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WTO 가입, 위기와 기회

입력 2001.11.12 (06: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계 인구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13억 중국시장이 이제 WTO에 가입해서 세계무역질서에 편입된 것은 분명 우리에게도 기회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도전도 받게 됐습니다.
이번에는 김진희 기자가 중국의 WTO 가입이 가져올 이해득실을 따져봤습니다.
⊙기자: 중국 북경의 한 전자제품 매장입니다.
부유층을 중심으로 VTR 대신 DVD를 찾는 수요가 늘면서 DVD는 이 매장의 인기상품이 됐습니다.
덕에 DVD 핵심부품을 수출하는 국내 업체의 매출도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박호성(수출업체 부장): 중국의 DVD 시장규모는 작년 대비 금년에 약 100%, 내년에도 6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기자: 중국은 또한 최근 침체된 국내 IT산업이 뻗어나갈 수 있는 비상구입니다.
이미 한 국내 업체가 중국 60개 지역에 초고속통신망 7만회선을 깔기로 했는가 하면 휴대폰 보급속도 세계 1위인 중국에 대량의 휴대폰 수출도 기대됩니다.
자동차와 화학섬유도 중국시장에 더 많이 내다 팔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 정부 역시 약 10억달러 규모의 추가 무역흑자를 볼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장밋빛 전망이 다는 아닙니다.
풍부한 노동력을 무기로 한 중국은 농산물과 의류, 완구 등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우리나라의 수출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또 전 세계에 중국 투자가 늘면서 국내로 들어올 외국인 투자가 줄어들리라는 분석도 걱정스러운 부분입니다.
중국의 WTO 가입으로 당장에는 잃는 것보다 얻는 게 많을 것이라는 분석이지만 장기적인 성공 여하는 결국 우리의 노력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KBS뉴스 김진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WTO 가입, 위기와 기회
    • 입력 2001-11-12 06:00:00
    뉴스광장
⊙앵커: 세계 인구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13억 중국시장이 이제 WTO에 가입해서 세계무역질서에 편입된 것은 분명 우리에게도 기회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도전도 받게 됐습니다. 이번에는 김진희 기자가 중국의 WTO 가입이 가져올 이해득실을 따져봤습니다. ⊙기자: 중국 북경의 한 전자제품 매장입니다. 부유층을 중심으로 VTR 대신 DVD를 찾는 수요가 늘면서 DVD는 이 매장의 인기상품이 됐습니다. 덕에 DVD 핵심부품을 수출하는 국내 업체의 매출도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박호성(수출업체 부장): 중국의 DVD 시장규모는 작년 대비 금년에 약 100%, 내년에도 6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기자: 중국은 또한 최근 침체된 국내 IT산업이 뻗어나갈 수 있는 비상구입니다. 이미 한 국내 업체가 중국 60개 지역에 초고속통신망 7만회선을 깔기로 했는가 하면 휴대폰 보급속도 세계 1위인 중국에 대량의 휴대폰 수출도 기대됩니다. 자동차와 화학섬유도 중국시장에 더 많이 내다 팔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 정부 역시 약 10억달러 규모의 추가 무역흑자를 볼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장밋빛 전망이 다는 아닙니다. 풍부한 노동력을 무기로 한 중국은 농산물과 의류, 완구 등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우리나라의 수출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또 전 세계에 중국 투자가 늘면서 국내로 들어올 외국인 투자가 줄어들리라는 분석도 걱정스러운 부분입니다. 중국의 WTO 가입으로 당장에는 잃는 것보다 얻는 게 많을 것이라는 분석이지만 장기적인 성공 여하는 결국 우리의 노력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KBS뉴스 김진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