리 클린턴(미국 국무장관)
하지만 프랑스 잡지사가 이슬람 풍자 만화를 게재하는 등 악재가 겹치고 이어지면서 시위는 진정되긴 커녕 점점 악화되고 있습니다.
이슬람권 내부에서도 자제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무슬림들의 분노가 가라앉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이영석입니다.
이곳의 갈등도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반이슬람 영화로 촉발된 이슬람권의 분노로 곳곳에서 반미시위가 벌어졌고 파키스탄에서 20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
이영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격렬한 반미 시위가 파키스탄 전역을 휩쓸었습니다.
수도 이슬라마바드와 카라치, 페샤와르 등 주요 도시 곳곳에서 시위대 수만 명이 경찰과 충돌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경찰 차량들이 불 탔고, 영화관과 은행, 미국계 패스트푸드 상점 등이 공격을 받았습니다.
<인터뷰> 줄카르나인 하이데르(시위 참가자)
시위가 격화하면서 시위대와 경찰관 등 적어도 20명이 숨졌고 200명 가까이 다쳤습니다.
이라크와 레바논 등 중동 각지를 비롯해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 아시아 이슬람권 나라에서도 항의 시위가 이어졌습니다.
미국과 프랑스 등은 외교 공관을 임시 폐쇄하거나 주재국 정부와의 협력을 통한 경비 강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녹취> 힐러리 클린턴(미국 국무장관)
하지만 프랑스 잡지사가 이슬람 풍자 만화를 게재하는 등 악재가 겹치고 이어지면서 시위는 진정되긴 커녕 점점 악화되고 있습니다.
이슬람권 내부에서도 자제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무슬림들의 분노가 가라앉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이영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슬람권 반미 시위…파키스탄서 20명 사망
-
- 입력 2012-09-22 21:43:35
![](/data/news/2012/09/22/2540089_80.jpg)
<앵커 멘트>
이곳의 갈등도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반이슬람 영화로 촉발된 이슬람권의 분노로 곳곳에서 반미시위가 벌어졌고 파키스탄에서 20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
이영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격렬한 반미 시위가 파키스탄 전역을 휩쓸었습니다.
수도 이슬라마바드와 카라치, 페샤와르 등 주요 도시 곳곳에서 시위대 수만 명이 경찰과 충돌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경찰 차량들이 불 탔고, 영화관과 은행, 미국계 패스트푸드 상점 등이 공격을 받았습니다.
<인터뷰> 줄카르나인 하이데르(시위 참가자)
시위가 격화하면서 시위대와 경찰관 등 적어도 20명이 숨졌고 200명 가까이 다쳤습니다.
이라크와 레바논 등 중동 각지를 비롯해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 아시아 이슬람권 나라에서도 항의 시위가 이어졌습니다.
미국과 프랑스 등은 외교 공관을 임시 폐쇄하거나 주재국 정부와의 협력을 통한 경비 강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녹취> 힐러리 클린턴(미국 국무장관)
하지만 프랑스 잡지사가 이슬람 풍자 만화를 게재하는 등 악재가 겹치고 이어지면서 시위는 진정되긴 커녕 점점 악화되고 있습니다.
이슬람권 내부에서도 자제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무슬림들의 분노가 가라앉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이영석입니다.
-
-
이영석 기자 zerostone@kbs.co.kr
이영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