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셔널리그 수원시청, ‘2부리그’ 추진

입력 2012.11.26 (17: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업축구 내셔널리그의 수원시청이 내년 시작되는 프로축구 2부리그에 참가할 것으로 보인다.



수원시청 구단을 운영하는 수원FC 측은 26일 "2부리그로의 전환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2003년 창단한 수원시청은 올 시즌 내셔널리그 9위에 머물렀지만, 2010년에는 내셔널리그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차지하는 등 전통의 강호로 꼽히는 팀이다.



2009년에는 ’재단법인 수원FC’로 독립법인화까지 마쳐 프로 무대 진입 발판을 놓은 바 있다.



법인 설립 당시 목표도 ’프로축구 시민구단으로의 발전’이었다.



최근 내셔널리그팀의 2부리그 진출이 활발한 상황에서 수원시청도 내년부터 3부리그 격이 되는 내셔널리그에 남아있는 것보다 2부리그에 합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더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2부리그에 진출하는 팀은 앞으로 3년간 10억씩 연맹으로부터 지원받고, 리그 가입비도 면제받는다.



프로축구연맹은 "수원FC 측이 지난주 프로 가입 절차에 대해 문의했다"면서 "가입 신청 기간이 끝났지만 준비가 잘 이뤄진다면 2부리그에 참가하도록 승인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수원시청의 참가가 확정되면 2부리그는 시작부터 최소 8개 팀을 확보한다.



충주 험멜, 고양 Hi FC(옛 안산 H FC), 안양FC가 지난달 프로축구연맹 이사회에서 참가 승인을 받았고, 상주 상무와 경찰청이 ’국가대표급’ 진용을 갖추고 구단 법인화 등 막바지 작업을 하고 있다.



여기에 올 시즌 K리그 15위 팀과 시의회의 조례안 통과를 남겨둔 부천FC와 수원시청까지 더해지면서 안정적인 출발을 도모할 수 있게 됐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내셔널리그 수원시청, ‘2부리그’ 추진
    • 입력 2012-11-26 17:08:07
    연합뉴스
실업축구 내셔널리그의 수원시청이 내년 시작되는 프로축구 2부리그에 참가할 것으로 보인다.

수원시청 구단을 운영하는 수원FC 측은 26일 "2부리그로의 전환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2003년 창단한 수원시청은 올 시즌 내셔널리그 9위에 머물렀지만, 2010년에는 내셔널리그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차지하는 등 전통의 강호로 꼽히는 팀이다.

2009년에는 ’재단법인 수원FC’로 독립법인화까지 마쳐 프로 무대 진입 발판을 놓은 바 있다.

법인 설립 당시 목표도 ’프로축구 시민구단으로의 발전’이었다.

최근 내셔널리그팀의 2부리그 진출이 활발한 상황에서 수원시청도 내년부터 3부리그 격이 되는 내셔널리그에 남아있는 것보다 2부리그에 합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더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2부리그에 진출하는 팀은 앞으로 3년간 10억씩 연맹으로부터 지원받고, 리그 가입비도 면제받는다.

프로축구연맹은 "수원FC 측이 지난주 프로 가입 절차에 대해 문의했다"면서 "가입 신청 기간이 끝났지만 준비가 잘 이뤄진다면 2부리그에 참가하도록 승인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수원시청의 참가가 확정되면 2부리그는 시작부터 최소 8개 팀을 확보한다.

충주 험멜, 고양 Hi FC(옛 안산 H FC), 안양FC가 지난달 프로축구연맹 이사회에서 참가 승인을 받았고, 상주 상무와 경찰청이 ’국가대표급’ 진용을 갖추고 구단 법인화 등 막바지 작업을 하고 있다.

여기에 올 시즌 K리그 15위 팀과 시의회의 조례안 통과를 남겨둔 부천FC와 수원시청까지 더해지면서 안정적인 출발을 도모할 수 있게 됐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