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성분 깨알 글씨…정상 시력도 잘 안보여

입력 2013.01.28 (21:14) 수정 2013.01.28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은 시중에서 파는 모든 식품에 제품 성분들이 표기돼 있어 일일히 따져가며 고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하지만 문제는 성분표시가 깨알글씨로 적혀있어서 알아보기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윤영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명순씨는 식품을 살 때마다 화학 첨가제 등 성분표기를 꼼꼼하게 살펴봅니다.

문제는 포장에 적힌 게 하나같이 깨알 글씨라는 겁니다.

<녹취> 이명순 씨 : "구분을 하려고 해도 여기 저기 다 글씨가 너무 작게 나와가지고..."

어린이용 과자, 통조림 , 라면 등 거의 모든 제품들이 깨알 글씨투성입니다.

상품 표시가 얼마나 작은 지 직접 자로 크기를 재봤습니다.

세로 길이만 겨우 2 밀리미터에 불과합니다.

현재 식품 표시 기준은 한글 프로그램으로 7 포인트, 즉 가로 세로가 2 밀리미터정도지만 실제 표기는 그 절반에 불과합니다.

4,50대 주부들을 대상으로 얼마나 읽기 어려운지 측정해 봤습니다.

<녹취> "1.4.5.3.2. 안 보여요..."

시력이 1.0 이상인 주부도 읽기가 버거울 정돕니다.

<녹취> "(샘플지) 이렇게 써있으면 더 안보이죠. 지금 그나마 이게 띄어쓰기가 돼있는 정보니까 보이는데..."

<인터뷰> 노영정(안과 의사) : "30대부터 노안이 시작돼 결국 50대가 넘어가면 대부분 노안이 있다고 판단돼 7포인트를 읽으려면 근시력이 0.5 이상이 돼야하는데 힘들다.."

검정 바탕에 빨강 글자를 사용하는 등 가독성을 떨어트리는 배색도 문제입니다.

반면 '저지방' 이니 '저칼로리' 같이 홍보성 문구는 잘 보이도록 규정 이상으로 크게 표시해 깨알 글씨 투성이의 식품 표기에 숨은 의도가 있다는 의심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KBS 뉴스 윤영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식품 성분 깨알 글씨…정상 시력도 잘 안보여
    • 입력 2013-01-28 21:15:48
    • 수정2013-01-28 22:02:53
    뉴스 9
<앵커 멘트> 요즘은 시중에서 파는 모든 식품에 제품 성분들이 표기돼 있어 일일히 따져가며 고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하지만 문제는 성분표시가 깨알글씨로 적혀있어서 알아보기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윤영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명순씨는 식품을 살 때마다 화학 첨가제 등 성분표기를 꼼꼼하게 살펴봅니다. 문제는 포장에 적힌 게 하나같이 깨알 글씨라는 겁니다. <녹취> 이명순 씨 : "구분을 하려고 해도 여기 저기 다 글씨가 너무 작게 나와가지고..." 어린이용 과자, 통조림 , 라면 등 거의 모든 제품들이 깨알 글씨투성입니다. 상품 표시가 얼마나 작은 지 직접 자로 크기를 재봤습니다. 세로 길이만 겨우 2 밀리미터에 불과합니다. 현재 식품 표시 기준은 한글 프로그램으로 7 포인트, 즉 가로 세로가 2 밀리미터정도지만 실제 표기는 그 절반에 불과합니다. 4,50대 주부들을 대상으로 얼마나 읽기 어려운지 측정해 봤습니다. <녹취> "1.4.5.3.2. 안 보여요..." 시력이 1.0 이상인 주부도 읽기가 버거울 정돕니다. <녹취> "(샘플지) 이렇게 써있으면 더 안보이죠. 지금 그나마 이게 띄어쓰기가 돼있는 정보니까 보이는데..." <인터뷰> 노영정(안과 의사) : "30대부터 노안이 시작돼 결국 50대가 넘어가면 대부분 노안이 있다고 판단돼 7포인트를 읽으려면 근시력이 0.5 이상이 돼야하는데 힘들다.." 검정 바탕에 빨강 글자를 사용하는 등 가독성을 떨어트리는 배색도 문제입니다. 반면 '저지방' 이니 '저칼로리' 같이 홍보성 문구는 잘 보이도록 규정 이상으로 크게 표시해 깨알 글씨 투성이의 식품 표기에 숨은 의도가 있다는 의심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KBS 뉴스 윤영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