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애플과 삼성 간의 특허 분쟁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 특허청이 애플의 중요한 특허 한 건을 취소했습니다.
연말에 있을 정식 판결에서 삼성이 전보다 유리한 입장이 될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재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 특허청이 취소한 애플의 특허는 이른바 '바운스백' 기능입니다.
스마트폰에서 문서나 사진을 볼 때 마지막 화면에서는 손가락을 더 움직이면 넘어가지 않고 살짝 튕기는 기능을 말합니다.
지난 8월 미국 배심원들은 삼성전자가 애플의 특허 6가지를 침해했다며 이 '바운스백' 기능도 포함시켰지만, 미 특허청은 애플의 특허가 아니라고 결정한 겁니다.
미 특허청은 '바운스백' 기능에 대해 이미 앞선 기술이 존재한다며 애플만의 기술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오는 12월 캘리포니아 법원에서 열리는 최종 판결에서 삼성전자가 물어야 할 배상액이 줄어들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8월 배심원들은 삼성이 애플에 모두 10억 5천만 달러, 우리 돈 1조 천 5백억 원을 배상해야 한다고 평결했었습니다.
'바운스백' 기능은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삼성과 애플 사이의 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 가운데 하나로 꼽혀 왔기 때문에 이번 결정이 다른 나라 판결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애플이 특허청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어서 특허청의 최종 판단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재석입니다.
애플과 삼성 간의 특허 분쟁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 특허청이 애플의 중요한 특허 한 건을 취소했습니다.
연말에 있을 정식 판결에서 삼성이 전보다 유리한 입장이 될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재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 특허청이 취소한 애플의 특허는 이른바 '바운스백' 기능입니다.
스마트폰에서 문서나 사진을 볼 때 마지막 화면에서는 손가락을 더 움직이면 넘어가지 않고 살짝 튕기는 기능을 말합니다.
지난 8월 미국 배심원들은 삼성전자가 애플의 특허 6가지를 침해했다며 이 '바운스백' 기능도 포함시켰지만, 미 특허청은 애플의 특허가 아니라고 결정한 겁니다.
미 특허청은 '바운스백' 기능에 대해 이미 앞선 기술이 존재한다며 애플만의 기술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오는 12월 캘리포니아 법원에서 열리는 최종 판결에서 삼성전자가 물어야 할 배상액이 줄어들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8월 배심원들은 삼성이 애플에 모두 10억 5천만 달러, 우리 돈 1조 천 5백억 원을 배상해야 한다고 평결했었습니다.
'바운스백' 기능은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삼성과 애플 사이의 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 가운데 하나로 꼽혀 왔기 때문에 이번 결정이 다른 나라 판결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애플이 특허청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어서 특허청의 최종 판단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재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특허청, 애플 ‘바운스백 특허’ 무효 판정
-
- 입력 2012-10-24 07:10:20
<앵커 멘트>
애플과 삼성 간의 특허 분쟁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 특허청이 애플의 중요한 특허 한 건을 취소했습니다.
연말에 있을 정식 판결에서 삼성이 전보다 유리한 입장이 될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재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 특허청이 취소한 애플의 특허는 이른바 '바운스백' 기능입니다.
스마트폰에서 문서나 사진을 볼 때 마지막 화면에서는 손가락을 더 움직이면 넘어가지 않고 살짝 튕기는 기능을 말합니다.
지난 8월 미국 배심원들은 삼성전자가 애플의 특허 6가지를 침해했다며 이 '바운스백' 기능도 포함시켰지만, 미 특허청은 애플의 특허가 아니라고 결정한 겁니다.
미 특허청은 '바운스백' 기능에 대해 이미 앞선 기술이 존재한다며 애플만의 기술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오는 12월 캘리포니아 법원에서 열리는 최종 판결에서 삼성전자가 물어야 할 배상액이 줄어들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8월 배심원들은 삼성이 애플에 모두 10억 5천만 달러, 우리 돈 1조 천 5백억 원을 배상해야 한다고 평결했었습니다.
'바운스백' 기능은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삼성과 애플 사이의 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 가운데 하나로 꼽혀 왔기 때문에 이번 결정이 다른 나라 판결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애플이 특허청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어서 특허청의 최종 판단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재석입니다.
-
-
이재석 기자 jaeseok@kbs.co.kr
이재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