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행 소아청소년 주증상은 ‘발열·통증’
입력 2012.11.26 (07:52)
수정 2012.11.26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응급실을 찾는 소아청소년들의 주요 증상은 발열, 구토, 복통, 두통 등으로 나타났다.
순천향대의대 응급의학과 장혜영 교수팀은 2008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전국 124개 응급실을 찾은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환자 225만명의 역학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이 대한의학회지 최근호에 보고한 논문을 보면 국내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의 인구비율은 23.8%이지만 전체 응급실 이용환자 중 이 연령대 비중은 31.2%에 달했다. 응급실당 하루 소아청소년 환자는 16.7명꼴이었다.
소아청소년 환자들의 나이는 1~4세가 44.2%로 가장 많았다.
응급실을 찾는 이유는 손상보다 질환(68.1%)이 더 많았는데, 9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발열 증상이 가장 많았고, 이어 구토, 기침, 통증 등의 순이었다. 반면 10~18세 청소년층에서는 복통과 두통 증상이 두드러졌다.
소아청소년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는 시간대는 오후 6시부터 자정 사이에 42%의 환자가 집중됐으며, 전체의 90%가 자가용 등을 이용해 병원을 직접 찾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119구급대를 이용한 경우는 4.1%에 그쳤다.
장혜영 교수는 이에 대해 "소아청소년 환자의 90%가 119구급대 등의 의료전달체계와 무관하게 내원하고 있다는 점은 심정지 등의 중환자 이송에 허점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응급실을 찾았다가 입원 치료를 받은 소아청소년은 15.3%다. 이는 전국적으로 하루 평균 14명 정도에 해당된다.
장 교수는 "국내 전체의 소아청소년 응급환자에 대한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응급실에 내원하는 소아 환자들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응급의료진의 배치 등 응급의료체계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순천향대의대 응급의학과 장혜영 교수팀은 2008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전국 124개 응급실을 찾은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환자 225만명의 역학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이 대한의학회지 최근호에 보고한 논문을 보면 국내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의 인구비율은 23.8%이지만 전체 응급실 이용환자 중 이 연령대 비중은 31.2%에 달했다. 응급실당 하루 소아청소년 환자는 16.7명꼴이었다.
소아청소년 환자들의 나이는 1~4세가 44.2%로 가장 많았다.
응급실을 찾는 이유는 손상보다 질환(68.1%)이 더 많았는데, 9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발열 증상이 가장 많았고, 이어 구토, 기침, 통증 등의 순이었다. 반면 10~18세 청소년층에서는 복통과 두통 증상이 두드러졌다.
소아청소년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는 시간대는 오후 6시부터 자정 사이에 42%의 환자가 집중됐으며, 전체의 90%가 자가용 등을 이용해 병원을 직접 찾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119구급대를 이용한 경우는 4.1%에 그쳤다.
장혜영 교수는 이에 대해 "소아청소년 환자의 90%가 119구급대 등의 의료전달체계와 무관하게 내원하고 있다는 점은 심정지 등의 중환자 이송에 허점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응급실을 찾았다가 입원 치료를 받은 소아청소년은 15.3%다. 이는 전국적으로 하루 평균 14명 정도에 해당된다.
장 교수는 "국내 전체의 소아청소년 응급환자에 대한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응급실에 내원하는 소아 환자들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응급의료진의 배치 등 응급의료체계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응급실행 소아청소년 주증상은 ‘발열·통증’
-
- 입력 2012-11-26 07:52:36
- 수정2012-11-26 21:00:25
병원 응급실을 찾는 소아청소년들의 주요 증상은 발열, 구토, 복통, 두통 등으로 나타났다.
순천향대의대 응급의학과 장혜영 교수팀은 2008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전국 124개 응급실을 찾은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환자 225만명의 역학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이 대한의학회지 최근호에 보고한 논문을 보면 국내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의 인구비율은 23.8%이지만 전체 응급실 이용환자 중 이 연령대 비중은 31.2%에 달했다. 응급실당 하루 소아청소년 환자는 16.7명꼴이었다.
소아청소년 환자들의 나이는 1~4세가 44.2%로 가장 많았다.
응급실을 찾는 이유는 손상보다 질환(68.1%)이 더 많았는데, 9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발열 증상이 가장 많았고, 이어 구토, 기침, 통증 등의 순이었다. 반면 10~18세 청소년층에서는 복통과 두통 증상이 두드러졌다.
소아청소년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는 시간대는 오후 6시부터 자정 사이에 42%의 환자가 집중됐으며, 전체의 90%가 자가용 등을 이용해 병원을 직접 찾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119구급대를 이용한 경우는 4.1%에 그쳤다.
장혜영 교수는 이에 대해 "소아청소년 환자의 90%가 119구급대 등의 의료전달체계와 무관하게 내원하고 있다는 점은 심정지 등의 중환자 이송에 허점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응급실을 찾았다가 입원 치료를 받은 소아청소년은 15.3%다. 이는 전국적으로 하루 평균 14명 정도에 해당된다.
장 교수는 "국내 전체의 소아청소년 응급환자에 대한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응급실에 내원하는 소아 환자들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응급의료진의 배치 등 응급의료체계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순천향대의대 응급의학과 장혜영 교수팀은 2008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전국 124개 응급실을 찾은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환자 225만명의 역학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이 대한의학회지 최근호에 보고한 논문을 보면 국내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의 인구비율은 23.8%이지만 전체 응급실 이용환자 중 이 연령대 비중은 31.2%에 달했다. 응급실당 하루 소아청소년 환자는 16.7명꼴이었다.
소아청소년 환자들의 나이는 1~4세가 44.2%로 가장 많았다.
응급실을 찾는 이유는 손상보다 질환(68.1%)이 더 많았는데, 9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발열 증상이 가장 많았고, 이어 구토, 기침, 통증 등의 순이었다. 반면 10~18세 청소년층에서는 복통과 두통 증상이 두드러졌다.
소아청소년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는 시간대는 오후 6시부터 자정 사이에 42%의 환자가 집중됐으며, 전체의 90%가 자가용 등을 이용해 병원을 직접 찾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119구급대를 이용한 경우는 4.1%에 그쳤다.
장혜영 교수는 이에 대해 "소아청소년 환자의 90%가 119구급대 등의 의료전달체계와 무관하게 내원하고 있다는 점은 심정지 등의 중환자 이송에 허점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응급실을 찾았다가 입원 치료를 받은 소아청소년은 15.3%다. 이는 전국적으로 하루 평균 14명 정도에 해당된다.
장 교수는 "국내 전체의 소아청소년 응급환자에 대한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응급실에 내원하는 소아 환자들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응급의료진의 배치 등 응급의료체계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