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도시공사 계약 일방적 변경 논란
입력 2012.12.18 (21:40)
수정 2012.12.18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인천도시공사가 재정 건전화를 위해 송도에서 땅을 매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공고 기준에 따라 협상 대상 업체들을 정해 놓은 뒤 일방적으로 계약 조건을 변경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천 송도의 한 부지입니다.
지난달 초 인천도시공사가 천8백50억 원에 팔겠다고 내놨습니다.
이후 심사를 통해 8개 업체 가운데 5개 업체가 정해졌습니다.
하지만 인천도시공사는 업체 선정 10일만에 계약 조건을 일방적으로 변경했습니다.
계약금 10%만 내면 매각 협상을 진행할 수 있다고 바꿨습니다.
그러나 이 조치는 즉각 특혜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인천도시공사가 계약금 조건을 완화시켜 계약금을 많이 건 업체들의 편의를 봐줬다는 의혹이 제기된 겁니다.
<녹취> 참여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처음에 제안을 따기 위해 무모하게 제안을 팀들이 있을 텐데 정상적으로 제안을 냈던 팀들은 불합리적인 어떤 것을 받을 수 있겠죠."
애초 제안서 내용을 고칠 수 없다고 했던 인천도시공사가 스스로 계약을 뒤집은 것도 논란거리입니다.
<인터뷰> 김도극(인천도시공사 판매팀장) : "계약하는 입장에서 보면 저희들은 5개 업체를 똑같이 놓고 보고 사실 놓고 저희들이 결정한 사항이죠."
<인터뷰> 김송원(인천경실련 사무처장) : "행정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고 재정 위기를 겪고 있는 도시공사가 유동성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발로 찬 것이기 때문에"
인천 도시 공사의 부지 매각을 둘러싼 논란이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인천도시공사가 재정 건전화를 위해 송도에서 땅을 매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공고 기준에 따라 협상 대상 업체들을 정해 놓은 뒤 일방적으로 계약 조건을 변경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천 송도의 한 부지입니다.
지난달 초 인천도시공사가 천8백50억 원에 팔겠다고 내놨습니다.
이후 심사를 통해 8개 업체 가운데 5개 업체가 정해졌습니다.
하지만 인천도시공사는 업체 선정 10일만에 계약 조건을 일방적으로 변경했습니다.
계약금 10%만 내면 매각 협상을 진행할 수 있다고 바꿨습니다.
그러나 이 조치는 즉각 특혜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인천도시공사가 계약금 조건을 완화시켜 계약금을 많이 건 업체들의 편의를 봐줬다는 의혹이 제기된 겁니다.
<녹취> 참여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처음에 제안을 따기 위해 무모하게 제안을 팀들이 있을 텐데 정상적으로 제안을 냈던 팀들은 불합리적인 어떤 것을 받을 수 있겠죠."
애초 제안서 내용을 고칠 수 없다고 했던 인천도시공사가 스스로 계약을 뒤집은 것도 논란거리입니다.
<인터뷰> 김도극(인천도시공사 판매팀장) : "계약하는 입장에서 보면 저희들은 5개 업체를 똑같이 놓고 보고 사실 놓고 저희들이 결정한 사항이죠."
<인터뷰> 김송원(인천경실련 사무처장) : "행정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고 재정 위기를 겪고 있는 도시공사가 유동성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발로 찬 것이기 때문에"
인천 도시 공사의 부지 매각을 둘러싼 논란이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천도시공사 계약 일방적 변경 논란
-
- 입력 2012-12-18 20:30:57
- 수정2012-12-18 21:55:13

<앵커 멘트>
인천도시공사가 재정 건전화를 위해 송도에서 땅을 매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공고 기준에 따라 협상 대상 업체들을 정해 놓은 뒤 일방적으로 계약 조건을 변경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인천 송도의 한 부지입니다.
지난달 초 인천도시공사가 천8백50억 원에 팔겠다고 내놨습니다.
이후 심사를 통해 8개 업체 가운데 5개 업체가 정해졌습니다.
하지만 인천도시공사는 업체 선정 10일만에 계약 조건을 일방적으로 변경했습니다.
계약금 10%만 내면 매각 협상을 진행할 수 있다고 바꿨습니다.
그러나 이 조치는 즉각 특혜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인천도시공사가 계약금 조건을 완화시켜 계약금을 많이 건 업체들의 편의를 봐줬다는 의혹이 제기된 겁니다.
<녹취> 참여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처음에 제안을 따기 위해 무모하게 제안을 팀들이 있을 텐데 정상적으로 제안을 냈던 팀들은 불합리적인 어떤 것을 받을 수 있겠죠."
애초 제안서 내용을 고칠 수 없다고 했던 인천도시공사가 스스로 계약을 뒤집은 것도 논란거리입니다.
<인터뷰> 김도극(인천도시공사 판매팀장) : "계약하는 입장에서 보면 저희들은 5개 업체를 똑같이 놓고 보고 사실 놓고 저희들이 결정한 사항이죠."
<인터뷰> 김송원(인천경실련 사무처장) : "행정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고 재정 위기를 겪고 있는 도시공사가 유동성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발로 찬 것이기 때문에"
인천 도시 공사의 부지 매각을 둘러싼 논란이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
류호성 기자 ryuhs@kbs.co.kr
류호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