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편법’ 비정규직 연구원…8곳 300명 이상

입력 2012.10.24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 과학기술 연구의 메카 대덕 연구단집니다.

여기서 일하는 연구원의 절반 이상이 비정규직인데요, 이렇게 비정규직이 많은 이유는 뭘까요.

정부출연 연구기관들이 각종 편법을 이용해 비정규직을 늘렸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노태영기자의 심층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전문 기술직, 9년째 정규직들과 같은 공간에서 같은 지시를 받고 일하지만 여전히 비정규직입니다.

외부 인력 파견업체에서 불법으로 파견된 겁니다.

<인터뷰> 김영칠 : "나이 든 사람들이 부당함을 자꾸 이야기하니까 부담된다 이 사람들을 정리하자 이렇게 바뀌더라고요."

불법 파견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도 비정규직을 늘렸습니다.

비정규직의 최대 고용 기간은 원래 2년이지만 연구직의 경우 연구의 연속성을 위해 연구가 끝날 때까지 고용할 수 있도록 한 예외 규정을 악용했습니다.

연구기간을 무한정 늘려버리는 편법을 동원해 10년이 훌쩍 지난 직원들도 비정규직으로 뒀습니다.

<인터뷰> 김지애(비정규직 연구원) : "내일이라도 나갈 수 있다는 느낌이 실제로 다가와요. 일을 하시다가 너 내일이라도 나갈 수도 있는데 일은 해야 돼, 그러면 어떠시겠어요?"

<인터뷰> 오현우(책임연구원) : "자기 정체성 혼란 겪다 보니 연구과제에 몰두하지 못하고 몰두하지 못하는 만큼 연구 성과가 달성되지 못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심지어 행정직원도 거짓으로 연구직으로 등록시킨 뒤 역시 연구가 끝나지 않았다며 16년 동안 비정규직으로 고용한 경우도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과 기초과학지원연구원 등 8개 국책 기관에서 320여 명이 이런 식의 비정규직이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 우원식(교과위 위원) : "공공기관의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장이라기보다는 사람을 마구 해고하는 권한을 갖고 싶어하는..."

나라의 첨단 미래를 준비한다는 대덕 연구단지, 하지만, 고용 문제에 있어서는 시대를 역행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편법’ 비정규직 연구원…8곳 300명 이상
    • 입력 2012-10-24 22:03:24
    뉴스 9
<앵커 멘트> 우리나라 과학기술 연구의 메카 대덕 연구단집니다. 여기서 일하는 연구원의 절반 이상이 비정규직인데요, 이렇게 비정규직이 많은 이유는 뭘까요. 정부출연 연구기관들이 각종 편법을 이용해 비정규직을 늘렸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노태영기자의 심층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전문 기술직, 9년째 정규직들과 같은 공간에서 같은 지시를 받고 일하지만 여전히 비정규직입니다. 외부 인력 파견업체에서 불법으로 파견된 겁니다. <인터뷰> 김영칠 : "나이 든 사람들이 부당함을 자꾸 이야기하니까 부담된다 이 사람들을 정리하자 이렇게 바뀌더라고요." 불법 파견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도 비정규직을 늘렸습니다. 비정규직의 최대 고용 기간은 원래 2년이지만 연구직의 경우 연구의 연속성을 위해 연구가 끝날 때까지 고용할 수 있도록 한 예외 규정을 악용했습니다. 연구기간을 무한정 늘려버리는 편법을 동원해 10년이 훌쩍 지난 직원들도 비정규직으로 뒀습니다. <인터뷰> 김지애(비정규직 연구원) : "내일이라도 나갈 수 있다는 느낌이 실제로 다가와요. 일을 하시다가 너 내일이라도 나갈 수도 있는데 일은 해야 돼, 그러면 어떠시겠어요?" <인터뷰> 오현우(책임연구원) : "자기 정체성 혼란 겪다 보니 연구과제에 몰두하지 못하고 몰두하지 못하는 만큼 연구 성과가 달성되지 못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심지어 행정직원도 거짓으로 연구직으로 등록시킨 뒤 역시 연구가 끝나지 않았다며 16년 동안 비정규직으로 고용한 경우도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과 기초과학지원연구원 등 8개 국책 기관에서 320여 명이 이런 식의 비정규직이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 우원식(교과위 위원) : "공공기관의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장이라기보다는 사람을 마구 해고하는 권한을 갖고 싶어하는..." 나라의 첨단 미래를 준비한다는 대덕 연구단지, 하지만, 고용 문제에 있어서는 시대를 역행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