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불산사고, 허술한 초동 대처 피해 키워”
입력 2012.10.06 (07:53)
수정 2012.10.06 (10: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구미 불산 가스 누출로 치료를 받은 주민이 어제까지 천 6백 명에 이릅니다.
허술한 초동 대처와 평소 부실했던 당국의 관리가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입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불산 유출 직후 초동 대처는 허술했습니다.
경북 구미시는 사고가 난 지 4시간 40분 만에 뒤늦게 대피령을 내렸다가, 다음날 오전 9시 주민들을 집으로 돌려보냈습니다.
"공기 중 불산 농도가 1ppm 수준"이라는 이유였는데 지난 3월 작업장 안전 기준 농도가 0.5ppm으로 강화된 사실을 모른 채 내린 결정이었습니다.
<인터뷰> 서문석(마을 주민) : "아침에 그냥 돌아가도 된다고, 공기 중에 (불산이) 없다고...근데 와 보니까 냄새가 아직도 지독해서, 걱정됐다."
불산을 중화하는 소석회도 소방서에 없어 물로 불산을 씻어냈습니다.
<녹취> 하기룡(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 "물의 양이 적으면 불산이 고농도가 돼서, 접촉하는 생명체나 생물, 사람에 많이 해롭기 때문에 중화해서 방출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무려 20톤의 불화수소를 옮기면서 안전 수칙도 지키지 않았습니다.
<녹취> 순천향대 구미병원 응급 의료진 : "보호 장구는 아니었구요. 사복인 걸로 기억하는데요.(일반 우리들이 입는 거요?) 네네, 평상복..."
사고 업체의 불화수소 생산량은 연간 4천여 톤에 이르지만 소규모라는 이유로 1년에 고작 한 차례만 검사받았습니다.
<인터뷰> 김동진(경북 구미시 환경위생과 계장) : "사고 시 응급조치 방법, 유독물 관리자한테는 이런 사항을 숙지하고 있는지 점검..."
환경부 공개 대상에서 제외된 소규모 유독 물질 업체는 4만 개.
지난 1999년 배출량 조사대상에 포함시키려 했지만 업계와 관련 부처의 반대로 무산돼 결국 이번 대형 참사를 막지 못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구미 불산 가스 누출로 치료를 받은 주민이 어제까지 천 6백 명에 이릅니다.
허술한 초동 대처와 평소 부실했던 당국의 관리가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입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불산 유출 직후 초동 대처는 허술했습니다.
경북 구미시는 사고가 난 지 4시간 40분 만에 뒤늦게 대피령을 내렸다가, 다음날 오전 9시 주민들을 집으로 돌려보냈습니다.
"공기 중 불산 농도가 1ppm 수준"이라는 이유였는데 지난 3월 작업장 안전 기준 농도가 0.5ppm으로 강화된 사실을 모른 채 내린 결정이었습니다.
<인터뷰> 서문석(마을 주민) : "아침에 그냥 돌아가도 된다고, 공기 중에 (불산이) 없다고...근데 와 보니까 냄새가 아직도 지독해서, 걱정됐다."
불산을 중화하는 소석회도 소방서에 없어 물로 불산을 씻어냈습니다.
<녹취> 하기룡(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 "물의 양이 적으면 불산이 고농도가 돼서, 접촉하는 생명체나 생물, 사람에 많이 해롭기 때문에 중화해서 방출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무려 20톤의 불화수소를 옮기면서 안전 수칙도 지키지 않았습니다.
<녹취> 순천향대 구미병원 응급 의료진 : "보호 장구는 아니었구요. 사복인 걸로 기억하는데요.(일반 우리들이 입는 거요?) 네네, 평상복..."
사고 업체의 불화수소 생산량은 연간 4천여 톤에 이르지만 소규모라는 이유로 1년에 고작 한 차례만 검사받았습니다.
<인터뷰> 김동진(경북 구미시 환경위생과 계장) : "사고 시 응급조치 방법, 유독물 관리자한테는 이런 사항을 숙지하고 있는지 점검..."
환경부 공개 대상에서 제외된 소규모 유독 물질 업체는 4만 개.
지난 1999년 배출량 조사대상에 포함시키려 했지만 업계와 관련 부처의 반대로 무산돼 결국 이번 대형 참사를 막지 못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미 불산사고, 허술한 초동 대처 피해 키워”
-
- 입력 2012-10-06 07:53:52
- 수정2012-10-06 10:44:54
<앵커 멘트>
구미 불산 가스 누출로 치료를 받은 주민이 어제까지 천 6백 명에 이릅니다.
허술한 초동 대처와 평소 부실했던 당국의 관리가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입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불산 유출 직후 초동 대처는 허술했습니다.
경북 구미시는 사고가 난 지 4시간 40분 만에 뒤늦게 대피령을 내렸다가, 다음날 오전 9시 주민들을 집으로 돌려보냈습니다.
"공기 중 불산 농도가 1ppm 수준"이라는 이유였는데 지난 3월 작업장 안전 기준 농도가 0.5ppm으로 강화된 사실을 모른 채 내린 결정이었습니다.
<인터뷰> 서문석(마을 주민) : "아침에 그냥 돌아가도 된다고, 공기 중에 (불산이) 없다고...근데 와 보니까 냄새가 아직도 지독해서, 걱정됐다."
불산을 중화하는 소석회도 소방서에 없어 물로 불산을 씻어냈습니다.
<녹취> 하기룡(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 "물의 양이 적으면 불산이 고농도가 돼서, 접촉하는 생명체나 생물, 사람에 많이 해롭기 때문에 중화해서 방출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무려 20톤의 불화수소를 옮기면서 안전 수칙도 지키지 않았습니다.
<녹취> 순천향대 구미병원 응급 의료진 : "보호 장구는 아니었구요. 사복인 걸로 기억하는데요.(일반 우리들이 입는 거요?) 네네, 평상복..."
사고 업체의 불화수소 생산량은 연간 4천여 톤에 이르지만 소규모라는 이유로 1년에 고작 한 차례만 검사받았습니다.
<인터뷰> 김동진(경북 구미시 환경위생과 계장) : "사고 시 응급조치 방법, 유독물 관리자한테는 이런 사항을 숙지하고 있는지 점검..."
환경부 공개 대상에서 제외된 소규모 유독 물질 업체는 4만 개.
지난 1999년 배출량 조사대상에 포함시키려 했지만 업계와 관련 부처의 반대로 무산돼 결국 이번 대형 참사를 막지 못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
박대기 기자 waiting@kbs.co.kr
박대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