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우리나라 여성이 남성보다 임금을 39% 덜 받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격차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크다는데요,
최상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OECD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여성이 남성에 비해 39% 정도 임금을 덜 받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관련 통계가 있는 OECD 28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격차가 크고 회원국 평균인 15%보다 2.6배 높은 수치입니다.
29%로 2위를 기록한 일본과 비교해도 10% 포인트가 높았습니다.
한국과 일본 다음으로는 21%를 기록한 독일과 이스라엘, 19%를 기록한 미국, 캐나다, 핀란드,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남녀 간 임금격차가 가장 작은 국가는 헝가리와 폴란드, 스페인으로 격차는 6%에 불과했습니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남녀 임금격차가 10년 동안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우리나라의 남녀 임금격차는 2000년 40%에서 2010년 39%로 10년 동안 1% 포인트 개선되는 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OECD 28개 회원국들의 평균 남녀 임금격차는 20%에서 15%로 5% 포인트 개선됐습니다.
다른 회원국에 비해 우리나라 여성의 임금이 남성보다 유독 낮은 이유로는, 출산과 육아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고 여성 취업자 중 임시직, 일용직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상열입니다.
우리나라 여성이 남성보다 임금을 39% 덜 받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격차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크다는데요,
최상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OECD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여성이 남성에 비해 39% 정도 임금을 덜 받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관련 통계가 있는 OECD 28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격차가 크고 회원국 평균인 15%보다 2.6배 높은 수치입니다.
29%로 2위를 기록한 일본과 비교해도 10% 포인트가 높았습니다.
한국과 일본 다음으로는 21%를 기록한 독일과 이스라엘, 19%를 기록한 미국, 캐나다, 핀란드,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남녀 간 임금격차가 가장 작은 국가는 헝가리와 폴란드, 스페인으로 격차는 6%에 불과했습니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남녀 임금격차가 10년 동안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우리나라의 남녀 임금격차는 2000년 40%에서 2010년 39%로 10년 동안 1% 포인트 개선되는 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OECD 28개 회원국들의 평균 남녀 임금격차는 20%에서 15%로 5% 포인트 개선됐습니다.
다른 회원국에 비해 우리나라 여성의 임금이 남성보다 유독 낮은 이유로는, 출산과 육아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고 여성 취업자 중 임시직, 일용직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상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남녀 임금 격차 OECD 국가 중 최대
-
- 입력 2012-11-30 17:27:07

<앵커 멘트>
우리나라 여성이 남성보다 임금을 39% 덜 받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격차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크다는데요,
최상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OECD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여성이 남성에 비해 39% 정도 임금을 덜 받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관련 통계가 있는 OECD 28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격차가 크고 회원국 평균인 15%보다 2.6배 높은 수치입니다.
29%로 2위를 기록한 일본과 비교해도 10% 포인트가 높았습니다.
한국과 일본 다음으로는 21%를 기록한 독일과 이스라엘, 19%를 기록한 미국, 캐나다, 핀란드,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남녀 간 임금격차가 가장 작은 국가는 헝가리와 폴란드, 스페인으로 격차는 6%에 불과했습니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남녀 임금격차가 10년 동안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우리나라의 남녀 임금격차는 2000년 40%에서 2010년 39%로 10년 동안 1% 포인트 개선되는 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OECD 28개 회원국들의 평균 남녀 임금격차는 20%에서 15%로 5% 포인트 개선됐습니다.
다른 회원국에 비해 우리나라 여성의 임금이 남성보다 유독 낮은 이유로는, 출산과 육아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고 여성 취업자 중 임시직, 일용직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상열입니다.
우리나라 여성이 남성보다 임금을 39% 덜 받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격차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크다는데요,
최상열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OECD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여성이 남성에 비해 39% 정도 임금을 덜 받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관련 통계가 있는 OECD 28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격차가 크고 회원국 평균인 15%보다 2.6배 높은 수치입니다.
29%로 2위를 기록한 일본과 비교해도 10% 포인트가 높았습니다.
한국과 일본 다음으로는 21%를 기록한 독일과 이스라엘, 19%를 기록한 미국, 캐나다, 핀란드,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남녀 간 임금격차가 가장 작은 국가는 헝가리와 폴란드, 스페인으로 격차는 6%에 불과했습니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남녀 임금격차가 10년 동안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우리나라의 남녀 임금격차는 2000년 40%에서 2010년 39%로 10년 동안 1% 포인트 개선되는 데 그쳤습니다.
같은 기간 OECD 28개 회원국들의 평균 남녀 임금격차는 20%에서 15%로 5% 포인트 개선됐습니다.
다른 회원국에 비해 우리나라 여성의 임금이 남성보다 유독 낮은 이유로는, 출산과 육아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고 여성 취업자 중 임시직, 일용직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상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