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모성 사망비 17.2명…OECD 두배 수준

입력 2012.11.30 (19:33) 수정 2012.11.30 (20: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늦은 결혼과 출산으로 임신 또는 출산 뒤 숨지는 여성 사망비가 계속 늘고 있습니다.



OECD 국가 평균보다 두배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보도에 황동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2009년에서 2011년까지의 영아와 모성,출생 전후기의 사망 자료를 분석한 결과, 출생아 10만 명당 임산부 사망비가 지난해 17.2명으로 전년에 비해 1.4명, 9.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10년 기준 OECD 국가 평균 9.3명보다 두배 가까운 수준입니다.



우리나라의 모성사망비는 2008년 12.4명에서 2009년 13.5명, 2010년 15.7명, 그리고 지난해 17.2명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직접적인 사망 원인으로는 분만 뒤 출혈과 색전증 등 산과적 합병증으로 인한 것이



전체의 69%를 차지했습니다.



통계청은 모성 사망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고령 산모가 늘고 평균 출산연령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연령대별 모성사망비를 보면 40세 이상이 10만명 당 79.7명으로 가장 높았고, 35세에서 39세가 30.1명으로 그 다음으로 높았습니다.



우리나라 평균 출산 연령은 2009년 30.97세에서 2011년 31.44세로 높아졌고, 35세 이상 고령 산모 구성 비율도 2009년 15.4%에서 지난해 18%로 증가했습니다.



출생 뒤 1년 안에 숨지는 영아사망률을 산모의 연령별로 보면 20세 미만이 11.3명, 40세 이상이 5.1명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습니다.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출산 모성 사망비 17.2명…OECD 두배 수준
    • 입력 2012-11-30 19:33:45
    • 수정2012-11-30 20:03:15
    뉴스 7
<앵커 멘트>

늦은 결혼과 출산으로 임신 또는 출산 뒤 숨지는 여성 사망비가 계속 늘고 있습니다.

OECD 국가 평균보다 두배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보도에 황동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2009년에서 2011년까지의 영아와 모성,출생 전후기의 사망 자료를 분석한 결과, 출생아 10만 명당 임산부 사망비가 지난해 17.2명으로 전년에 비해 1.4명, 9.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10년 기준 OECD 국가 평균 9.3명보다 두배 가까운 수준입니다.

우리나라의 모성사망비는 2008년 12.4명에서 2009년 13.5명, 2010년 15.7명, 그리고 지난해 17.2명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직접적인 사망 원인으로는 분만 뒤 출혈과 색전증 등 산과적 합병증으로 인한 것이

전체의 69%를 차지했습니다.

통계청은 모성 사망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고령 산모가 늘고 평균 출산연령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연령대별 모성사망비를 보면 40세 이상이 10만명 당 79.7명으로 가장 높았고, 35세에서 39세가 30.1명으로 그 다음으로 높았습니다.

우리나라 평균 출산 연령은 2009년 30.97세에서 2011년 31.44세로 높아졌고, 35세 이상 고령 산모 구성 비율도 2009년 15.4%에서 지난해 18%로 증가했습니다.

출생 뒤 1년 안에 숨지는 영아사망률을 산모의 연령별로 보면 20세 미만이 11.3명, 40세 이상이 5.1명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습니다.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